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ual Model among Variables associated with Performance of Community of Practices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중소기업 실행공동체 성과와 관련 변인 간의 인과적 모형

  • Received : 2013.04.30
  • Accepted : 2013.06.26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sual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learning motivation, leader competency, top management support, and knowledge creation of communities of practices(CoP)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target population as members of CoP in 334 SMEs who participated in 'Building a learning organization project 2011' hos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 Labor and conducted b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Consequently, a total of 305 out of 48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To estimate parameters of proposed research model,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used.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usal model of this study is suitable to empirical analysis on research variables. Second, CoP members's learning motivation, leader competency, and top management support in SMEs have direct effect on knowledge creation positively. Third, top management support has not indirect effect on knowledge creation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However, top management support has indirect effect on knowledge creation with partial mediation effect of leader competency. Forth, CoP leader's competency in SMEs has indirect effect on knowledge creation with partial mediation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Fifth, top management support has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ixth, CoP member's learning motivation, leader competency, and top management support have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th partial mediation effect of knowledge cre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소기업 실행공동체의 조직성과와 학습동기, 리더역량, 최고 경영층의 지원 및 지식창출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는 고용노동부에서 주관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의 실행공동체 구성원으로부터 수집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485부를 배포하여 305부를 최종분석에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기본적으로 기술통계방법과 공변량구조분석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 간 인과관계 모형은 중소기업 실행공동체를 대상으로 한 실증자료를 분석하기에 적합하며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한다. 둘째, 중소기업 실행공동체 참여자의 학습동기, 리더역량, 최고경영층의 지원은 지식창출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중소기업 실행공동체에 대한 최고경영층의 지원은 구성원들의 학습동기를 매개하여 지식창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리더역량을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중소기업 실행공동체를 이끄는 리더의 역량은 학습동기를 매개하여 지식창출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실행공동체에 대한 최고경영층의 지원은 실행공동체의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중소기업 실행공동체 참여자들의 학습동기, 리더역량, 최고경영층의 지원은 지식창출을 매개하여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금만. (1999). 지식경영의 숨은 공신, 실행공동체. LG주간경제, 53.
  2. 강대신. (2010). 학습동아리 (CoP)의 참여동기 학습성과와 저해요인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고준, 엄기용. (2006). 온라인 실행공동체(Communities-of-Practice) 활성화 요인과 스폰서의 영향. 경영정보학연구 16(2), 183-205.
  4. 고준. (2005). 실행공동체(CoP)의 활성화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스폰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824-832.
  5. 곽재덕. (2010). 기업 교육훈련 참여자의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 유인가 직무몰입 및 상사지원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곽창헌. (2007). CoP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권용선. (2001). 지식창출을 위한 지식공유과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소집단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광표, 채명신, 염대성. (2009). 중소기업 CoP 특성과 조직시민행동간 관계 실증연구 -CoP성과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16(3). 1-29.
  9. 김상수, 김용우. (2002). 지식경영의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영학연구 29(4), 585-616.
  10. 김승수. (2004). 지식경영성공요인과 지식공유 조직성과 간 연계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김준영. (2006).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현황 및 개선방향. 대인경제리뷰 206, 34-55.
  12. 문세연. (2010).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학습동기 학습전략 대인관계 및 직무특성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문세연. (2011).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관련 변인.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4(3), 111-138
  14. 박보혜. (2005). 연구개발 부서의 CoP(Community of Practice) 활성화 방안 연구: S전자 G사업장 사례 중심. 한국과학기술원 석사학위논문.
  15. 박혜영. (2002). 성공적 지식경영을 위한 실행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의 효과적 구성을 위한 연구. 기업교육연구 4(2), 53-71.
  16. 방유선, 이명성. (2000). 성공적 지식경영을 위한 CoP 운영전략: S사의 지식경영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1(1), 127-137.
  17. 유영만. (1995). 지식경제시대의 학습조직. 서울: 고도 컨설팅 출판사.
  18. 유영만, 이선. (2004). 실행공동체 성과평가기준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0(1), 5-34.
  19. 이석래. (2007).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CoP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영선. (2005). 실행공동체의 참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지식생태학적 촉진기제. 고려대학교석사학위논문.
