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Students' Interest in High School 'Science' in View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에 대한 학생의 흥미 분석

  • Received : 2012.07.04
  • Accepted : 2013.01.18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High school 'science'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 Korea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students' scientific literacy needed for citizenship in a democratic society. For this analysis, 'science' includes a variety of scientific topics from the origin of the universe to the birth of lif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modern society. It aim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and foster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science. On the other hand, interest has been studied as a psychological construct to affect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selection of students. In this study, the authors investigated students' interest in high school 'science' in view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o carry this out, a survey tool was developed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with 997 high school students' response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factor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 students' interest in high school 'science' in view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can be interpreted into three dimensions such as motivation, activity, and topic, which has several sub-dimensions. Students' interest in motivation dimension was higher than in activity or topic dimension, while the average value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middle value. They showed different distribution of interest by gender and job orientation, especially in activity and topic dimensions. From this study, the authors can infer the multi-dimensional property of students' interest in high school 'Science' and the different distribution of interest by dimensions.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은 민주주의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필요한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우주 탄생에서 생명의 출현에 이르기까지 과학자들의 탐구과정을 탐색하고 첨단 과학기술이 현대 사회에 어떻게 적용되고 영향을 주는지를 탐구함으로서, 과학적 탐구방법과 과정을 이해하고 과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한편, 흥미는 학습 성취도와 진로에도 영향을 주는 심리적 구인으로서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흥미를 선행연구에 따라 다차원적 속성을 지닌 흥미로 규정하여 흥미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2011년에 고등학교 '과학'을 이수한 10개교 고등학생 997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조사하였다. 응답자료를 바탕으로 요인 분석 결과, 고등학교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는 동기 차원, 활동 차원, 주제 차원 등을 지닌 다차원적 속성으로 나뉘어지며 각 차원별로 여러 개의 하위 차원으로 구성됨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응답 학생들의 고등학교 과학에 대한 일반적인 흥미는 중간 점수보다 약간 높게 나왔으며, 차원별로 보면 동기, 활동, 주제 순으로 흥미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성별과 진로 희망 계열에 따라서 일부 하위 차원과 범주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흥미 분포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을 지도함에 있어서 학생들이 보이는 흥미의 차원별 분포 및 개인변인에 따른 차이를 고려해야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 (2006). 초중등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27(3), 260-268.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과학과 교육과정.
  4. 김은정 (2011), 2009 개정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 교과서의'에너지와 환경'단원에서'신재생 에너지의 개발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권성기 (1995). 중학생의 에너지 개념 변화에서 지적 흥미의 역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김진영, 오원근, 정진수, 김성원 (2012).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과학'에 대한 물리전공 교사와 타전공 과학교사의 인식 비교, 새물리 62(2), 104-114.
  7. 김홍정, 임성민 (2012). 비형식 과학교육환경에서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 분석. 초등과학 교육, 31(1), 125-134.
  8. 박성만, 이봉우 (2012).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 정의 물리 내용체계 변화에 대한 교사의 이해 수준 분석-광학 내용을 중심으로, 새물리, 62(1), 10-18.
  9. 박승재, 김희백, 박종윤, 유준희, 윤진, 임성민, 전우수 (2002). 초.중등 학생의 과학선호도 증진 정책연구. 대통령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용역 연구 최종보고서. 대통령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10. 박유리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1학년 과학교과서의 비교분석: 생명과학영역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서희숙 (2011).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포함된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SSI)의 소재 및 학습 활동 유형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12. 이범홍, 김주훈, 이양락, 홍미영, 이미경, 이창훈, 신일용, 심재호, 곽영순, 전영석, 김동영, 장재현 (2005),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5-7, 327.
  13. 이선경 (2012),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7종 비교 분석: '생명의 진화'단원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세진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 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 비교분석: 1부 우주와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수현 (2011),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고등학교 과학, 생명과학1, 생명과학2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양락, 박재근, 이봉우, 박순경, 정영근 (2004), 과학과 교 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연구 보고, RRC 2004-1-6, 630.
  17. 이은숙 (2012),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의 2009 개정 교육과정'과학'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하나 (2012), 토론을 활용한 STS 학습자료 개발: 2009 개정 고등학교'과학'의'과학과 문명'단원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임성민, 박승재 (2000). 중학생의 물리학습에 대한 흥미의 다차원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491-504.
  20. 전창식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1학년 과학교과서 비교 분석-'우주의 기원과 진화'단원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정소라(2011),' 2009 개정과학과교육과정'내용 타당도 분석-고등학교 과학, 물리1, 물리2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정진수, 오원근 (2011). 2009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융합과학에서 물리학 개념의 적용, 새물리, 61(12), 1091-1097.
  23. 좌혜정 (2010),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7 개정 및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고등학교 과학, 물리1, 물리 2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최지은 (2010),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창의 인성 활동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황정일 (2012), 2009년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환경 관련 단원 내용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Gardner, P. L. (1996). The dimensionality of attitude scales: A widely misunderstood ide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8), 913-919. https://doi.org/10.1080/0950069960180804
  27. Gardner, P. L. (1985). Students'interest in science and technology: An international overview, in M. Lejrke, L. Hoffmann, & P. L. Gardner(eds.). Interests in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12th IPN Symposium proceeding. 15-34.
  28. Haussler, P. (1987). Measuring students' interest in phys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9(1), 19-92.
  29. Im, S. & Pak, S.-J. (2004). Secondary and university students'expectations on learning physics.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44(2), 217-222.
  30. Lind, G. (1982). The structure of interest in physics.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3), 275-283. https://doi.org/10.1080/0140528820040306
  31. Sjoberg, S. & Imsen, G. (1988). Development and dilemmas in science education. London; Falmer.

Cited by

  1.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strument for Measuring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Convergence vol.34, pp.2,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123
  2. The Study of Causal Model on Science Teachers' Adoption of 'Science' Focusing on the Fusion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vol.34, pp.3,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3.0235
  3. The Influences of Integrated Science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n Students' Views on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Technology-Society Relationship, Interest in Science, and Science Aspiration vol.35, pp.4,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4.0549
  4. 초등학생 과학 학습정서 검사 도구 개발 vol.33, pp.7,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7.1367
  5.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수업 운영 실태조사 vol.7, pp.2, 2014,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2.203
  6. 초등예비교사의 과학 동기유발과 과학적 소양의 역량에 대한 인과구조 vol.36, pp.3, 2013, https://doi.org/10.15267/keses.2017.36.3.208
  7.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 Research Activities - Focused on the Prize-Winning Works in the Life Science Field of National Science Fair - vol.46, pp.3, 2018, https://doi.org/10.15717/bioedu.2018.46.3.380
  8. Fostering place attachment through selecting and presenting favorite places vol.28, pp.4, 2013, https://doi.org/10.1080/10382046.2019.1647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