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oughts on 'Good' Science Teaching

'좋은' 과학 수업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사고

  • Received : 2013.01.07
  • Accepted : 2013.02.23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oughts on 'good' science teaching and to find a concept that can represent the way the teachers think. Participants were twenty pre- and in-service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a graduate course I taught at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in the first semester, 2011. The participating teachers collected and analyzed a variety of data and created portfolios while they were trained, as part of the course,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ith the same research questions as those of this study. In the current study, the process in which the teachers and I found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was narratively reconstructed based on the teachers' portfolios and my field notes. It was revealed that science teaching was perceived as a task aiming at realizing some kind of values and that because the teachers pursued various values in the science classroom and there exist conflicting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values, it was hard to define 'good' science teaching. It was also discussed that science instruction was inherently accompanied with the ongoing process of selecting values a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lues were ever-changing within the contexts of the classroom. This multi-faceted and dynamic structure of the teachers' thoughts on 'good' science teaching was conceptualized analogically as 'Foucault's pendulum,' which has multiple planes of oscillation. Implications for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좋은' 과학 수업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사고의 특징을 밝히고, 교사들의 사고 구조를 표상할 수 있는 개념을 발견하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내가 2011년 1학기에 서울 소재의 한 대학원에서 진행한 질적 연구에 관한 강좌를 수강하는 총 20명의 현직 또는 예비 교사들이었다. 이들은 대학원 수업 중에 본 논문과 동일한 연구 주제를 가지고 질적 연구 실습을 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그것을 포토폴리오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포트폴리오와 나의 현장 일지를 함께 읽으면서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내러티브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주된 분석 작업이 되었다. 그 결과, 과학 수업은 모종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일이며, 교사들이 과학 수업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가치들이 매우 다양하고 그들 사이에는 갈등 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좋은' 과학 수업을 정의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다종다양한 가치들이 수업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르게 관계 맺어지기 때문에 과학 수업은 본질적으로 부단한 가치 선택의 과정을 수반한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이렇듯 다차원적이고 역동적인 교사들의 사고 구조를 여러 개의 진동면을 가진 '푸코 진자'에 비유하여 개념화하였으며, 이러한 개념이 과학 교사 교육과 과학 교육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이야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창규(2006). 초등학교'좋은'수업의 특성 연구: 담화행위(act), 유도행위, 교수행동요소, 바로잡기(repair)를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14(1), 25-49.
  2. 서경혜(2004). 좋은 수업에 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학생 면담 연구. 교육과정연구, 22(4), 165-187.
  3. 서경혜, 유신영(2004).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및 학부모의 관점. 교육학연구, 42(4), 285-315.
  4. 서근원(2008). 수업을 왜 하지? (제2판). 서울: 우리교육.
  5. 오필석(2011)." 채워지지 않는 잔(盞)": 초등 교사들에게 있어 과학 수업의 의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271-294.
  6. 조영달(1998). 교과 교실수업 연구의 학문 동향과 학술연구 발전 방향: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1), 73-111
  7. 조영달(2001). 한국 중등학교 교실수업의 이해. 서울:교육과학사.
  8. 조영미, 오필석(2011). 과학 실험 수업에 관한 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구조'분석. 초등과학교육,30(2), 162-177.
  9. 조용환(1999). 질적 기술, 분석, 해석. 교육인류학연구, 2(2), 27-63.
  10. 진권장(1999). 교육 경험의 의미에 관한 해석학적 이해. 교육인류학연구, 2(1), 123-169.
  11. Bryan, L. A., & Tippins, D. J. (2006). Employing casebased pedagogy within a reflection orientation to elementary science teacher preparation. In K. Appleton (Ed.), Elementary science teacher education (pp. 299-315). New Jersey,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
  12. Friedrichsen, P., van Driel, J. H., & Abell, S. K. (2011). Taking a closer look at science teaching orientations. Science Education, 95, 358-376 https://doi.org/10.1002/sce.20428
  13. Gunning, A. M., & Mensah, F. M. (2011).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development of self-efficacy and confidence to teach science: A case stud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2, 171-185. https://doi.org/10.1007/s10972-010-9198-8
  14.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95-132).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15. Mulholland, J., & Wallace, J. (2001). Teacher induction and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nhancing self-efficac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2), 243-261 https://doi.org/10.1016/S0742-051X(00)00054-8
  16. Piburn, M., Sawada, D., Falconer, K., Turley, J., Benford, R., & Bloom, J. (2000). Reformed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RTOP). ACEPT IN-003.
  17.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 York: Basic Books
  18. Tobin, K., Espinet, M., Byrd, S. E., & Adams, D. (1988). Alternative perspectives of effective science teaching. Science Education, 72(4), 433-451. https://doi.org/10.1002/sce.3730720404

Cited by

  1.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Cognitive Frame about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High School Science Subject vol.36, pp.4, 2015, https://doi.org/10.5467/JKESS.2015.36.4.404
  2. Effects of Modeling-Based Science Inquiry Instruction on Elementary Students' Learning in the Unit of Seasonal Changes vol.35, pp.2, 2016, https://doi.org/10.15267/keses.2016.35.2.265
  3. Why did I Cope with so?: A Teacher's Strategy to Cope with Anomalous Situations in Primary Practical Science Lessons vol.35, pp.3, 2016, https://doi.org/10.15267/keses.2016.35.3.277
  4. 초등 과학 교사들의 교사 공동체 내에서의 학습의 특징과 인식적 믿음의 변화 vol.33, pp.4, 2014, https://doi.org/10.15267/keses.2014.33.4.683
  5. 대안적 인지 이론으로서 '자원 기반 관점'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시험 적용 vol.35, pp.6,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6.0971
  6. 좋은 과학수업에 대한 중등 과학교사의 인식 vol.36, pp.1,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1.0103
  7. 영재 개별화 교육에 관한 과학영재 지도교사들의 인식 vol.9, pp.2, 2013,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2.199
  8. 초등 과학 수업에서 '반응적 교수'의 실현 가능성 탐색 vol.36, pp.3, 2013, https://doi.org/10.15267/keses.2017.36.3.227
  9. 좋은 과학수업을 위한 예비교사의 도전 -수업 주제의 의미화 과정을 중심으로- vol.38, pp.4,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4.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