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reschool Teacher's Job Stress and Depression on Burnou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Depression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홍길회 (동남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
  • 정혜진 (인하대학교 대학원 소비자아동학과)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is research is about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depression on burnout. One hundred seventy nine Kindergarten school teachers in Kyounggi Incheon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y answered the questionaires about job stress, depression and burnout. Average,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analysis, simple period analysis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were used. Four meaningful conclusions were found. First, factors which indicates nursery school teachers' work stress have meaningful relations with depression and burnout. As nursery school teachers' work stress goes up, they were more depressed, and their burnout decreases. Second, factors which indicates nursery school teachers' work stress have considerable effect on the work performance. Third, Kindergarten school teachers' burnout is directly and mutually influenced by the job stress and depression. Therefore, Effort to lesson burnout is needed to decrease not only job stress but also depression.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우울이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조절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 인천 지역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179명으로 직무스트레스, 우울, 직무소진 등에 대해 설문조사 하였다. 자료분석에는 평균, 표준편차, 상관분석, 단순 회귀분석, 위계적중 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모든 하위영역은 우울, 직무소진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과 직무소진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모든 하위영역은 직무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직무소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직접효과 및 조절효과를 알아본 결과 우울은 유아교사의 직무소진에 직접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를 갖고 있음이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직무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는 방안뿐만 아니라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과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권기태(1990).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조사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 권나연, 이희영(2012). 유치원교사의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역할.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3), 199-218.
  3. 권성민(2011). 유아교사에 대한 사회지지가 업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313-333.
  4. 김정미(2009). 여교사의 임파워먼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177-199.
  5. 김정숙, 최태진, 이희영(2011). 유치원 교사의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직업교육연구, 30(3), 427-441.
  6. 김정희, 현미열, 김숙영(2009).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처전략과 우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18(2), 219-231.
  7. 문채련, 이소은(2005).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3), 387-389.
  8. 민하영(2010).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우울 및 동료교사/원장의 정서적 지지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지지의 주효과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4), 1-14.
  9. 박광배(2003). 변량분석과 회귀분석. 서울: 학지사.
  10. 박병선(2012). 자살성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와 우울의 상호적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보건사회연구, 32(3), 485-521.
  11. 심숙영(1999). 근무여건과 개인적인 특성에 따른 소진이 유아교육 교사의 이직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0(3), 339-349.
  12. 이경화, 주미정, 이희영(2011).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30(1), 97-111.
  13. 이소은, 문채련(2006). 결혼여부 및 근무기관유형에 따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학력을 공변인으로 분석한 경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23-45.
  14. 이영미, 민하영(2011). 영유아보육․교육기관 교사의 표면적 정서노동과 직무소진간 관계에서 시설장, 동료교사, 학부모의 정서적 지지의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1), 167-185.
  15. 이영호(1993). 귀인양식, 생활사건, 사건귀인 및 무망감과 우울의 관계: 공변량구조모형을 통한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이명화(2002). 공․사립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7. 이정희, 조성연(2011).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시설장, 동료교사와 가족의 사회적 지지. 아동학회지, 32(1), 157-172.
  18. 이종건, 이중문(2009).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소진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학술연구발표대회, 2009(4), 807-833.
  19. 이지연, 황현숙, 장진이(2012). 중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중등교육연구, 60(2), 495-515.
  20. 이희은, 김현익, 우연희, 김순호, 문수백(2012).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관련변인의 관계 구조분석: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 직장내 지지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75-97.
  21. 장덕희(2007).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효과.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16(2), 177-187.
  22. 조혜진, 김수연(2011).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231-247.
  23. 최규련(1999). 실직자 가족의 문제와 대처, 우울감 및 심리문제 해결지원요구도: 실직자 아내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3), 47-61.
  24. Beck, A. T.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oeber & Row.
  25. Beehr, T. A., & Newman, J. E. (1978). Job stress, employee health,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facts analysis, model and literature review. Personnel Psychology, 31, 665-699.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8.tb02118.x
  26. Clark, E. H. (1980) "An Analysis of Occupational Stress Factors as Perceived by Public School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uburn University.
  27. D' Arenzo, R. V. (1981). Stress in teaching: A comparison of perceived occupational stress factors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regular classroom teach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ion. Auburn University.
  28. Kyriacou, C. (2001). Teacher stress: Directions for suture research. Educational Review, 53, 27-35. https://doi.org/10.1080/00131910120033628
  29. Larchick, R. and Chance, E. (2004). Teacher performance and personal life stressors: Implications for urban life school administrators. National Forum of Teacher Education Journal, 14E, 19-30.
  30. Margolis, B. L, & Kroe, W. H. (1974). Work and Health of Man. In J. O'toole(ed), Work and quality of life. Cambridge MIT Press.
  31. Maslach, C. (1982). Burnout: The cost of car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2.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Perceiv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2, 99-113. https://doi.org/10.1002/job.4030020205
  33. Schuler, R. S. (1980). Defini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stress in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25, 184-215. https://doi.org/10.1016/0030-5073(80)90063-X
  34. Schwab, R. L. & Iwanicki. E. F. (1982). Perceived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teacher burnou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18(1), 60-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