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 School Environment Using the PEO Model

통합교육환경에서 지적장애아동의 학교활동 참여분석: PEO모델을 중심으로

  • Hong, So-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orabol College) ;
  • Chang, Moon-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
  • Kim, Kyeong-Mi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 홍소영 (서라벌대학 작업치료과) ;
  • 장문영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 김경미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Published : 2013.03.30

Abstract

Objective : Using the PEO model, we analyzed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 school environment. Methods : Between November 9th through the 18the of 2011, data on 21 participants (7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7 teachers, and 7 parents) were gathered in A and B elementary schools, Yeoju, Gyeonggi-do. The study used a mixed method design with quantitative (School Function Assessment) and qualitative (observations, interviews) data. The data analysis was based on the PEO model. Results : Classrooms, recess playgrounds, and transportation to school presented lower participation settings than other locations.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affected by the students themselves, their environment, and educational tasks. Conclusion : School activities requiring self-care skills showed high participation. On the other hand, group activities and modified educational challenges presented lower participation. To promote the school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tudents-environment task interactions should be considered.

목적 : PEO모델을 이용하여 통합교육환경에서 지적장애아동의 학교활동참여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경기도 여주군내 초등학교에서 지적장애아동 7명, 담임교사 7명, 양육자 7명, 총 21명을 대상으로 2011년 11월 9일부터 11월 18일까지 실시하였다. 학교기능검사를 통한 양적 연구와 관찰,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지적장애아동의 참여가 어려운 활동을 조사하고 아동, 학교환경, 과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교실활동, 운동장(체육시간), 등교 시 낮은 참여정도를 보였고, 교실 내 이동, 화장실 사용, 급식시간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참여도를 보였다. 아동의 낮은 행동적, 인지적 수행능력을 보조해 줄 수 있는 보조도구는 일반교실에서는 사용이 제한되었다. 결론 : 일상적인 자조기술을 요하는 활동은 높은 참여율을 보인반면, 일반아동들과 집단을 이루어 활동을 하거나, 수정된 교육 과제가 요구되는 활동에는 참여가 낮았다. 따라서 지적장애아동의 학교활동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체계적인 아동-환경-과제의 상호작용의 이해 및 전문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장애인의 자아실현과 사회통합을 위한 제3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08-'12). 서울, 한국: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통합교육현황. http://www. mest.go.kr/web/1504/site/contents/ko/ko_01 19.jsp?selectId=1085
  3. 국립특수교육원. (2003). 통합학급 운영실태 분석. 서울, 한국: 국립특수교육원
  4. 국립특수교육원. (2007). 장애인 편의시설 학교평가 지표. 서울, 한국: 국립특수교육원.
  5. 김경미, 김영근, 김태훈, 박수현, 유은영, 이지연, 조무신. (역) (2007). 아동작업치료 이론의 틀. 서울, 한국: 정문각.
  6. 김명희. (2004). 발달장애학생의 감각처리능력과 학교에서의 기능적인 과제 수행능력 분석(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7. 김원진, 장문영. (2007). 일상생활동작 훈련실의 환경분석: 휠체어를 사용하는 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보조공학저널, 1(1), 27-37.
  8. 김자경, 김기주. (2007). 특수학급에 입급된 장애아동의 사회적 지위와 정서/행동특성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8(1), 173-188.
  9. 박승희. (1999).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 학생의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적 수정의 개념과 실행방안. 특수교육학연구, 7, 89-112.
  10. 신경림, 고명숙, 공병혜, 김경선, 김미영, 김은하, ... 조명옥. (2004).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한국: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1. 이대식. (2002). 초등학교에서의 성공적인 장애아 통합교육을 휘한 일반교사 교육의 방향: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들의 인식에 근거하여. 초등교육연구, 15(1), 167-187.
  12. 이소현, 박은혜. (1998). 특수아동교육: 일반학급 교사를 위한 통합교육 지침서. 서울, 한국: 학지사.
  13. 이숙향. (2010). 국내 중등 통합교육 연구의 동향 및 향후 과제 고찰.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3), 339- 369.
  14. 이은영. (2010). 지적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가 경험한 통합교육 과정의 경험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GRI연구논총, 12(3), 269-289.
  15. 정소연. (2011). 통합교육 및 학교환경특성이 자폐성장애나 지적장애를 가진 청소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4), 79-101.
  16. 조경희. (2000). 부분통합교육을 받는 정신지체아동과 일반아동간의 상호인식 연구(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구
  17. Brown, M., & Gordon, W. A. (1987). Impact of impairment on activity patterns of childre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68, 828-832.
  18. Case-Smith, J., & Cable, J. (1996). Perceptions of occupational therapists regarding service delivery models in school-based practice.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 16(1), 23-44. https://doi.org/10.1177/153944929601600102
  19. Cavanaugh, T. W. (2000). Assistive technology and its relationship with instructional/ educational technology. http://www.unf.edu/-tcavananu/research/aet/ index.htm
  20. Coster, W. J., Deeney, T., Haltiwanger, J., & Haley, S. M. (1998). School Function Assessment. San Antonio, Tx: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Therapy skill builder.
  21. Cook, M. A., Polgar, J. M., & Hussey, S. M. (2007). Assistive technologies: Principles and practice (3th ed). New York, NY: Mosby.
  22. Crane, L. (2002). Mental retardation: A community integration approach (1st). Belmont, CA: Thomson Learning
  23. Egilson, S. T., & Traustadottir, R. (2009)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the school environment.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3, 264-272. doi:10.5014/ajot.63.3.264
  24. Eriksson, L., Welander, J., & Granlund, M. (2007). Participation in everyday school activities for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Journal of Developmental and Physical Disabilities, 19, 485-502. doi:10.1007/s10882-007-9065-5
  25. Kemmis, B. L., & Dunn, W. (1996). Collaborative consultation: The efficacy of remedial and compensatory interventions in school context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0, 709-717. doi:10.5014/ajot.50.9.709
  26. Law, M. (2002). Participation in the occupations of everyday lif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6, 640-649. doi:10.5014/ajot.56.6.640
  27. Law, M., Cooper, B., Strong, S., Stewart, S., Rigby, P., & Letts, L. (1996). The Person-Environment- Occupation model: A transactive approach to occupational performance.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3, 186-192.
  28. Mandich, A. D., Polatajko, H. J., & Rodger, S. (2003). Rites of passage: Understanding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Human Movement Science, 20, 183-210. doi:10.1016/j.humov.2003.09.011
  29. Oliver, M. (1989).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current reflections. In P. Carter, T. Jeffs, & M. Smith (Eds.), Social work and social welfare yearbook I (pp. 190-203). Milton Keynes, UK: Open University Press.
  30. Punwar, A. J. (2000). Public school practice. In A. J. Punwar, & S. M. Peloquin (Eds.),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and principle (pp. 175-186).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1. Schultz-Krohn, W., & Pendleton, H. M. (2011). Application of the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to physical dysfunction. In H. M. Pendleton, & W. Schultz-Krohn (Eds.),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7th ed., pp. 28-54). St Louis, MD: Mosby
  3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 disability and health. Geneva, SUI: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