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otential Possibility and Practical Policy Implements for Attracting Enterprises in Rural Areas

농촌지역 기업유치 잠재력과 실현방안 모색

  • 이병기 (협성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도시행정학과)
  • Received : 2013.02.15
  • Accepted : 2013.03.08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the effective policy devices for attracting enterprises in rural areas. In the first plac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wo directions fundamentally as follows: Firstly, the government works on more positive lines and from more integrated viewpoint. Secondly, it give the first consideration to the big-enterprises for attracting enterprises in rural areas. Next, the study suggest three practical policy implements also. First, the government put an emphasis on construction favorable infra structure to enterprises's activ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economic supports for location of enterprises in rural areas. Third, the rural self-government make effort strongly to develop the activity to attract enterprises.

본 연구는 농촌문제의 근원이 일자리 부족에 따른 과도한 인구유출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효과적인 농촌지역 기업유치방안 모색을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는 우선 기본적으로 2가지 방향에서 접근되어야 할 것임을 일러주고 있다. 첫째는 보다 종합적인 안목에서 적극적으로 접근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고, 둘째는 농촌지역 기업유치 대상으로 대기업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어서 본 연구는 농촌지역 기업유치를 위한 3가지 실질적인 지원정책 실천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는 기업하기에 좋은 인프라를 농촌지역에 구축하는 문제에 정책적 노력이 집중되어야 할 것임을 지적하고 있다. 둘째는 농촌지역에 입지유치를 위한 경제적 지원을 보다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는 농촌지역 자치단체로 하여금 적극적인 기업유치 활동을 전개하도록 실효적인 지원시스템을 강구하여야 할 것임을 제시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진, 이홍식. (2010). 한국의 해외직접투자가 탈산업화에 미친 효과분석. 국제통상연구. 15(1), 129-151
  2. 노순규. (2010). 지방자치단체의 기업유치 전략. 한국기업경영연구원
  3. 대한상공회의소. (2002.5). 기업의 생산거점 해외이전 실태 및 계획 조사
  4. 박영렬, 곽주영, 양영수. (2011). 한국기업 해외직접투자 역사와 전략. 경영사학. 26(3) 73-99.
  5. 이동필외. (1995). 농촌지역 2.3차산업의 활성화 방안. 한국농촌경제 연구원.
  6. 이상직, 박기성. (2003). 중국 경제특구의 성과와 성공요인. 인천발전연구원
  7. 이병기. (2005). 농외소득 문제의 성격과 농외소득개발방향. 농업경영.정책연구. 32(2). 한국농업정책학회
  8. 이병기. (2011). 농촌과소화 실태와 전망. 농촌지도와 개발. 17(4). 한국농촌지도학회
  9. 중소기업청. (2004). 향토산업육성전략연구
  10. 최경환. (2001). 농공단지개발사업의 평가와 개선방향. 농촌경제. 24(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 최의현. (2004). 중국 경제특구 정책의 성과와 한계. 대외경제연구. 8(2) 291-317.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9). 한국농정50년사
  13. 한국산업단지공단. (2010. 9). 산업입지정책 Brief. 제54호,
  14. 한국수출입은행, www.koreaexim.go.kr
  15. 황수현. (2010). DFE 정책모니터. 자유기업원. No. 10-04.
  16. Leslie A. Whitener. (2005). Policy Options for a Changing Rural America. http://www.ers.usda.gov

Cited by

  1. GIS-Based Evaluation of Spatial Interactions by Geographic Disproportionality of Industrial Diversity vol.6, pp.11, 2017, https://doi.org/10.3390/ijgi6110352
  2. 도시 및 농촌지역 사업체 유형별 노동시장 안정성 비교분석: 산업군, 종사자규모 및 존속기간별 유형을 중심으로 vol.23, pp.1, 2013, https://doi.org/10.7851/ksrp.2017.23.1.097
  3. 농산물 6차산업 판촉행사에서 행사의 이해 및 제품만족, 판촉전략행위, 소비자 행동의도간의 구조관계 분석 vol.26, pp.1, 2019, https://doi.org/10.12653/jecd.2019.26.1.0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