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Properties of Affective Achievement in Science Based on TIMSS and Science Teachers' Perception

TIMSS 결과에 기초한 과학의 정의적 성취 특성 및 과학 교사의 인식 분석

  • Kim, Miyou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 Cho, Jimi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Received : 2012.08.27
  • Accepted : 2013.01.10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In this study, nations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but disparate affective achievement in sci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IMSS 2007 were selected and students' responses in the main survey for affective properties from those nations were analyzed. In addition,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affective achievement and the properties of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was explored by an online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tudents' responses in the main survey, the percentage of those with high levels of confidence in, pleasure in, and value perception of science was large for Hong Kong, Singapore, and England but small for Korea, Taiwan, and Japan. When the propertie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ctual science classes were observed in Korea, actual classes focused little on experimentation, research activities, and the context of everyday lif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rveys conducted on science teachers, students' low confidence in science was due to difficult and uninteresting curricula and the absolute lack of time to study science and their low interest in the subject was due to difficult curricula and the view that science was unrelated to their future academic or professional career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achers, students' low value perception of science curricula was due to the fact that there was no need to excel in science for academic or professional careers and the idea that the subject was of no help to daily life.

본 연구에서는 TIMSS 2007 결과 과학 영역의 학업 성취는 높지만 정의적 성취가 서로 다른 국가들을 선정하여 정의적 특성과 관련된 학생 설문 문항을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과학 교사 대상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과학 교수 학습의 특성과 정의적 성취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학생 설문 분석 결과, 과학에 대한 자신감, 즐거움, 가치 인식 수준이 높은 학생의 비율은 홍콩, 싱가포르, 잉글랜드는 높고 우리나라, 대만, 일본은 그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실제 과학 수업의 교수 학습 특성을 보면 우리나라는 실험과 연구 활동이나 실생활 맥락에서의 과학 수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과학 교사 대상 설문 결과에서 과학에 대한 자신감이 낮은 이유로 과학 내용이 어렵고 흥미롭지 않은 점과 과학 학습을 위한 절대적 시간의 부족을, 과학에 대한 흥미가 낮은 이유로 과학 내용이 어렵고 미래 자신의 진학이나 진로와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과학 교과의 가치 인식이 낮은 이유로 진로를 위해 과학을 잘 할 필요가 없어서나 과학이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여기는 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혜, 박소영, 정현철, 박진아(2007). 특수목적 고등학교 정책의 적합성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1007-5.
  2.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2006). 초, 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27(3), 260-268.
  3. 교육부(1998).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교육부 교시 제 1997-15호). [별책 9]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김경희, 김수진, 김남희, 박선용, 김지영, 박효희, 정송(2008).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 2007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E 2008-3-3.
  5. 김윤지, 정진우(2006). 고등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동기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91-297.
  6. 박두찬, 송진웅(2009). 학생들은 어떤 과학 수업에 호응하는가?: 학교 과학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가치 인식과 호응 양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593-610.
  7. 윤미선, 김성일(2003). 중.고생의 교과흥미 구성 요인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 217-290.
  8. 이미경, 김경희(2004).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99-407.
  9. 조지민, 김수진, 김미영, 옥현진, 임해미(2012).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 결과에 기초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 향상 지원 방안.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연구보고 CRE 2012-4.
  10. Basu, S. J., & Barton, A. C. (2007). Developing a sustained interest in science among urban minority yout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3), 466-489. https://doi.org/10.1002/tea.20143
  11. Chang, S. N., Yeoung, Y. Y., Cheng, M. H. (2009). Ninth graders'learning interests, life experiences and attitudes towards science & technology.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8, 447-457. https://doi.org/10.1007/s10956-009-9162-6
  12. Martin, M. O., Mullis, I. V. S., & Foy, P.(2008). TIMSS 2007 International Science Report,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13. OECD(2007). PISA 2006 Science Competencies for Tomorrow's World. Volume 1: Analysis Paris: OECD.
  14. Osborne, J., Simon, S., & Collins, S. (2003). Attitudes towards sci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ts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9), 1049-1079. https://doi.org/10.1080/0950069032000032199
  15. Pintrich, P.R., & Schunk, D. H. (2002).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2nd Ed.). Columbus, OH: Merrill- Prentice Hall.

Cited by

  1. An Analysis of Middle Schoolers' Science Self-Efficacy Development in Problem Based Learning vol.34, pp.2,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155
  2. Comparision of Verbs Used in the Learning Objectives in Physics Textbooks of Singapore, USA, & Korea vol.35, pp.3,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375
  3. How do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 Science Classroom? : Developing a Framework for Cultural Analysis of Science Classroom vol.35, pp.3,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499
  4. Analysis on the Trends of Science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Students' Science Learning in Korea vol.35, pp.4,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4.0751
  5. 초등학생 과학 학습정서 검사 도구 개발 vol.33, pp.7,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7.1367
  6. Analy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on Topic of ‘Living Organisms and Environment’ Applying Affective-Domain-Centered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vol.43, pp.4, 2015, https://doi.org/10.15717/bioedu.2015.43.4.464
  7. TIMSS 2015 중학교 2학년 지구과학 영역에 대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특성 및 교육과정 연계성 탐색 vol.37, pp.1,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1.0009
  8.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 특성 탐색 vol.37, pp.1, 2017,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1.0135
  9.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과학 태도 및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학업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vol.37, pp.4, 2017,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4.669
  10. 과학 교육 평가에서 나타나는 고등학생들의 성취 불일치 사례 -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를 중심으로 - vol.37, pp.5,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5.891
  11. 시민과학 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정의적 특성 및 측정에 대한 인식 분석 vol.39, pp.2, 2013, https://doi.org/10.15267/keses.2020.39.2.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