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the Forecasting Studies on 12 Traditional Korean Medicine Policy Realization

12개 미래 예측 한의약 정책 과제의 실현 평가 연구

  • Received : 2013.03.15
  • Accepted : 2013.04.15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Objectives : Aim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policies in the future. Final assessment for 12 of the forecasting projects was carried out on the TKM policies that deduced by professionals in 1996 whether or not to realize in 2013. Methods : We investigated governmental and private research projects, reports and papers, and laws and systems on the forecasting projects. We reviewed them through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formation Portal OASIS (http://oasis.kiom.re.kr),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http://kiss.kstudy.com/) and DBpia (http://www.dbpia.co.kr/), Akomnews(http://www.akomnews.com/), THE MINJOK MEDICINE NEWS(http://www.mjmedi.com/),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http://www.law.go.kr/). Results : Of the 12 forecasting projects, five were judged as 'realization', four were as 'partial realization' and three were as 'un-realization', The realization rate was 75.0%. Three un-realized projects included the TKM insurance coverage for various herbal medicines, leadership secure on medical technicians and commercialization of the TKM managing system on senior medicare policy. Realization of the future forecasting TKM policy projects was decided depending on conditions such as the importance, domestic capability levels, principal agents, methods and restrains. Conclusions : Continuous studies and new developed forecasting projects for the TKM policies will be required to realize the projects in the future.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과학기술기본법 [법률 제10878호, 2011.7.21.]
  2. 국가과학기술위원. 제4회 과학기술예측조사 2012-2035. 서울: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2: 3-4.
  3. 성현제, 신현규. 한의학의 중장기 예측을 위한 기획 연구. 서울:한국한의학연구소. 1996: 113-8.
  4. 이경구, 신현규. 한의약 미래예측(2000년-2010년)과제 중간 평가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7 ;28(1):42-50.
  5. 조재국. 국립한의과대학 설립 타당성 연구. 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1-34.
  6. 이선동. 국립대 한의학과 설치기준 및 육성 방안 연구. 서울:상지대학교. 2004:1-219.
  7. 이선동, 안상우, 권영규. 국립한의대 설치 필요성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도 조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5;9(1):37-48.
  8. 한국사회보장문제연구소. 한의약법의 독립적인 제정 및 기타 한의약관련 법률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서울:대한한의사협회. 1993:1-157.
  9. 대한한의사협회. 한의약법.행정제도 개선안. 서울:대한한의사협회. 1996:1-110.
  10. 고병섭. 한약 품질 표시 방안 연구. 서울:한국한의학연구원. 2000:1-365.
  11. 고병섭. 한약재 표준품 개발 수집 및 활용방안 연구. 서울:한국한의학연구원. 2002:1-386.
  12. 고병섭. 한약 규격화를 위한 감별시스템 구축. 서울:한국한의학연구원. 2002:1-117.
  13. 서병배. 표준한약개발연구 -유통한약의 등급화 기준제시-. 대전:보건복지부. 2004:1-447.
  14. 한약재품질표준화연구사업단. Available from: http://www.ncshm.re.kr/
  15. 권동렬. 한약재 규격품 유통 활성화 방안 연구. 익산:원광대학교. 2005:1-119.
  16. 황충연. 한방건강보험 개선방안 연구. 서울: 원광대학교. 2006:1-185.
  17. 박용신, 조병희, 김호, 이시백. 첩약의 보험급여 적용을 위한 과제 및 접근방안에 대한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3;7(1):17-28.
  18. 박혜정, 오문수, 김은정, 이상규, 박성규, 김윤경. 한약제제 보험급여 주상병과 처방분석. 대한본초학회지. 2006;21(4):1-10.
  19. 김진현, 김윤희. 건강보험의 보장성과 한방 의료 급여확대방안.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7 ;11(1):139-51.
  20. 김용호, 손지형, 문옥륜. 첩약의 건강보험 급여형태 및 급여범위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7;28(3):244-60.
  21. 김용호, 손지형, 김수영. 한약 건강 보험 시행을 위한 특정 상병명에 따른 기준처방조사. 대한한의학회지. 2009;30(1):1-16.
