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ison Study of Learning Style,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between Gifted and Normal Student

영재아와 일반아의 학습양식, 자기조절학습전략 및 학습몰입 비교 연구

  • Received : 2013.01.22
  • Accepted : 2013.04.15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 of learning style, self-regulated learning, learning flow, analyzed the learning style impa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between gifted and normal stud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8 sixth grade gifted students and 124 general students who showe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ame lev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gifted elementary children had more than the general independent, competitive, participatory learning style and they used personal, behavioral and environmental self-regulation strategies more often. Also they had a higher degree of learning flow than the general. Both gifted and general students, the more independent and participatory learning style, the more increased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And the more used self-regulated learning, the more increased learning flow. The learning flow of the gifted children was higher the more independent, the more participatory, the more used behavioral and personal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he learning flow of the general elementary children was higher the more participatory, the more used environmental and personal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초등 영재아와 일반아의 학습양식, 자기조절학습전략 및 학습몰입 간의 차이와 학습양식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영재아 118명과 일반아 124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영재아는 일반아보다 독립적, 경쟁적, 참여적 학습양식을 가졌으며, 개인적, 행동적, 환경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학습몰입의 정도가 높았다. 둘째,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립 및 참여적 학습양식은 자기조절학습전략과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영재아의 학습몰입은 학습양식이 참여적이고 독립적일수록, 행동적, 개인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높았고, 일반아의 학습몰입은 학습양식이 참여적일수록, 개인적, 환경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은진 (2002). 고등학교 학생들의 Holland의 직업적 성격유형과 학습양식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2. 권향순 (2007).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습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 김동일 (2000). 학습장애와 학습부진: 쟁점과 대안적 접근. 서울: 교육과학사.
  4. 김영채 (2011). 학습스타일 진단검사 표준화검사 요강. 대구: 창의력 한국 FPSP.
  5. 김종운, 김효은 (2012).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와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1), 97-118.
  6. 김판수, 강승희 (2003). 초등학교 수학 및 과학 영재와 일반아동의 학습양식과 성격양식의 차이 연구. 학교수학, 5(2), 191-208.
  7. 남희영 (2011). 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의 학습경험에 따른 초등영재의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습몰입 비교.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8. 노신자 (2002). 영재와 일반아동의 자기조절학습과 창의적 성격의 차이. 석사학위 논문. 부경대학교.
  9. 민현숙, 양연숙 (2012). 초등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습몰입 비교연구. 영재교육연구, 22(1), 57-71.
  10. 박성익, 김연경 (2006).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열린교육연구, 14(1), 93-115.
  11. 박하진 (2011). 초등 수학영재의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창의적 성향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2. 박현정 (2005).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학습전략의 사용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한국교육, 32(1), 203-222.
  13. 서미옥 (2012). 자기조절전략, 성취목표지향과 대학생의 학습양식간의 관계. 교육학연구, 50(1), 55-79.
  14. 서주연 (2004). 영재와 평재 간의 자기 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상의 차이.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15. 석임복 (2007). 학습 몰입의 구조: 척도․성격․조건․관여.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16. 석임복, 강이철 (2007). Csikszentmihalyi의 몰입 요소에 근거한 학습 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공학연구, 23(1), 119-152.
  17. 신민희 (1998). 자기조절학습 환경이 학습 성취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14(13), 177-204.
  18. 심규철, 김현섭, 김여상, 최선영 (2004). 생물 분야 과학 영재들의 학습 양식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4), 267-275.
  19. 양명희 (2002). 자기조절학습 구성변인과 학업 성취와의 관계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3(2), 47-70.
  20. 오금석 (2003).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 학습양식,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분석.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1. 이미례 (2010). 초등영재의 수업에 대한 인식과 학습몰입의 관계 연구: 영재교육기관과 학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2. 이소연 (2009).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양식의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23. 이신동, 유미선, 최병연 (2008). 초등 영재와 일반학생간의 학업성패에 대한 귀인성향과 자 기조절학습전략 사용의 차이. 영재교육연구, 18(3), 425-442.
  24. 이유리 (2010). 수학과학 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상위인지전략 및 몰입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비교.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25. 이유진 (2012). 초등영재학생의 정서지능과 자기조절학습전략능력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6. 이은주 (2001). 몰입에 대한 학습동기와 인지전략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5(3), 199-216.
  27. 이재신 (2009). 고등학생의 메타인지와 학습몰입과의 관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매개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77-295.
  28. 이지호 (2010).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적 자기조절 동기유형과 몰입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29. 이현래 (2004). 중학생의 학습양식 유형에 따른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성적.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육원대학교.
  30. 정미경 (1999).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관한 구조모형 검증.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31. 정미선, 정세영 (2012).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양식 비교. 영재교육연구, 22(1), 39-59. https://doi.org/10.9722/JGTE.2012.22.1.039
  32. 정소영 (2002). 자기조절학습 훈련 후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자기조절 학습 전략 사용의 변화: 초등학교 5학년 수학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3. 정순진 (2007).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성격양식과 학습양식 비교.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34. 차순미 (2011). 자기조절학습이 학습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5. 차영희 (2008). 자기 조절 학습 전략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36. 태명화 (1998).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양식과 자아개념과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7. 홍승표 (2012).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초기의지와 지속의지 및 몰입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1), 443-459.
  38. Bouffard-Bouchare, T., Parent, S., & Larive' e, S. (1993). Self-regulation on a concept-formation task among average and gifted students. Journal of Experimenal Child Psychology, 56, 115-134. https://doi.org/10.1006/jecp.1993.1028
  39.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Jossey-Bass.
  40. Csikszentmihalyi, M. (2004).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최인수 역]. 서울: 한울림. (원본출간년도: 1990).
  41. Csikszentmihalyi, M., Rathunde, K., & Whalen, S. (1993). Talented teenagers: A longitudinal study of their develop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Grasha, A. F., & Reichmann, R. E. (1974). A rational approach to developing and assess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a student learning style scales instrument. Journal of Psychology, 87(2), 213-223. https://doi.org/10.1080/00223980.1974.9915693
  43. Lee, M. S., & Siegle, D. (2008). A multilevel analysis of gifted Korean American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school context effects on learning style preferences. Gifted and Talented International, 23(2), 25-38.
  44. Nakamura, J. (1988). Optimal experiences and the uses of talent. In M. Csikszentmihalyi & I. Csikszentmihalyi (Eds.), Optimal experience: Psychological studies of flow in consciousness (pp. 319-326).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Reid, J. M. (1995). Learning style preferences of ESL student. TESOL Quarrtly, 21(1), 88-112.
  46. Risemberg, R., & Zimmermman, B. J. (1992). Self-regulated learning in gifted students. Roper Review, 15(2), 98-101. https://doi.org/10.1080/02783199209553476
  47. Schunk, D. H., & Zimmerman, B. J. (2008).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48. Sternberg, R. J., & Davidson, J. E. (1995). The nature of insight. Cambridge MA: MIT Press.
  49. Zimmerman, B. J. (1989). A social-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 329-339. https://doi.org/10.1037/0022-0663.81.3.329
  50.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90). Student differences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 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3), 284-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