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olicy Implication on the Addiction of Social Media Service User : Focusing on the Proposal of Korean SNS Addiction Index (KSAI)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 한국형 SNS 중독지수(KSAI) 제안을 중심으로

  • 이상호 (경성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 Received : 2012.12.17
  • Accepted : 2013.01.14
  • Published : 2013.01.31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policy proposals focusing on the addiction for the rapidly growing social media service (SNS) and its diagnosis. Researcher intends to define the SNS addiction and develops a diagnostic measure, which is a valuable subject. The reason is why the SNS becomes more convenient with prevalence of smart phones and the SNS addiction becomes enough severe to suggest internet addiction policy. Researcher presents the subjects into three parts. Firstly, the SNS addiction variables are derived and validated. Secondly, the path model between the SNS addiction variables is verified and discussed. Thirdly, researcher proposes the diagnostic results and the group comparison.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SNS addiction can be measured by the four elements, which are the failure in stopping the use of the SNS, time tolerance, living disability, withdrawal and anxiety. Researcher verifies the sequential impact of each variable and figures out the SNS addict through the presentation of a realistic measurement for the addiction index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level of the addiction. By the above result, the researcher proposes the public relations of the government policy for the sound usage of the SNS and the self management of user. Finally, variou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help to prevent juvenile crime, social problem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급증하는 소셜미디어서비스의 중독과 진단을 통한 정책 제안을 중점으로 다루고 있다. 연구자는 SNS의 중독을 정의하고, 척도를 개발하여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았다. 그 이유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SNS의 이용은 더욱 편리해졌고, 인터넷 중독 대응 정책을 마련한 것과 같이 SNS의 중독성이 심각하다는 판단에서였다. 연구자는 연구주제를 세가지로 제시하였는데 첫 번째, SNS중독 변인을 도출하여 검증하고, 둘째 SNS중독 변인들간의 경로 모형을 검증하고 논의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셋째, 연구자가 제안한 중독척도와 진단결과를 집단별로 확인 후 논의하는 것을 주제로 하였다. 연구결과 중독 척도는 시간적 내성, 생활 장애, 중단 시도 실패, 금단 불안 등 각 네개의 요소로 측정할 수 있는데, SNS중독의 순차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가 제시한 중독지수를 측정하여 현실적인 중독자 수준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정부의 정책당국자에게 SNS의 건전한 이용과 사용자의 자기 관리를 교육, 홍보하도록 제안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장차 일반인과 청소년의 과업에 방해되지 않고, 올바른 SNS사용이 사회적 문제, 청소년범죄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