  22. 손지형, 김용호, 임사비나. 한의사의 복합과립제 사용 실태 조사 및 복합과립제 건강보험급여 시행방안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9;30(4):64-78.
  23. 김용호, 김세현, 장혜정, 박재경, 정미영, 박유선. 한약건강보험에 대한 일반인의 한약제형 선호도조사. 대한본초학회지. 2009;24(4) :17-23.
  24. 이은경, 정명수, 이기남. 비급여 한약의 보험 급여에 대한 한의사의 인식도 조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9;13(3):113-26.
  25. 유준상. 사상처방엑기스제의 한방보험 급여화에 대한 제안. 사상체질의학회지. 2011;23 (1):8-11
  26. 한병현. 한약제제 허가제도 개선방안 연구. 서울: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0:1-513.
  27. 이진영. 한약제제 허가사항 관련용어 등 표준화 연구. 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2006:1-579.
  28. 권동렬. 한약제제 재평가 제도 방안 연구. 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2004:1-205.
  29. 백우현. 한약제제 GMP제도 개선. 서울:한국제약협회 2004:1-263.
  30. 이진영 한약제제 제조공정 표준화 사업(l). 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2005:1-222.
  31. 김효진. 한약제제의 다성분 다변량적 품질평가 체계확립(l). 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2005:1-199.
  32. 김진웅. 한약제제의 품질보증을 위한 표준화 연구(I). 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2004:1-105.
  33. 김도훈. 생약.한약제제등 기준 및 시험방법 재검정 연구. 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2010 :1-105.
  34. 성상현. 한약추출물제제 품질 확보에 관한 연구. 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2004:1-166
  35. 이진영. 생약.한약제제 제조공정 표준화 및 동시분석법 개발. 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1-350.
  36. 김효진. 한약, 생약제제 표준관리지침연구(2). 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2007:1-291.
  37. 명승운. 한약제제의 개별 잔류농약 기준 설 정에대한연구(I). 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2006: 1-110.
  38. 장일무. 천연물신약.한약제제 비임상시험 가이드라인. 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2004:1-207.
  39. 이영미. 한약제제의 생화학적 약리작용 메커니즘 연구(l). 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2005: 1-94.
  40. 김윤경. 한약제제의 효력시험법구축(II). 서울: 식품의약품안전청. 2006:1-333.
  41. 김윤경. 대사성 질환에 대한 한약제제의 효력시험법 구축. 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1-359.
  42. 신현규. 천연물신약.한약제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I). 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2004:1-240.
  43. 신현규. 한약제제 등의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재정 연구(II). 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2005: 1-212.
  44. 임순희. 당뇨병에 대한 한약제제의 임상시험 평가지표개발 연구. 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2007:1-265.
  45. 황귀서. 한약제제 관리개선방안연구. 서울:보건복지부. 2005:1-119.
  46. 고성규. 취약군의 한약제제 적정사용 정보 가이드라인개발. 서울: 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1-493.
  47. 이선동. 한약.생약, 한약제제 및 생약제제 부작용에 관한 보고 체계 마련 및 활성화 연구. 서울: 식품의약품안전청. 2007:1-244.
  48. 신현규. 한약 및 한약제제 관리와 연구개발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0; 21(2):14-24.
  49. 한병현, 황귀서. 한약제제 허가기준 개선방안 연구(I).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1;5(1):57-75.
  50. 한동운. 수요자 중심의 한방공공보건사업의 내실화 방안 연구. 서울:건강증진사업단. 2006: 1-361.
  51. 한방공공보건평가단. Available from: http://hanmedi.maru.net/index.php
  52. 한동운. 한의약건강증진 프로그램 분석과 표준 매뉴얼 개발. 서울:건강증진사업단. 2009: 1-345.
  53. 김경철, 이용태. 실버 장수양생을 위한 精氣 神論的인 건강기구 개발.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17(4):893-7.
  54. 최지영, 김준철, 진주환. 일부 자동차 공장 근로자들의 직종별 생활습관과 양생수준 평가. 한국전통의학지. 2008;16(1):69-90.