  21. 이예진. (2009). 실행공동체 내에서 지식창출에 미치는 예측요인의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정은. (2008). 실행공동체의 구조적 요인과 개인 조직성과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이주형. (2007). 실천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리더의 리더십 유형에 관한 사례연구. 한양대학교석사학위논문.
  24. 이홍재, 강재상. (2005). 효과적인 지식관리를 위한 학습공동체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9(4), 1-23.
  25. 이홍재, 차용진. (2006). 지식창출과 업무성과에 관한 연구: 지식창출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0(2), 99-124.
  26. 전수환, 김정수. (2005). CoP에서의 지식공유행위에 대한 영향요인: Triandis 모형을 근간으로. 경영학연구 34(6), 1667-1692.
  27. 전수환. (2002). BSC를 이용한 CoP 성과측정방안. LG전자(in press).
  28. 정영석. (2008). 공공조직과 영리조직의 CoP 활성화 요인 비교에 관한연구 : 정보통신부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중소기업중앙회. (2009). 중소기업현황. 중소기업중앙회.
  30. 진대선. (2007). 개인과 집단의 지식경영 활동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최미나. (2003). 인적자원개발부서 주도의 실행공동체(CoP) 창출 및 활성화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2. 최은희. (2010). 공공부문 실천공동체(CoP) 활동의 전개과정 및 영향요인 탐색:A 지방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KDPC) 지식표준팀. (2006). 지식정보 이슈보고서: CoP 활동을 통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지식격차 해소.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34. 한국산업인력공단. (2010).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지원사업 매뉴얼. 한국산업인력공단.
  35. 한국산업인력공단. (2011). 보도자료 중소기업 학습합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
  36. 함진. (2008). 공공부문 CoP 성과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A.H.P.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홍성수. (2010). 대기업 실행공동체의 성과와 조직적 지원 리더역량 및 운영방법 간의 구조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Ardichivili, A., Page, Y., & Wentling T. (2002). Virtual knowledge-sharing communities of practice at caterpillar: Success factors and barriers.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15(3). 94-113.
  39. Brophy, J. E. (1998).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New York: McGraw-Hill.
  40. Brown, J. S., & Duguid, P. (1996). Organizational learning and communities of practice: Toward a unified view of working, learning, and innovation, In M. D. Cohen, & L. S. Sproull (Eds.), Organizational Learning (pp 58-99). Tousnad Osks, CA: Sage.
  41. Brown, J. S., & Duguid, P. (2000). The social life of information.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42. Crossan, M., Lane, H., White, R. E., & Djurfeldt, L. (1995). Organizational learning: dimensions for a theor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Organizational Analysis, 3(4), 337-360. https://doi.org/10.1108/eb028835
  43. Devenport, T. H., Long, D. E., & Beers, M. C. (1998). Successful knowledge management project. Solan Management Review, 37, 53-56.
  44. Garvin, D. (1993). Building a learning organiz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July-August, 78-91.
  45. Kremer, A. L. (2006). Predictors of participation in formal and informal workplace learning: Demographic, situational, motivational and deterrent factor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46. Krogh, G. V., Ichijo, K., & Nonaka, I. (2000). Enabling knowledge crea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47.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Lin, H. F. (2007). knowledging sharing and firm innovation capability: An empir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23(3/4), 315-332.
  49. Nonaka, I., & Takeuchi, H. (1995). The knowledge-creating company: How Japanese companies create the dynamics of innovation. NY: Oxford University Press.
  50. Nonaka, I. (1994). A dynamic theory of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Organization Science, 5(1), 14-37. https://doi.org/10.1287/orsc.5.1.14
  51. Oldham, G, R., & Cummings, A. (1996). Employee creativity: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3). 607-634.
  52. Reina, D., Reina, M. (1999). Trust and betrayal in the workplace. San Francisco: Berrrett-Koehler.
  53. Smith, H., & MCkeen, J. (2003). Creating and facilitating communities of practice. Handbook on knowledge Management. Queen's University (Chapter 20, 393-407).
  54. Watkins, K. E., & Marsick, V. J. (1993). Sculpting the learning organiz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5. Wenger, E., McDermott, R., & Snyder, W. M. (2002). Cultivating communities of practice. Massachusett.,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56. Wenger, E., & Snyder, W. M. (2000). Communities of practice: The organizational frontier. Harvard Business Review, 78(1), 139-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