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Maturity of the Adolescents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분석

  • 송병국 (순천향대학교 청소년상담전공) ;
  • 전주연 (순천향대학교 청소년상담전공)
  • Received : 2013.02.14
  • Accepted : 2013.03.08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maturity of the adolescents who were concretely worried about their career and occupation. 672 middle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to analyze the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ith data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orrelational analysis showed that career barrier associated negatively with career maturity. Seco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ub-elements of career barrier which the adolescents conceived, such as the shortage of self-understanding, the shortage of self-reliance, gender-role conflict and gender discrimination, and the shortage of career and occupational information were significantly effecting their career maturity. Thir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stimate the explanability of career barrier on career maturity, career barrier among various independent factors which were correlated statistically with career maturity showed most effects on it. Also, school academic achievement was confirmed as a significant factor effecting the career maturity. Abov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erception on the career barrier of the adolescent should be reduced for increasing the career maturity. For this, career education and counselling should be positively intervened and reinforced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and activities.

본 연구는 진로에 대한 구체적 고민이 시작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청소년 진로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지역의 중학생 672명을 대상으로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의 특성(성별, 학년, 사회경제적 수준, 학교성적)에 따른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각각의 특성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적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의 하위요인 가운데 어떤 요인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장벽의 하위요인 중 자기이해의 부족, 자신감 부족, 성역할 갈등 및 성차별, 진로 및 직업정보의 부족 등이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할 때,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인식하고 있는 진로장벽을 낮추는 교육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청소년시기 진로지도나 상담 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주제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덕(2009). 성취동기, 직업가치, 진로장벽이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복순(2011). 중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태도 성숙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 효능감의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봉환, 김병석, 정철영(2000). 학교진로상담. 서울 : 학지사.
  4. 김은영(2001).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종운, 박성실(2011). 대학생의 정서지능,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4(4), 209-229.
  6. 김충기(2002). 진로 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국학술정보.
  7. 김현옥(1989).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변인과의 상관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백정화(1986). 중고등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손은령(2001).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연문희, 강진령(2005). 학교상담: 21세기의 학생생활지도. 서울: 양서원.
  11. 이기학(1992). 개인적 특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기학(2003). 대학생의 진로교육유형에 따른 진로태도성숙과 진로미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1(1), 13-21.
  13. 이상희(2005). 대학생의 진로장벽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성식.정철영(2004). Gottfredson 이론에 기초한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대안 영역과 직업포부.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6(3), 43-58.
  15. 이아라(2006). 남녀 학업 우수 청소년의 진로장벽, 학업 효능감 및 진로 포부의 관계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재창(1986). 진로상담에 관한 연구-체계적 상담모형과 의사결정 모형을 중심으로. 교육연구 논총(2), 67-90. 충북대학교연구소.
  17. 이주희(2011).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현주(1999). 여중생의 진로태도와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교육학연구. 37(3), 279-321.
  19. 이희영(2003). 진로성숙과 상담. 학지사.
  20. 임언, 정윤경, 상경아(2001). 진로성숙도 검사개발 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1. 장석민, 임두순, 송병국(1991). 중, 고등학생용 진로성숙도 검사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2. 임은경(1998). 여성의 진로장애요인에 대한 고찰. 한국진로상담학회지. 3(1), 79-97.
  23. 조아미(2000). 청소년의 진로의사결정과 진로성숙의 결정요인으로서의 진로의사결정 효능감. 교육학 연구, 38(4), 43-62.
  24. 조은주(2001). 파업과 계급형성: 노동자들의 경험과 계급의식의 형성과정. 한국산업노동학회지, 7(2), 97-127.
  25. 조지혜(2007). 성취동기, 직업가치, 진로장벽이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통계청(2012). 청소년 통계.
  27. 한귀녀 외 2인(2009). 진로장벽와 진로포부가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중등교육연구 57(3), 211-235.
  28. 홍세희.황매향.이은설(2005).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의 잠재평균분석. 교육심리연구, 19(4), 1159-1177.
  29. 황매향, 이은설, 유성경(2005). 청소년용 여성진로장벽 척도의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상담학연구, 6(4), 1205-1223.
