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Muscle Activities in Different Supporting Surface Intervals during Push-up Exercise

팔굽혀 펴기 운동 시 지지면 간격에 따른 근 활성도 비교

  • Oh, Hyeonseok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ongju College) ;
  • Kim, Jiyoung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ongju College) ;
  • Kim, Gyeongeu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ongju College) ;
  • Lee, Dahe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ongju College) ;
  • Yoo, Namwoo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ongju College) ;
  • Choi, Hojung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ongju College) ;
  • Park, Pyeongji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ongju College) ;
  • Hwang, Hyeonsuk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ongju College) ;
  • Kim, Eunhy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ongju College) ;
  • Kang, Dongyeo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ongju College) ;
  • Kim, Hyoungsu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ongju College)
  • 오현석 (동주대학교 물리치료과) ;
  • 김지영 (동주대학교 물리치료과) ;
  • 김경은 (동주대학교 물리치료과) ;
  • 이다희 (동주대학교 물리치료과) ;
  • 유남우 (동주대학교 물리치료과) ;
  • 최호정 (동주대학교 물리치료과) ;
  • 박평진 (동주대학교 물리치료과) ;
  • 황현숙 (동주대학교 물리치료과) ;
  • 김은혜 (동주대학교 물리치료과) ;
  • 강동연 (동주대학교 물리치료과) ;
  • 김형수 (동주대학교 물리치료과)
  • Received : 2013.11.02
  • Accepted : 2013.12.03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uscle activities of infraspinatus, serratus anterior, upper trapezius, and triceps brachii in different supporting surface intervals during push-up exercise. Method : Subjects of the study were 18 healthy male students without any orthopedic or neurological injuries including neck and shoulder surgeries and can perform a push-up exercise required for the study. EMG was used to measure the muscle activities of four muscles. Result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all the muscles in three different supporting surface intervals(p<0.5). Muscle activity of upper trapezius was the highest(MVIC 39.40%) in the narrowest width and the lowest in the widest width. In infraspinatus, muscle activity was the highest(MVIC 36.23%) in the narrowest width and the lowest in the widest width. In serratus, muscle activity is the highest(MVIC 58.04%) in the widest width and the lowest in the narrowest width. In triceps brachii, muscle activity is the highest(MVIC 68.51%) in the widest width and the lowest in the narrowest width. Conclusion : Muscle activities are at the highest with the narrowest width in the upper trapezius and the infraspinatus. In the serratus and triceps brachii, however, muscle activities are at the highest with widest width.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우(2013). 운동 형태에 따른 견관절 고유 수용성 감각 기능의 차이.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구희서, 김명진, 김미현 등(2013). 치료적 운동 : 이론에서 실기까지. 서울, 영문출판사.
  3. 김시현, 이원휘, 하성민 등(2011). 삼두근 근력 운동 시 운동 자세와 전완 자세에 따른 삼두근 장두와 외측두의 근활성도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8(1), 28-36.
  4. 김은미(2011). 안정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팔굽혀 펴기 시 어깨와 몸통근육의 근 활성도 비교. 한국국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은영, 박흥기, 안병헌(2008). 지지면 간격 변화에 따른 푸시업(Push-up) 굽힘동작과 푸시업 플러스(Push-up plus) 동작시 상지 근육의 활성도 비교. 대한물리치료과 학회지, 15(3), 31-41.
  6. 김정빈(2011). 네발기기자세에서 Push up plus 운동 시 하지의 다양한 저항 방향에 따른 어깨와 체간근육의 근 활성도 비교.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진섭, 이동엽(2012). 다른 지면 조건에서의 푸시업 플러스 운동이 어깨 안정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정책연구지, 10(1), 399-405.
  8. 김하연, 김선엽, 장현정 등(2012). 수동 견갑골 거상 검사에 따라 분류된 경부통 환자의 견갑골 안정화운동 효과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9(3), 51-60. https://doi.org/10.12674/ptk.2012.19.3.051
  9. 노태환, 김정효, 박시백 등(2009). 팔 굽혀 펴기에 대한 생체역학 분석. 대한물리의학회지, 4(4), 269-274.
  10. 문성종(2010). 열린사슬운동 및 닫힌사슬운동에서 상완 굴곡 각도에 따른 앞톱니근의 근활성도 비교.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박준상, 전혜선, 권오윤(2007). 푸시업플러스 (push-up plus) 운동 시 견갑골 익상 유무에 따른 어깨안정근의 근활성도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4(2), 44-52.
  12. 배원식, 김지혁(2013). 닫힌사슬운동과 열린 사슬운동이 요부안정화근의 두께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1(3), 67-80.
  13. 오재섭, 박준상, 김선엽 등(2003). 슬링 (sling)과 고정된 지지면에서의 팔굽혀펴 기 동작 시 근 활성도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0(3), 29-40.
