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House Repairs for Weak Class in Rural

농촌 주거취약계층 주택 개보수 특성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3.10.10
  • Accepted : 2013.11.21
  • Published : 2013.11.25

Abstract

Rural community in Korea being changed to aging community, declining population and income loss by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urbanization. The weak class in rural is confronted with more poorly environment. So it is needed to check the quality of the weak class's house in rural. Basically proposes of this paper is to find ways about rural housing improving and the vitality of rural community. This paper contents rural housing problems through the paper review and house repair characteristics for the weak class. Data for statics analysis were obtained from house repair support program for the weak class in Jeonnam province from 2011 to 2012.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 First, house repair items ranking for the weak class in rural was insulation & heating, toilet, structure, indoor environment, electricity, outside and kitchen & waterproof. This result was reflected that weak class's energy bills is high ratio compared with income. Second, health facilities were improved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s convenience in considering that most of weak class is a senior. Last, most of houses for weak class in rural are old clay wall and block wall. So these houses are reinforced the wall for structural safety.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www.retscreen.net. (2005). INTRODUCTION TO CLEAN ENERGY PROJECT ANALYSIS: RETScreen$^{(R)}$International Clean Energy Decison Support Centre.
  2. 강미나, 김영표, 김진범, 하수정, 김미정, 김형우. (2012). 농촌지역의 주거품격 향상을 위한 농촌주택 정책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3. 고혜진, 이근복, 황희연. (2009). 농어촌주거환경개선사업의 시행결과에 대한 인식차이 분석 -청원군 공무원과 주민의 의견을 토대로. 농촌계획, 15(3), 23-32.
  4. 김강섭, 임상봉, 윤진수, 전택기, 김진환. 농어촌지역 주거복지 취약계층을 위한 공동주거 모델 개발 연구: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5. 김상범, 조순재, 강방훈, 김혜민. (2003). 농촌주거환경개선사업에 따른 농촌주거환경실태와 주민만족도. 농촌계획, 9(3).
  6. 김영란. (2011). 영국 농촌의 변화와 농촌복지에 관한 역사적 고찰. 상황과 복지.
  7. 김윤이. (2011).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사업의 현황과 개선 방향. 도시와 빈곤, 90.
  8. 김진황, 김승근, 김경희. (2011). 어촌지역의 공간특성을 고려한 경관형성방안연구: 농어촌연구원.
  9. 나라기록(contents.archives.go.kr), 주거환경개선.
  10. 박덕병, 조록환, 황대용, 이응철, 이혜현. (2005). 농촌 어메니티 자원을 활용한 외국의 농촌개발정책: 농촌자원개발연구소.
  11. 박미란, 류연수, 김진욱, 주혜진, 이영호. (2012). 농촌주택 거주현황 및 난방에너지 사용 분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32(2).
  12. 박신영, 방종대, 문효곤, 김경미, 김선중, 김태일, 이재훈. (2011). 저소득층 주택상태 조사 및 주택개보수사업 추진방안연구: 국토해양부.
  13. 박신영, 방종대, 문효곤, 김경미, 김선중, 김태일, 이재훈. (2011). 저소득층 주택상태 조사 및 주택개보수사업 추진방안연구: 국토해양부.
  14. 박준필, 조인형. (2011). 저소득층 주거복지 정책의 바람직한방향: 광주발전연구원.
  15. 보건복지부(2011). 2011년 국민지초생활보장 수급자 현황.
  16. 서종균. (2010) 취약계층의 주거복지 향상 방향. 국토
  17. 손정원, 차지은. 영국의 노인을 위한 주택 정책. 도시문제.
  18. 송미령, 김정섭, 박경철. (2006). 영국의 농촌지역사회개발정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 염철호, 하지영. (2011). 주거문화 진단 및 주택정책 방향설정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 이승훈. (2006). 1970년대 농촌주택개량사업. 정신문화연구, 29(4).
  21. 이지숙, 김지혜. (2010). 농어촌 경관이미지 형성을 위한 환경색채 적용모델 제작 2: 농어촌연구원.
  22. 임상봉, 김미영. (2010). 30년 후의 바람직한 농어촌 지역개발모형 연구: 농림수산식품부 한국농어촌공사.
  23. 천택기, 임상봉, 박윤호, 김경찬, 김미영, 양현석. (2008). 농촌정주환경 지표 및 자료관리체계 구축방안: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24. 최영완, 김영주. (2013). 농촌마을 공간특성과 어메니티자원의 입지분석. 농촌계획, 19(1),
  25. 한기준, 조용훈. (2006). 2001년 안성시 농촌구거환경개선사업에 의해 신축개량된 농촌주택의 건축적 성격 및 이용자의 요구사항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7)
  26. 황한철, 강구, 최수명. (2007). 농촌마을빈집빈터의 입지특성분석 및 활용방안. 농촌계획, 13(1), 1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