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s' Task Commitment

과학 영재들의 과제집착력 특성 탐색

  • Received : 2012.05.01
  • Accepted : 2013.01.07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by analyzing their experience in showing task commitment. In order to do this, we asked science gifted students to specifically describe their experiences while deeply experimenting on a scientific cause or theory. From their responses, we inductivel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s by extract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that show task commitment. Consequenti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students are divided into nine categories, which are confidence, setting a challenging goal, challenging approach for solving problems, sense of potential control, loss of self-consciousness, time distortion, submission to difficult task, initiative, and endurance, all of which appear repeatedly among the gifted students. With consensus among three experts who have experience in research on gifted education, these nine characteristics can be categorized into 3 characteristics; challenge, flow, and willingness. The three characteristics such as challenge, flow, and willingness well represent a definition of task commitment. These characteristics can explain the level of task commitment exhibited by science gifted students.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tool and framework for judging the task commitment of gifted students on the basis of their characteristics.

본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들이 과제집착력을 보이며 활동한 경험을 분석하여 과제집착력을 나타내는 영재들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영재들이 자기 소개서에 원인이나 원리를 깊이 있게 탐구했던 경험을 구체적으로 서술해보게 하였다. 학생들의 응답으로부터 과제집착력을 나타낸 것으로 보이는 특징만을 코드로 추출하고 분석하여 과제 집착력을 나타내는 과학 영재의 특성을 귀납적으로 탐색하였다. 결과적으로 영재들이 기술한 내용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들을 바탕으로 자신감, 도전적 목표설정, 과제해결을 위한 도전적 접근, 통제감, 자의식 상실, 시간 개념의 변형, 고된 작업의 감수, 주도성, 계속성(끈기, 인내)의 9가지 특성들을 분류하였다. 영재교육 경력이 있는 3명의 전문가 합의 과정을 통해 9가지 특성을 다시 도전성, 몰입, 적극성의 세 가지 특성으로 범주화 시킬 수 있었다. 도전성, 몰입, 적극성의 세 가지 특성은 과제집착력의 정의를 잘 표현해주는 것으로 영재들의 과제집착력을 설명해줄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로 얻어진 과제집착력을 나타내는 영재들의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학생들의 과제집착력 판별을 위한 준거 틀 및 도구 개발이 가능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유곤 (1996). 고등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에 대한 인식 및 과학 불안도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권오남, 김정효 (2000). 창의적 문제해결력 중심의 수학 교육과정 적용 및 효과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39(2), 81-99.
  3. 김성원, 허명 (2005). 영재교육의 현황과 전망. 서울: 서울시교육과학연구원.
  4. 김영천 (2008). 질적 연구 방법론I. 서울: 문음사.
  5. 김주훈, 이은미, 최고운, 송상헌 (1996). 과학 영재 판별도구 개발연구 (I). CR96-2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 김재권 (2005). 영재아의 창의적 성격 특성과 과제집착력 분석. 충남대학교 석사논문.
  7. 김현철 (2005). 정의적.사회적 특성 분석과 영재성 판별에서의 시사전. 한국교육, 32(3), 205-231
  8. 남상준 (1996). 사회과에서의 창의적 사고력 교육. 사회과교육, 29, 65-79.
  9. 류시경, 박종석 (2008).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39-149.
  10. 박경빈, 이석래 (2009). 초등영재학생과 일반 학생의 정의적 특성 비교. 영재교육연구, 19(3), 503- 527.
  11. 박미진, 이용섭 (2011). 과학영재학생의 학습동기와 과제집착력과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1(4), 961-977.
  12. 박선자, 최경희, 이현주 (2009). 교육청 영재 교육원 과학 담당 교사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2), 119-13.
  13. 박인호 (2002). 과학영재 선발방안. 과학영재학교 교육 학사 운영에 관한 공청회 자료집.
  14. 배희병, 김승부, 오원섭, 백용주, 천태호, 박병철, 송인덕, 장기상, 양교석, 조규호, 윤남수, 서봉석, 김인관, 한학수, 연규탁 (2004). 과학영재 발굴.육성사업 결과 보고서. 한국과학재단, 66-70.
  15. 석임복 (2007). 학습 몰입의 구조: 척도, 성격, 조건, 관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6. 소광섭 (2002). 과학영재학교 선발체제 개발 및 시행에 관한 연구. 과천: 과학기술부.
  17. 신명희, 김주현 (2002). 과학 영재의 지능특성 연구. 연세교육과학, 50, 77-92.
  18. 신복진 (2007). 교육용게임에서의 학습자의 사회성에 따른 인간-기계 상호작용성이 과제집착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논문.
  19. 심재영 (2003). 과학영재판별에 관한 연구I. KAIST과학영재교육연구원.
  20. 심재영 (2004). 암묵적 이론을 통한 영재성 요인 타당화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안도희, 윤지민 (2010). 청소년의 과제 선호 성향 예측 요인 탐색. 교육학연구, 48(1), 1-22.
  22. 오경애, 김성원 (1995). 중학교 과학 영재아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태도 및 과학 영재아의 행동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3), 291-302.
  23. 오헌석, 최지영, 최윤미, 권귀헌 (2007). 과학인재의 성장 및 전문성 발달과정에서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907-918.
  24. 이군현 (1990). 과학영재 학생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학연구, 28(1), 131-144.
  25. 이명자(2002). 과학영재의 특성 분석. 교육과학논총, 23(2), 127-140.
  26. 이정철 (2010).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행동 특성의 질적 분석을 통한 과학 영재의 행동 특성 판별 도구 개발. 부산대학교 박사논문.
  27. 전경원 (2000). 한국의 새 천년을 위한 영재교육학. 서울: 학문사.
  28. 정기영, 전미란, 최승언 (2008).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28(2), 161-177
  29. 조연순, 성진숙, 채제숙, 구성혜 (2000).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과학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307-328.
  30. 조윤향 (2011). 중학교 영재학급에서 사용 중인 화학영역의 과학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분석. 영재교육연구, 21(2), 485-510.
  31. 최돈형 (2001). 과학영재교육센터 평가 기준 개발. 영재교육연구, 11(2), 59-85.
  32. 한민 (2008). 문화심리학에서 질적 연구 방법의 활용: 근거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201.