  30. 황매향, 이아라, 박은혜(2005). 청소년용 남성진로장벽 척도의 타당화 검증 및 잠재 평균비교. 한국청소년연구, 16(2), 125-159.
  31. Betz, N. E., & Fitzgerald, L. F. (1987). The Career Psychology of Women. Orlando, FL: Academic Press.
  32. Crites, J. O. (1969). Vocational Psychology. New York: McGraw-Hill.
  33. Crites, J. O.(1978). Career Maturity Inventory(CMI). Manchester, MO: McGraw -Hill.
  34. Gottfredson, G. D. (1981).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 545-579. https://doi.org/10.1037/0022-0167.28.6.545
  35. Farmer, H. S. (1976). What Inhibits Achievement and Career Motivation in Wome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6, 12-14.
  36. Fitzgerald, L. F., Fassinger, R. E., & Betz, N. E. (1995). Theoretical Advances in the Study of Women's Career Development. IN W. B. Walsh & S. H. Osipow(Eds.),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Mahwah, NJ: Erlbaum Associates.
  37. Gordon, V. N. (1981). The Undecided Student: a Developmental Perspective.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59,4 33-439. https://doi.org/10.1002/j.2164-4918.1981.tb00590.x
  38. Lee. J. I. (1994).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Self-efficacy Expectations and Career Decision Status at the College Level in Korea. Un 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39. London, M. (1997). Overcoming Career Barriers: A Model of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for Realistic Appraisaland Constructive coping.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24(1), 25-38. https://doi.org/10.1023/A:1025082420866
  40. Luzzo, D. A. (1996).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Barriers and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22, 239-248. https://doi.org/10.1177/089484539602200402
  41. Luzzo, D. A. (1997). Correlates of Mexican Americ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Career-related Barrier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Chicago, IL.
  42. McWhirter, E. H. (1997). Perceived Barriers to Educationand Career: Ethnicand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0, 124-140. https://doi.org/10.1006/jvbe.1995.1536
  43. McWhirter, E. H., & Luzzo, D. A. (1996). Examining Perceived Barriers, Career Interest-aspiration and Aspiration-congruence. Paper presented at the 104th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oronto, Ontario, Canada.
  44. Shuttleworth, C .L. (1992). The Effects of Perceived Barrier son College Women's Occupational Choi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hio State University.
  45. Swanson, J. l. & Daniels, K. K. (1994). The Relation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Inventory-revised. Unpublished Raw Data.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46. Swanson, J. L., Daniels, K. K., & Tokar, D. M. (1996). Assessing Perception so Career Related Barriers: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219-244. https://doi.org/10.1177/106907279600400207
  47. Swanson, J. l. & Tokar, D. M. (1991).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9, 344-361. https://doi.org/10.1016/0001-8791(91)90043-L
  48. Swanson, J. L., & Woitke, M. B. (1997). Theory into Practice in Career Assessment for Eome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Regard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5, 431-450.
  49. Swanson, J. L., Daniels, K. K., & Tokar, D. M.(1996). Assessing Perception so Career Related Barriers: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219-244. https://doi.org/10.1177/106907279600400207
  50. Super, D. E.(1984). Career and Life Development. In D. Brown, L. Brooks, & Associate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 San Francisco: Jossey-Bass.
  51. Super. D. E., Savicka, M. L. & Super, C. M.(1996). The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In D. Brown & L. Brown(Eds.). Career-choice and Development (3r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Cited by

  1. The Influence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s Career Maturity vol.33, pp.1, 2015, https://doi.org/10.7466/JKHMA.2015.33.1.61
  2.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 vol.14, pp.1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339
  3.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 vol.14, pp.1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339
  4. Deciding future: The effect of teachers' interest in the students' aptitude and career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plan vol.26, pp.1, 2013, https://doi.org/10.32465/ksocio.2016.26.1.003
  5.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융복합적 간호대학 진로선택 요인 분석 vol.8, pp.11, 2013, https://doi.org/10.15207/jkcs.2017.8.11.109
  6. 여자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귀인성향의 조절효과 vol.17, pp.11, 2013, https://doi.org/10.14400/jdc.2019.17.11.577
  7. 중학생의 청소년활동 참여와 진로결정의 관계에서의 학업성취수준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vol.21, pp.6, 2020, https://doi.org/10.5762/kais.2020.21.6.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