  55. 신헌태, 이선동. 일부 한국인 고혈압환자의 한방양생 실천수준 및 생활습관.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9;13(3):893-7.
  56. 이정한. 근로자의 건강습관에 따른 양생수준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9;19(1):213-24.
  57. 김인창, 이경준, 정대성, 최은경, 최지영, 박정은, 정명수, 이기남. 생산직 근로자의 양생 수준과 건강관련 삶의질 및 심박변이도와 의 관계. 한국전통의학지. 2010;18(2):33-57.
  58. 오종수, 한동운, 임문혁, 홍용석, 이영호, 노인홍. 만성질환자들의 한의약의료서비스 이용과 결정요인.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9;13 (3):55-71.
  59. 이응세. 대체의학 실태조사 및 대응방안 연구. 서울: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단. 1997 :1-561.
  60. 신현규. 세계 대체의학시장의 현황 및 향후 전망에 관한 연구. 서울:건강증진사업단. 2006 :1-269.
  61. 한국한의학연구원.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국립보완대체의학연구소 2011-2015 발전 전략 분석. 대전:한국한의학연구원. 2011:1-60.
  62. 임병묵. 미국의 보완대체의학 제도와 정책 - 면허제도와 의료보험급여를 중심으로-.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0;14(1);137-49.
  63. 한동운. 선진국의 보완대체의료 정책의 함의.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8;12(3):141-55.
  64. 김정훈, 이찬구, 김경요. 노인의 건강과 양생법. 대한의료기공학회지. 2000;4(1):78-97.
  65. 강석봉, 박윤식. 노인성 질환에 대한 한의학적 접근. 제한동의학술원논문집. 2009;7(1) :13-22.
  66. 전원경, 서부일, 한창현. 노인성질환의 한.약 병용약물사용지침서 작성 매뉴얼에 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 2011;26(1):21-7.
  67. 이상영. 양.한방 의료협진체계의 현황과 개선방안. 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7:1-83.
  68. 조재국. 양.한방 협진실태와 정책과제. 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1-197.
  69. 박동일. 성인병에 대한 한방 치료법 연구(증 치의학과 사상의학) 및 한방, 양방, 한.양방 협진의 치료효과에 관한 임상적 연구. 서울: 보건복지부. 1998:1-239.
  70. 박종구. 양.한방의 상호보완 발전방안 연구. 서울:보건복지부. 1999:1-285.
  71. 이원철. 주요 난치성 질환에 대한 한.양방 협진의 임상효과 검증 및 한.양방 협진 의료 기관의 운영모형 개발. 서울:보건복지부. 2001 :1-260.
  72. 김계현. 한방병원과 협진하는 의사 실태 조사연구. 서울:의료정책연구소. 2003:1-81.
  73. 이상영. 양.한방 협진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97, 2004;11:66-70.
  74. 김경호, 박성식, 이원철, 신길조, 임성우, 금동호, 최윤정. 한.방 협진 및 협치에 관한 통계 보고. 동국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995 ;4:53-66.
  75. 이동희, 류규수. 한.방 협진체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병원경영학회지. 1998;3(1):34-61.
  76. 김동일, 강신화, 강현철. 한.양방협진을 위한 진단방사선과의 역할과 진료내용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9;12(2):374-87.
  77. 이윤현. 양.방 협진의료정책에 관한 고찰.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0;11:83-103.
  78. 김춘배, 이해종, 소경순, 정혜영, 박종구. 한.방 협진 운영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행정학회. 2001;147-70.
  79. 류규수, 이동희. 한국에서의 동양의학, 서양의학 협진의 영향요인. 대구한의대학교 제한 동의학술원. 동서의학. 2002;27(2):47-62.
  80. 강은정, 설휘훈, 최우진. 공공병원 혁신을 위한 양.방 협진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사회연구 25(1), 2005;25 (10):3-36.
  81. 문옥륜, 김은영, 신은영, 김혜영, 천희란. 동북아시아 4개국의 양.방 의료협진체계 비교. 보건행정학회지 2003;13(2):1-22.
