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cience Writ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 related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과학 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3.01.24
  • Accepted : 2013.03.24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ience writing activities on the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 motivation for learning sci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One hundred and twenty seven second graders of a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science writing activitie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erformed problem solving activities at the end of the regular science lessons over 30 class hours. For the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 and motivation for learning science, TOSRA, PALS, and MSLQ were used with some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For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cores on science examination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st of the science-related attitude showed that science writing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cultivation of sciencerelated attitude, as for the sub-factors, 'attitude towards scientific inquiry,' 'pleasure of science lessons,' and 'active attitude towards science'(p<.05). Second, the test of motivation for learning science showed that the science writing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in students' motivation, as for the sub-factors, 'difference in values on task' and 'self-efficacy'(p<.05). Third, science writing activities are effective on improvement in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p<.05), especially on the high-level achievement group.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의 정리 단계에서 글쓰기를 강조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경기도 소재 중학교 1개교의 2학년 학생 127명을 연구 대상으로 총 30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정리 단계에서 실험반은 학습 목표와 연관된 과학 개념을 글쓰기로 정리하였고, 비교반은 문제 풀이로 정리하였다.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는 TOSRA를 수정 보완한 과학 관련 태도 검사지, 과학 학습 동기는 PALS와 MSLQ를 수정 보완한 과학 학습 동기 검사지, 학업 성취도는 학교의 지필 평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관련 태도 검사 결과, 과학 글쓰기 수업은 학생들의 전체적인 과학적 태도 함양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p<.05). 특히, 하위 영역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와 '과학 수업의 즐거움', ' 과학에 대한 적극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p<.05). 둘째, 과학 학습 동기 검사 결과, 과학 글쓰기 수업은 학생들의 전체적인 학습 동기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p<.05), 하위 영역에서는 '과제에 대한 가치'와 '자기 효능감'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과학 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특히 상위 수준의 학업 성취도 집단에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은경 (2009). 복습과제로서 과학글쓰기가 중학교 여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곽민숙, 이용섭, 한영욱 (2009). 과학일지 쓰기가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2(1), 1-12.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11-361, 교육인적자원부.
  4. 구슬기, 박일우 (2010). 초등 과학 글쓰기 지도 전략의개발 및 적용. 초등과학교육, 29(4), 427-440.
  5. 김성원, 이현주, 강순희, 우애자, 정영란, 엄안흠, 안홍배, 채동현, 김지선, 정세미, 허희선, 서재현, 윤원정, 이윤하, 손선영, 이미숙, 이선길, 고선영, 오성진, 이승우(2011). 중학교 과학 2. 두배의느낌.
  6. 남경운, 이봉우, 이성묵 (2004). 과학 일기 쓰기가 과학 영재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4(6). 1272-1282.
  7. 남정희, 곽경화, 장경화, Hand, B. (2008). 논의를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의중학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922-936.
  8. 박지영, 신영준 (2007). 초등학교 실험관찰에 나타난과학적 사고력을 토대로 한 과학 글쓰기 유형 분석. 과학교육논총, 20(1), 99-112.
  9. 박희진, 권난주 (2008). 초등학교 과학일기 유형 분석 및일기 쓰기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19-526.
  10. 배희숙, 전영석, 홍준의 (2009). 과학 탐구 능력 신장을 위한 과학 글쓰기 교수 학습 전략 개발. 초등과학교육,28(2), 178-186
  11. 손정우 (2006). 과학논술능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사고력에 근거한 과학 글쓰기 교수법. 교육과정평가 연구,9(2), 333-355.
  12. 신미영, 최승언 (2009). 8학년 학생들의 자기주도적과학탐구 보고서에 제시된 결론의 특징. 한국지구과학회지, 30(5), 759-772.
  13. 이강님 (2007). 구성주의 학습전략이 중학생의 과학개념학습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 글쓰기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 이순이 (2008). 과학글쓰기가 화학 I 과목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재승 (2002). 글쓰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과정 중심접근. 서울: 교육과학사.
  16. 정희선 (2010). 중학교 1학년 영양소와 소화 단원에서 과학 글쓰기 활동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7. 정혁, 정용재, 송진웅 (2004). 빛을 주제로 한 11학년학생의 과제 유형에 따른 글쓰기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1008-1017
  18. 정희모 (2004). MIT 대학 글쓰기 교육 시스템에 관한연구. 독서연구, 11, 327-356.
  19. 지영숙 (2006). '지구와 달'단원에서 초등학생들의과학글쓰기 활동 효과.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천재훈, 손정우, 권은실 (2006).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위한 과학 글쓰기 활동. 2006년도 국제세미나 및 제 49차동계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p. 27). 한국과학교육학회.
