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es of Curriculums at Institutes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in Universities: Focused on Enrichment Step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교육 현황 분석: 심화반 교육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3.03.27
  • Accepted : 2013.04.17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In this study, we seek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t institutes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in universities by analysing the curriculums. Annual reports were analyzed, directors, professors, and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directors were interviewed. The number of students was three times more than enrichment step than mentorship step. In content items, four items among nine received scores was 4 on the 5 point Likert scale.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tems, five items among ten received scores 4. Students' choice and experience received scores below 4. In the product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items, all items lower than 4. The professors did not supply guid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The professors developed and revised the curriculum considering the students' interests. The directors, professors, and students wanted to increase the free inquiry time.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ed that free inquiry time, a variety of experience, product, and environment considering individual students' abilities and interests should be increased.

본 연구에서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연차보고서 분석, 원장, 지도교수, 심화반 학생에 대한 설문조사, 원장과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심화반 학생수가 사사반 학생수의 약 3배 정도 되었다. 심화반 교육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육내용에서 지식체계, 흥미 등 4개 항목이 리커르트척도 5점 만점에서 4점을 나타낸 반면에, 인문 및 예술, 봉사정신 등 5개 항목은 4점 미만을 나타내었다. 교수학습 과정에서는 사고력 활동, 실험실습 등 5개 항목이 4점을 나타낸 반면에, 자유탐구, 학생 선택권, 체험활동 등 5개 항목이 4점 미만으로 나타났다. 산출물과 학습환경의 항목은 모두 4점 미만을 나타내었다. 학생에 대한 평가는 주로 진급 대상자를 선정하는 데 활용하였으며, 교육 과정의 개발과 개선은 학생의 흥미를 주로 고려하였다. 원장, 지도교수, 학생 모두 자유탐구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체험활동, 자유탐구, 산출물 제작, 학생을 고려한 학습환경 등의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지영, 이길재, 김성하, 김희백 (2005).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분석 모형의 고안과 국내의 과학영재를 위한 생물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1), 122-131.
  2. 서유헌 (2010). 엄마표 뇌교육. 서울: (주)생각의 나무.
  3. 서정희, 최재혁, 김용 (2007). 고등학교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생애 학습 능력 비교.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1), 61-71.
  4. 서혜애, 손연아, 김경진 (2003). 영재교육기관 교수.학습 실태분석.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2003-26.
  5. 신미영 (2004). 과학 영재 프로그램의 학습목표, 과학적 모형, 과학탐구의 인지과정: 서울대학교 과학영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6.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 (2002).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7. 심규철, 소금현, 이현욱, 장남기 (1999). 중학교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과학적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4), 368-375.
  8. 이상권, 모란 (2012). 대학부설 5개 과학영재교육원의 중등화학 교재 분석과 영재학생들의 인식 조사. 과학교육연구지, 36(1), 106-119.
  9. 정현철, 조선희, 김미영 (2011). 과학영재교육기관 캠프 운영 실태 분석. 영재교육연구, 21(2), 547-573.
  10. 조선희, 김희백, 이건호 (2007).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교육 대상자들의 지능과 창의력 수준 분석. 영재교육연구, 17(1), 123-143.
  11.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교과부 지정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현안과 발전방향. 교과부 지정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발전포럼 자료.
  12. Betts, G. T., & Kercher, J. K. (1999). Autonomous learner model optimizing ability. US: ALPS publishing.
  13. Clark, B. (2008). Growing up gifted: Developing the potential of children at school and at home. Boston: Pearson.
  14. Clark, B. (2010). 영재교육과 재능계발. [김명숙, 서혜애, 이미순, 전미란, 진석억, 한기순,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본출간년도: 2008).
  15. Feldhusen, J. F., & Kolloff, P. B. (1986). The Purdue three-stage enrichment model for gifted education at the elementary level. In J. S. Renzulli (Ed.), Systems and models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pp. 126-152).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16. Kaplan, S. N. (2009). Layering differentiated curricula for the gifted and talented. In F. A. Karnes & S. M. Bean (Ed.), Methods and materials for teaching the gifted (pp. 107-136). Waco: Prufrock Press Inc.
  17. Maker, C. J., & Nielson, A. B. (1996).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aching strategies for gifted learners. Austin, Texas: Proed.
  18. Renzulli, J. S. (1976). The enrichment triad model: A guide for developing defensible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Gifted Child Quarterly, 20(3), 303-326. https://doi.org/10.1177/001698627602000327
  19. Renzulli, J. S., & Reis, S. M. (1991).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A compr ehensi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roductivity.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111-141). Needham Height, MA: Allyn and Bacon.
  20. Sowell, E. R., Thompson, P. M., Leonard, C. M., Welcome, S. E., Kan, E., & Toga, A. W. (2004). Longitudinal mapping of cortical thickness and brain growth in normal children. Journal of Neuroscience, 24(38), 8223-8231. https://doi.org/10.1523/JNEUROSCI.1798-04.2004
  21. Thompson, P. M., Giedd, J. N., Woods, R. P., MacDonald, D., Evans, A. C., & Toga, A.W. (2000). Growth patterns in the developing brain detected by using continuum mechanical tensor maps. Nature, 404, 190-193. https://doi.org/10.1038/35004593
  22. Tomlinson, C. A., Kaplan, S. N., Renzulli, J. S., Purcell, J. H., Leppien, J. H., Burns, D. E., Strickland, C. A., & Imbeau, M. B. (2009). The parallel curriculum. NAGC.
  23. Tomlinson, C. A., Kaplan, S. N., Renzulli, J. S., Purcell, J. H., Leppien, J. H., & Burns, D. E. (2009). 병행교육과정: 학생의 잠재성과 능력을 개발하는 교육과정 [이미순 역]. 서울: 도서출판 박학사. (원본출간년도: 2009).
  24. Treffinger, D. J. (1978). Guidelines for encouraging independence and self-direction among gifted students.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2(1), 14-20. https://doi.org/10.1002/j.2162-6057.1978.tb00155.x
  25. Van Tassel-Baska, J. (2003). What matters in curriculum for gifted learners: Reflections 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rd ed., pp. 174-183). MA: Allyn and Bacon.
  26. Van Tassel-Baska, J., & Stambaugh, T. (2006). 최신 영재교육과정론. [강현석, 정정희, 박창언, 박은영, 황윤세, 장사형, 이신동, 이경화, 최미숙, 이순주, 이효녕, 문병상,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본출간년도: 2006).

Cited by

  1. A Study on Validity Analysis of Observation-Recommendation Admission System of the Gifted Children in IT to Lead Software-oriented Society vol.17, pp.3, 2016, https://doi.org/10.7472/jksii.2016.17.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