  82. 구제길, 노홍인, 홍선미, 강인숙, 이영호, 한동운. 양.방협진제도에 대한 직장인들의 태도. 대한예방의학회지. 2009;13(2);129-46.
  83. 윤태형, 박해모. 양.방협진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 -일부 보건소 이용자를 중심으로 -. 대한예방의학회지. 2010;14(1);37-48.
  84. 정인숙, 김윤진, 이원철. 일반 주민의 한양방협진이용 경험과 태도. 대한예방의학회지. 2010;14(2):43-56.
  85. 진삼곤, 남은우. 양방과 한방병원의 협진체계에 대한 입원환자의 인식도. 한국병원경영학회지. 1998;3(1):134-64.
  86. 김성택, 이정한, 문태일, 추용식, 김옥준, 최성욱, 조윤경, 임상욱. 뇌경색으로 입원한 양방 한방 환자의 특성 비교. 대한응급의학회지. 2003;14(2):173-7.
  87. 김대환, 이기효. 양한방 협진병원 뇌졸중 입원환자 진료이용실태와 협진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병원경영학회지. 2004;9(2) :76-101.
  88. 김대환, 김지혁. 뇌졸중 환자의 양.한방 협진에 대한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4;16(3) :467-82.
  89. 최만규, 이준협, 이태로, 이현실, 임국환. 양 한방협진 의료기관 이용자의 인식도 및 태도.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2005;30(1):35-44.
  90. 유왕근, 김경숙. 한양방 협진에 대한 한의대생들의 인식도. 대한예방의학회지. 2005:9(2); 77-91.
  91. 정인숙, 임병묵, 이원철. 한양방협진에 대한의한의간호대학생의 태도 비교. 대한예방의학회지. 2010;14(1);25-35.
  92. 권영규, 이현지. 한양방협진에 대한 의료전문직의 태도.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1) :10-14.
  93. 류지선, 임병묵, 조병만, 이원철, 윤태호. 협진병원 근무 의사들과 종합병원 근무 의사들의 양한방 협진에 대한 인식도. 대한예방의학회지. 2009:13(3):29-41.
  94. 임병묵. 한의사전문의 적정 인력수급 등을 위한 표준화연구. 서울:보건복지부. 2003:1-247.
  95. 박종형. 한의사 전문의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울:보건복지부. 2006:1-147.
  96. 박형준, 윤채현, 김진희, 문옥륜. 한의사 전문의 인력수급에 관한 한방 의료계의 인식조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5;9(1):91-103.
  97. 박희운. 한약재 GACP 및 표준가공 공정 지침 제정 연구. 수원:농촌진흥청. 2006:1-253.
  98. 최성용. 우수한약재 생산관리지침 재정(I). 대구:경북농업기술원. 2002:1-110.
  99. 최성용. 우수한약재 생산관리 지침(II). 대구: 경북농업기술원. 2003:1-144.
  100. 최장수. 우수한약재 생산관리 지침(III). 대구: 경북농업기술원. 2004:1-108.
  101. 박희운. 한약재 GACP 및 표준가공공정 지침 제정 연구. 수원:농촌진흥청. 2007:1-50.
  102. 함성호. 우수 한약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해설서 등에 관한 연구. 장흥:전라남도한방 산업진흥원. 2010:1-59.
  103. 권동렬. 한약재 규격품 유통 활성화 방안연구. 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2004:1-146.
  104. 한병현. 한약재 GMP(우수한약재 제조지침) 재정. 서울: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5:1-302.
  105. 신현규. 우수 한약개발육성방안연구. 대전: 한국한의학연구원. 2005:1-221.
  106. 신현규. 우수 한약 발굴 및 품질확보방안 연구. 서울:보건복지가족부. 2008:1-193.
  107. 신현규. 우수 한약 품질 기준 및 감별 평가 기술 개발. 서울:보건복지가족부. 2009:1-415.
  108. 신상우. 중국의 한약재 GAP 규정과 현황. 대한한의정보학회지. 2004;10(1):93-108.
  109. 남동우, 양웅모. 우수 한약 제조 및 품질 관리 기준 (hGMP) 시행을 위한 한약 제약 업소 현황 조사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11;32 (4);1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