  21. 천재훈, 손정우 (2004).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창의적사고능력 계발을 위한 과학 글쓰기 형태분석. 제 46차 하계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p. 131). 한국과학교육학회.
  22. 함성민 (2009). 과학 글쓰기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 동기와 글쓰기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함성민 (2009). 과학 글쓰기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 동기와 글쓰기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Ainsworth, S., Prain, V., & Tytler, R. (2011). Drawing to learning in science. Science, 333(6046), 1096-1097. https://doi.org/10.1126/science.1204153
  25. Akkus, R., Gunel, M., & Hand, B. (2007). Comparing an inquiry-based approach known as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to traditional science teaching practices: Are there differ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4), 1745-1765. https://doi.org/10.1080/09500690601075629
  26. de Jong, T., Ainsworth, S., Dobson, M., van der Hulst, A., Levonen, J., Reimann, P. (1998). Acquiring knowledge in science and mathematics: The use of multiple representations in technology-based learning environments. In M. W. van Someren, P. Reimann, H. P. A., Boshuizen & T. de Jong (Eds.), Learning with multiple representations (pp.9-40). Oxford, UK: Pergamon.
  27. Hand, B., Wallace, C. W., & Yang, E. (2004). Using a science writing heuristic to enhance learning outcomes from laboratory activities in seventh-grade scienc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2), 131-149. https://doi.org/10.1080/0950069032000070252
  28. Keys, C. W., Hand. B., Prain, V., & Collins, S. (1999).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s a tool for learning from laboratory investigation in secondary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10), 1065-1084.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912)36:10<1065::AID-TEA2>3.0.CO;2-I
  29. Midgley, C., Maehr, M. L., & Urdan, T. C. (1993). Patterns of adaptive learning survey. Ann Arbor, MI.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0. Owens, C. V. (2000). Teachers'responses to science writing. Teaching and Learning-grand forks-, 15(1), 22-35.
  31. Pintrich, P. R., Smith, D. A. R., Garcia, T., & McKeachie, W. (1991). A ma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University of Michigan,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to improve postsecondary teaching and learning, Ann Arbor, MI.
  32. Prain, V. & Hand, B. (1999). Students perceptions of writing for learning in secondary school science. Science Education, 83(2), 151-162.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03)83:2<151::AID-SCE4>3.0.CO;2-S
  33. Prain, V. (2006). Learning from Writing in secondary scienc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3), 179-201. https://doi.org/10.1080/09500690500336643
  34. Rivard. L. P. (1994). A review of writing to learn in science : Implication for practice and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9), 969-983. https://doi.org/10.1002/tea.3660310910
  35. Wallace, C. S., Hand, B., & Prain, V. (2004). Does writing promote learning in science? In C. S. Wallace, B. Hand, & V. Prain (Eds.). Writing and learning in the science classroom. Kluwer academic publishers.

Cited by

  1.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Strategy for Science Writing using Newspaper Articles vol.33, pp.4, 2014, https://doi.org/10.15267/keses.2014.33.4.710
  2.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the Imaginative Writing Proces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vol.34, pp.5,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5.0511
  3. An Comparison Analysis of Science Writing Tasks in the Chemistry Domain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7 &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s (RNC) vol.58, pp.6, 2014, https://doi.org/10.5012/jkcs.2014.58.6.600
  4. The Process of Group Writing and Processes Factor vol.35, pp.4,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4.0585
  5. Narrative Characteristics in High School Students' Geological Field Trip Repor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rrative Mode of Though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vol.35, pp.4,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4.0735
  6.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Tool for Assessing Scientific Thinking Ability Using Science Writing vol.52, pp.3, 2013, https://doi.org/10.15812/ter.52.3.201312.575
  7.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inetic Science Drawings Based on Their Scientific Attitude Levels vol.18, pp.4, 2014, https://doi.org/10.24231/rici.2014.18.4.1183
  8. A Study on the Effects of Peer Feedback on the Writing Abilities of Scientific Articles of Pre-service Biology Teachers vol.43, pp.4, 2015, https://doi.org/10.15717/bioedu.2015.43.4.392
  9. A Study of Preliminary Biology Teachers’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LogicalThinking Ability through the Activity of Science Writing vol.44, pp.1, 2013,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1.114
  10. 과학 글쓰기를 통한 고등학생의 지구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시스템 사고의 분석 vol.38, pp.1, 2013, https://doi.org/10.5467/jkess.2017.38.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