  33. Atkinson, J. W. (1960). The achievement motive, goal setting, and probability preferences.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0(1), 27-36. https://doi.org/10.1037/h0047990
  34. Barron, F. (1969). Creative Person and Creative Process, Holt, Rinehart & Winston, New York.
  35. Brandwein, P. F. (1988). Science talent: In ecology of achievement, In Brandwien, P. F. & Passow, A. H. (Eds.), Gifted young in science: Potential through performance (pp. 73-103). Washington, DC: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36. Breland, B. T., & Donovzn, J. J. (2005). The role of state goal orientation in the goal establishment process. Human Performance, 18(1), 23-53. https://doi.org/10.1207/s15327043hup1801_2
  37. Coleman, J. M., & Fultz, B. A. (1985). Special class placement, level of intelligence, and the self-concepts of gifted children: A social comparison perspective.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6(1), 7-12. https://doi.org/10.1177/074193258500600304
  38.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Jossey Bass.
  39.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 Row.
  40. De Parter, I. E., Van Vianen, A. E. M., Fischer, A. H., & Van Ginkel, W. P. (2009). Challenging experiences: Gender differences in task choice.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4(1), 4-28. https://doi.org/10.1108/02683940910922519
  41. Feldhusen, J. F (1986). A Conceptions of Giftednes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Gagne, F. (1985). Giftedness and talent: Reexamining a reexamination of the definitions of the definition. Gifted Child Quarterly, 29, 103-112. https://doi.org/10.1177/001698628502900302
  43. Gallager, J. J. (1985). Teaching the gifted child (3rd ed.). Boston: Allyn & Bacon.
  44. Hsueh, W. C., Feldhusen, J. F., & Moon, S. (1997).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gifted children's theories of intelligence, goal orientation, and responses to challenge. Purdue University Press.
  45. Janos, P. M., & Robinson, N. M. (1985). Psychosocial development in intellectually gifted children. In F. D.
  46. La Salle, D. (1977). In pursuit of a pattern for scientists. Gifted Child Quarterly, 21(1), 1-5.
  47. Mansfield, R. S, & Busse, T. V. (1981). The blooming of Creative Scientists: Early, Late and Otherwise. Gifted Child Quarterly, 25(2), 63-66. https://doi.org/10.1177/001698628102500204
  48. MacKinnon, D. W. (1965). Personality and the Realization of Creative Potential. American Psychologist. 20, 365.
  49. Philips, J. M., & Gully, S. M. (1997). Role of goal orientation, ability, need for achievement, and locus of control in the self-efficacy and goal-setting proc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2(5), 792-802. https://doi.org/10.1037/0021-9010.82.5.792
  50. Phillips, N., & Lindsay, G. (2006). Motivation in gifted students. High Ability Studies, 17(1), 57-73. https://doi.org/10.1080/13598130600947119
  51. Renzulli, J. S. (1986).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A developmental model for creative productivity. In R. J. Sternberg & J. E. Davi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pp. 53-92).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 Renzulli, J. S., and Reis, S. M. (1994). Research related to the School Wide Enrichment Model. Gifted Child Quarterly, 38, 2-14.
  53. Renzulli, J. S. (2000). The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s a paradigm for school reform.
  54. Roe, A. (1952). The Making of a scientist. New York: Dodd, Mead.
  55. Schunk, D. H. (1983). Ability versus effort attributional feedback: Differential effect on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5, 848-856. https://doi.org/10.1037/0022-0663.75.6.848
  56. Schunk, D. H. (1989).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behavior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 173-208. https://doi.org/10.1007/BF01320134
  57. Schunk, D. H. (1991).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6, 207-231. https://doi.org/10.1080/00461520.1991.9653133
  58.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 Jacobs, B.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59. Silverman, L. K.(1993). Counseling needs and programs for the gifted. In Heller, K. A., Monks, G. J., & Passow, A. H.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Pergamon Press.
  60. Snow, R. E., Corno, L., and Jackson, D. (1996). Individual differences in affective and cognitive functions, In Berliner, D. C. & Calfee, R. C. (Eds.),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pp. 243-310). New York: Macmillan. Terman,
  61. Terman, L. M. and Oden, M. H. (1959). Genetic studies of genius: The gifted group at mid-life, Stanford University Press, Stanford, Calif.
  62. Wagner, H. (2007). Why are academic summer programmes for gifted youngsters so successful? Science Education: Models and Networking of Student Research Training Under 21. Csermely, P., et al. (Eds.) IOS Press.
  63. Watters, J. & Diezmann, C. (2000). Catering for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Learning from challenging task. Gifted Child Today, 23(4), 14-19.