  14. 윤정규(2011). 안정된 지지면과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팔굽혀 펴기 시 상지 근 활성도와 운동학적 변수간의 상관분석.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3(2), 7-15.
  15. 이광규(2009). 탄력밴드, Swiss ball, 요부 안정화 운동이 만성요통 중년여성의 체중 분배, 요부 근력 및 요통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이동진(2011). 벽 밀기와 수정된 벽 밀기 운동시 어깨 주위근의 근 활성도.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이진혁(2013). 견관절 전방 불안정 환자에 있어서 견관절 각도가 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이원휘, 하성민, 박규남 등(2011). 견관절 외전 각도에 따른 중간 및 하부 승모근의 근 활성도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8(1), 47-56.
  19. 이해용(2012). 경부 안정화 운동이 경부 고유 수용성감각과 견관절 근력, 파악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 임진용(2010). 열린사슬과 닫힌사슬 운동이 어깨뼈 익상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장준혁(2011). 열린 사슬과 닫힌 사슬에서 위 팔 바깥돌림 운동이 가시아래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2. 장준혁, 구봉오, 김선엽(2003). 익상견갑에 대한 전거근 운동증례 보고.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9(2), 69-77.
  23. 장현정, 김지선, 최종덕 등(2012). 파악력의 강도가 두 가지 팔 자세에서 어깨근육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3(3), 1229-1237. https://doi.org/10.5762/KAIS.2012.13.3.1229
  24. 전윤선(2013). 푸쉬업 플러스 운동동안 배브 레이싱이 어깨뼈 안정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조익수(2013). 탄성밴드 이용한 닫힌사슬운동과 열린사슬 운동이 퇴행성 무릎관절염 환자의 균형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6. 퍼시픽학술국. Pacific's Human Anatomy. 서울, 퍼시픽북스.
  27. 채윤원, 감경윤, 강신욱 등(2011). 뉴만 Kinesiology. 2nd ed, 서울, 법문에듀케이션.
  28. 최석화(2012). 견관절 안정화운동이 중년여성의 견부통증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최임락(2011). 치료용 볼을 이용한 Wall push-up-plus 운동 시 자세와 지지면의 변화가 어깨와 체간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0. 최종덕(2008). 전거근 약화를 동반한 견관절 통증에 대한 7주 전거근 근력강화 운동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1. 최현(2012). 팔자세의 유형에서 손의 쥐기 강도가 어깨근육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정책연구지, 10(9), 435-441.
  32. 한상완, 김재윤, 강민성 등(2007). 6주간 슬링운동과 매트운동이 경부 협응력과 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물리치료학회지, 3(1), 37-46.
  33. Bentman S, O'Sullivan C, Stokes M(2010). Thickness of the middle trapezius muscle measured by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ing: Description of the technique and reliability study. Clin Physiol Funct Imaging, 30(6), 426-431. https://doi.org/10.1111/j.1475-097X.2010.00960.x
  34. de Moraes C, Davel AP, Rossoni LV et al(2008). Exercise training improves relaxation response and SOD-1 expression in aortic and mesenteric rings from high caloric diet-fed rats. BMC Physiol, 8, 12. https://doi.org/10.1186/1472-6793-8-12
  35. Kibler WB(1998). The role of the scapula in athletic shoulder function. Am J Sports Med, 26(2), 325-337. https://doi.org/10.1177/03635465980260022801
  36. Kisner C, Colby LA(2012).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6th ed, Philadelphia, F.A. Davis.
  37. Kinney E, Wusthoff J, Zyck A et al(2008). Activation of the trapezius muscle during varied forms of Kendall exercises. Phys Ther Sports, 9(1), 3-8. https://doi.org/10.1016/j.ptsp.2007.11.001
  38. Laudner KG, Meister K, Kajiyama S et al(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anterior glenohumeral laxity and proprioception in collegiate baseball players. Clin J Sports Med, 22(6), 478-482. https://doi.org/10.1097/JSM.0b013e31826903f5
  39. Ludewig PM, Hoff MS, Osowski EE et al(2004). Relative balance of serratus anterior and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during push up exercise. Am J Sports Med, 32(2), 484-493. https://doi.org/10.1177/0363546503258911
  40. Magee DJ(1999). Instability and stabilization. Theory and treatment. 2nd, Seminar Workbook.
  41. Moraes GF, Faria CD, Teixeira-Salmela LF(2008). Scapular muscle recruitment patterns and isokinetic strength ratios of the shoulder rotator muscles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impingement syndrome. J Shoulder Elbow Surg, 17(1), 48-53. https://doi.org/10.1016/j.jse.2007.08.007
  42. Steindler A(1955). Kinesiology of the human body under normal and pathological conditions. Springfield, Charles C Thomas.

Cited by

  1. E.M.G. Analysis of Korea and U.S. Army Push-up and Sit-up vol.74, pp.1, 2013, https://doi.org/10.31066/kjmas.2018.74.1.012
  2. Electromyographic comparison of modified push-up exercise: focused on various arm position vol.35, pp.1, 2013, https://doi.org/10.12925/jkocs.2018.35.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