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omain Analysis on the Field of Open Access by Co-Word Analysis

동시출현단어 분석 기반 오픈 액세스 분야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 서선경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 정은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전공)
  • Received : 2013.02.20
  • Accepted : 2013.03.17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Due to the advance of scholarly communication, the field of open access has been studied over the last dec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demonstrate the field of open access via co-word analysis. The data set was collected from Web of Science citation database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998 to July 2012 using the Topic category. A total of 479 journal articles were retrieved and 8,643 noun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the titles and abstrac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network analysis, clustering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mapping were used to examine the domain and the sub-domains of open access field. 18 clusters in the network analysis are recognized and 4 clusters are shown in the map of multidimensional scaling. In addition, the centrality analysis in the weighted networks was used to explore the significant keywords in this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demonstrate and guide the intellectual structure and new approaches of open access field.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변화로 인해 오픈 액세스 분야는 상대적으로 최근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사용하여 오픈 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를 규명하여 연구동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데이터 수집은 Web of Science 기반으로 수행하였다. 검색 대상 기간은 1998년 1월 1일부터 2012년 7월 31일까지이며, Topic검색을 통하여 총 479건의 저널 논문을 수집하였다. 총 479건의 저널 논문 제목과 초록에서 명사구 형태의 키워드는 총 8,643개(문헌 당 18.04개)를 추출하였다. 오픈 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 규명을 위해 첫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18개의 세부 주제 영역을 밝혔으며, 오픈 액세스 분야 키워드들의 지적 관계를 시각화하여, 키워드 관계, 중심성 분석을 통한 전역 중심 키워드와 지역 중심이 높은 키워드를 제시하였다. 둘째,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형성된 4개의 군집을 MDS지도에 표시하였으며, 각 키워드들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지적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오픈 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를 밝히며, 향후 연구 방향성 모색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희정. 2011. 네트워크 분석을 기반으로 한 웹 아카이빙 주제 영역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2): 235-248.
  2. 박재신, 정영미. 2010. 지구적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학술활동과 환경운동 경향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3): 83-102.
  3. 이재윤. 2006a. 지적구조의 규명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2): 333-355.
  4. 이재윤. 2006b. 지적구조 분석을 위한 새로운 클러스터링 기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3(4): 215-231.
  5. 이재윤. 2006c. 계량서지적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중심성 척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3): 191-214.
  6. 장임숙, 장덕현, 이수상. 2011. 다문화연구의 지 식구조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353-374.
  7. 정경희. 2011. 국내 오픈 액세스 학술지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373-391.
  8. 정용일, 이준영, 이방래, 유선희, 원동규, 정성창, 주시형. 2005. <계량정보분석을 통한 지식의 mapping과 활용>. 서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9. Ding, Y., G. G. Chowdhury, and S. Foo. 2001. "Bibliometric cartography of information retrieval research by using co-word analysis."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37(6): 817-842. https://doi.org/10.1016/S0306-4573(00)00051-0
  10. Guilford, J. P. 1950. Fundamental statistics in psychology and education. New York: McGraw-Hill.
  11. Hansen, D.L., B. Shneiderman, and M. A. Smith. 2011. Analyzing social media networks with NodeXL: insights from a connected world. MA: Morgan Kaufmann.
  12. Koehler, A. E. C. 2006. "Some Thoughts on the Meaning of Open Access for University Library Technical Services." Serials Review, 32(1): 17-21. https://doi.org/10.1080/00987913.2006.10765020
  13. Liu, G. Y., J. M. Hu, and H. L. Wang. 2012. "A co-word analysis of digital library field in China." Scientometrics, 91(1): 203-217. https://doi.org/10.1007/s11192-011-0586-4
  14. Milojevic, S., C. R. Sugimoto, E. J. Yan, and Y. Ding. 2011. "The cognitive structur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alysis of article title word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2(10): 1933-1953. https://doi.org/10.1002/asi.21602
  15. Noyons, E. C. M. and A. F. J. van Raan. 1998. "Advanced mapp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Scientometrics, 41(1-2): 61-67. https://doi.org/10.1007/BF02457967
  16. White, H. D. and B. C. Griffith. 1981. "Author cocitation: A literature measure of intellectual structur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 Technology, 32(3): 163-171. https://doi.org/10.1002/asi.4630320302
  17. 이재윤. COOC ver 0.3.1 [cited 2012.9.22].
  18. 이재윤. WNET ver 0.4 [cited 2012.9.22].

