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EDI Leadership Inventory (Simplified)

KEDI 리더십특성검사(간편형)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Received : 2013.01.29
  • Accepted : 2013.02.27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KEDI Leadership Inventory (Simplifie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 The existing Leadership Inventory is outdated by excessive or insufficient items.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KEDI Leadership Inventory (Simplified), we analyze internal consistency of scale for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and discriminative validity.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cale is relatively high from .610 to .838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from .734 to .936 for secondary school student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we analyz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whether revealed tha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cluding 5 construct validity in KEDI Leadership Inventory(Simplified) showed fit index at a satisfactory level as follows. The major fit indexes are showed as follows; CFI (.954), TLI (.943), RMSEA (.068) in th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CFI (.935), TLI (.915), RMSEA (.070) in the scale for secondary school student. Futhermore, to secure criterion-related validity, this KEDI Leadership Inventory(Simplifie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tudent's leader position in their classroom for r=.358 (p<.01), and gifted education students are significantly higher .50 than no gifted student. This KEDI Leadership Inventory (Sim'plified) is made up of parsimonious 20 items, so that teachers can be convenient to identify intra-inter personal leadership characteristics of a student and recommend the student for gifted education institu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용 및 중 고등학생용 'KEDI 리더십특성검사(KEDI Leadership Inventory (Simplified)'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및 기 개발된 리더십특성검사의 분석을 토대로 'KEDI 리더십 특성검사(간편형)'를 개발하였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되, 내적일치도,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준거타당도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검사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용은 .610-.838에 이르는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었고, 중 고등학생용은 .734-.936에 이르는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내용타당도 분석을 위해 교사 3인의 심의를 통해 수정 보완하였고, 교육학 전공 전문가 2명에게 문항별로 적절성 정도에 따라 5점 척도로 평정하였다. 그 결과, 리더십 전체 검사 평균이 각각 4.23, 4.17을 받아 비교적 높은 수치를 보였고, 두 전문가 평정점수의 상관계수가 .676로(Spearman 상관관계 계수) 내용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구인타당도 분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모형적합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초등학생의 경우 CFI, TLI, RMSEA 지수가 각각 .954, .943, .068로 양호하게 나타났고, 중학생의 경우 CFI, TLI, RMSEA 지수가 각각 .935, .915, .070으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준거타당도 분석을 위해 학교 안팎에서 리더로 활동하는 직책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리더십 검사점수결과는 모든 리더 직책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성을 보여주었으나 특히 학급 내에서의 직책과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p<.01). 또한 영재교육경험의 유무에 따라 리더십 요인별 점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영재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영재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들보다 약 0.5점정도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 검증한 'KEDI 리더십특성검사(간편형)'은 개인이 내적으로 지니고 있는 특성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외적으로 드러나는 개인 간 특성을 쉽고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어서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검사도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종, 이남철, 전재식, 윤여인, 김환식 (2008). 인적자원정책 혁신기반 연구.사업-핵심인재 양성 인프라 구축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김동일 (2006).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을 위한 알자 청소년 학습전략 검사 실시요강. 서울: 학지사.
  3. 김미숙, 전미란 (2005). 영재의 리더십 육성을 위한 기초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I: 영재 리더십의 사회적 기대와 구성요인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 김미숙, 박효정, 유효현, 전미란, 박춘성 (2006). 리더십 검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수탁연구 CR 2006-44.
  5. 김정식, 강원진 (2009). 자기-타인 평가의 문화적 편포의 기제: 종결욕구의 조절효과분석.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대회 발표자료.
  6. 김현철, 김홍원, 최인수, 이윤옥, 이정규 (2005). 정의적 사회적 특성 분석과 영재성 판별에서의 시사점. 한국교육, 32(3), 205-231.
  7. 박원우 (2000). 관리자 능력에 대한 본인, 상사, 부하평가의 특성과 그들 간의 관계: 다면평가의 효과적 실시를 위한 기초적 실증연구. 인사조직연구, 8(1), 51-103.
  8. 백기복 (2000). 이슈리더십: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 산업교육연구, 7, 25-38.
  9. 정우식, 한신일 (2010). 청소년 리더들의 리더십 특성과 이의 인식과 실행간 차이 분석. 교육종합연구, 8(2), 117-139.
  10. 진석언 (2003). 영재성과 리더십. 박성익 외, 영재교육학 원론. (pp. 273-288). 파주: 교육과학사.
  11. 최승언, 전미란, 안유민, 신윤주 (2008). 창의인재의 개념 정립.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12. Altman, R. (1983).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search model. Roeper Review, 6(2), 65-68. https://doi.org/10.1080/02783198309552757
  13. Amabile, T. M. (1996).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New York: Springer-Verlag.
  14. Betts, G. T., & Neihart, M. (2005). Profiles of the gifted and talented. In R. J. Sternberg (Eds.), Definitions and conceptions of giftedness (pp. 97-106).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15. Cornell, D. G. (1983). Gifted children: The impact of positive labelling on the family system.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3, 322-335. https://doi.org/10.1111/j.1939-0025.1983.tb03376.x
  16. Feldhusen, J. F. (1986). A conception of giftedness. In R. S.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 of giftedness. (pp. 112-127).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Feldhusen, J. F. (1992). Talent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Gifted Child Quarterly, 36, 123-132. https://doi.org/10.1177/001698629203600301
  18. Florida, R. (2002). 창조적 변화를 주도하는 사람들. [이길태 역]. 서울: 전자신문사.
  19.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20. Gardner, H. (1993).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21. Gardner, H. (1995). Leading Minds. New York: Basic Books.
  22. Gardner, H. (2008). Five minds for the future.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3. Gottfried, A. E., & Gottfried, A. W. (2004). Toward the development of a conceptualization of gifted motivation. Gifted Child Quarterly, 48, 121-132. https://doi.org/10.1177/001698620404800205
  24. Graustrom, K. (1986). Interactional dynamics between teen-age leaders and followers in the classroom.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4, 335-341. https://doi.org/10.1016/0022-4405(86)90021-X
  25. Gross, M. (1993). Exceptionally Gifted Children. New York: Routledge.
  26. Karnes, F. A., & Chauvin, J. C. (2000). Leadership skills inventory. Scottsdale, AZ.: Great Potential Press.
  27. Ludwig, G., & Cullinan, D. (1984). Behavior problems of gifted and nongifted elementary girls and boys. Gifted Child Quarterly, 28(1), 37-39. https://doi.org/10.1177/001698628402800109
  28.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Phi delta Kappan, 60, 180-184, 261.
  29. Renzulli, J. S., Smith, F. H., White, A. J., Callahan, C. M., Hartman, R. K., & Westburg, K. L. (2002).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revised (SRBCSS-R). Wethersfield, CT: Creative Learning Press.
  30. Tannanbaum, A. J. (1983). Gifted children: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New York: Macmillan.
  31. Terman, L. M. (1925). Genetic studies of genius.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32. Terman, L. M., & Oden, M. H. (1947). The gifted child grows up: Twenty-five years' follow-up a superior group.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 4.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33. VanTassel-Baska, J. (1998). Excellence in educating gifted and talented learners. New York: Love Publishing Co.
  34. Webb, J. T. (1993). Nurturing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In K. A. Hellen, F. J. Monks. & A. 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pp. 525-538). Pargamon Press.
  35. Whitmore, J. R. (1980). Giftedness Conflict and Underachievement. Boston: Allen &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