Cited by

  1. Developing the Rubric for Measurement in Levels by Are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ask Commitment Shown in the Science Gifted vol.34, pp.7,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7.0657
  2. Effects of STEAM Lessons Using Scratch Programming Regarding Small Organisms in Elementary Science-Gifted Education vol.34, pp.2, 2015, https://doi.org/10.15267/keses.2015.34.2.194
  3. An Analysis of the Patterns of Scientific Questions Generation among Elementary Science-Gifted and General Students vol.35, pp.4,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4.0537
  4. Jigsaw 협동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과제집착력에 미치는 효과 vol.8, pp.1, 2013,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1.87
  5.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과제집착력 비교 vol.39, pp.3, 2015, https://doi.org/10.21796/jse.2015.39.3.307
  6. GSP를 활용한 중학교 2학년 수학 영재학급의 일반화 수업 분석과 교육적 시사점 - Viviani 정리를 중심으로 - vol.30, pp.1, 2013, https://doi.org/10.7468/jksmee.2016.30.1.23
  7. 중학생의 발명에 대한 태도 및 이미지 vol.36, pp.1,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1.0063
  8. 고등학생의 투지, 흥미, 과제집착력, 자기조절능력 및 과학학업성취의 관계 분석 vol.36, pp.3, 2016,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3.0445
  9. 영재 학생들의 공학 설계 기반 통합적 STEM 연구 활동이 창의적 공학문제해결 성향 및 공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vol.37, pp.4,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4.719
  10. A Comparison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Task Commitment between Science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vol.46, pp.3, 2018, https://doi.org/10.15717/bioedu.2018.46.3.390
  11. Development of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bas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t the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in South Korea vol.5, pp.1, 2019, https://doi.org/10.1186/s41029-019-0047-6
  12. 초등예비교사의 Jigsaw 협동학습 수업이 과제집착력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vol.12, pp.3, 2013, https://doi.org/10.15523/jksese.2019.12.3.198
  13.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integrated STEM activities based on the engineering design process: The case of robotics and 3D robot modeling vol.42, pp.None, 2021, https://doi.org/10.1016/j.tsc.2021.100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