Cited by

  1. Profiling and Co-word Analysis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Domain vol.30, pp.4, 2013, https://doi.org/10.3743/KOSIM.2013.30.4.195
  2.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emantic Relation in Building a Structured Glossary vol.48, pp.2, 2014, https://doi.org/10.4275/KSLIS.2014.48.2.353
  3. A Comparative Analysis of Social Commerce and Open Market Using User Reviews in Korean Mobile Commerce vol.21, pp.4, 2015, https://doi.org/10.13088/jiis.2015.21.4.053
  4.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Domestic/International Information Science Articles by Co-word Analysis vol.31, pp.1, 2014, https://doi.org/10.3743/KOSIM.2014.31.1.099
  5. A Bibliometric Analysis on Twitter Research vol.31, pp.3, 2014, https://doi.org/10.3743/KOSIM.2014.31.3.293
  6. Analysis of Reference Inquirie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in the Collaborative Reference Service Using the Co-Word Technique vol.49, pp.1, 2015, https://doi.org/10.4275/KSLIS.2015.49.1.129
  7. 학술논문의 저자키워드 출현순서에 따른 저자키워드 중요도 측정을 위한 네트워크 분석방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vol.31, pp.2, 2013, https://doi.org/10.3743/kosim.2014.31.2.121
  8. 동시출현단어분석을 이용한 연관영화정보 분석 연구 vol.31, pp.4, 2013, https://doi.org/10.3743/kosim.2014.31.4.161
  9. 가중 네트워크를 위한 일반화된 지역중심성 지수 vol.32, pp.2, 2013, https://doi.org/10.3743/kosim.2015.32.2.007
  10. 대학 교양교육 주제영역의 계량적 분석연구 vol.26, pp.4, 2013,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4.245
  11. 정신의학 분야 국제공동연구의 지적구조 네트워크 분석 vol.33, pp.1, 2013, https://doi.org/10.3743/kosim.2016.33.1.053
  12. 동시출현단어 분석에 기반한 메타데이터 분야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vol.33, pp.3, 2013, https://doi.org/10.3743/kosim.2016.33.3.063
  13. 국내 재난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한 계량정보학적 분석 vol.33, pp.4, 2013, https://doi.org/10.3743/kosim.2016.33.4.103
  14.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보조공학 저널의 지적구조 분석 vol.11, pp.1, 2013, https://doi.org/10.21288/resko.2017.11.1.15
  15. 텍스트 분석 기술 및 활용 동향 vol.42, pp.2, 2017, https://doi.org/10.7840/kics.2017.42.2.471
  16. 동시출현단어분석을 통한 데이터과학 분야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vol.34, pp.4, 2013, https://doi.org/10.3743/kosim.2017.34.4.101
  17.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저자키워드 출현순서에 대한 의미 분석 vol.9, pp.9, 2013, https://doi.org/10.15207/jkcs.2018.9.9.009
  18. 학위논문 분석을 통한 미국 도서관학 및 정보과학 최근 연구 동향에 관한 연구 vol.35, pp.3, 2018, https://doi.org/10.3743/kosim.2018.35.3.011
  19.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통한 국내 감정노동의 연구동향 탐색 vol.9, pp.3, 2013, https://doi.org/10.22156/cs4smb.2019.9.3.068
  20.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활용한 오픈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 분석: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출판된 문헌정보학 저널을 기반으로 vol.50, pp.1, 2013, https://doi.org/10.16981/kliss.50.1.201903.333
  21. 장서개발관리 분야 최근 연구동향 분석에 대한 연구 vol.36, pp.2, 2013, https://doi.org/10.3743/kosim.2019.36.2.105
  22. Intellectual structure evolution of open access research observed through correlation index of keyword centrality vol.125, pp.3, 2013, https://doi.org/10.1007/s11192-020-03682-4
  23. 동시출현단어 분석에 기초한 지적구조 분석에서 키워드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 국외 오픈액세스 분야를 중심으로 - vol.55, pp.3, 2021, https://doi.org/10.4275/kslis.2021.55.3.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