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Vegetation Landscape and Management Methods of Buyongdae on Hahoe Village, Andong

안동 하회마을 부용대(芙蓉臺) 일원의 식물상 및 관리방안

  • Oh, Hyun-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Ecological Institute of Korean Peninsula) ;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Choi, Yung-Hyun (Graduate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오현경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한반도생태연구소) ;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최영현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flora and vascular plants area around Buyongdae where include optimum view point Okyeonjeongsa and Gyeomamjeongsa in Hahoe Village, Andong. Based on the findings, the aim of results was attempted to suggest the management plan of the vegetation area around Buyongdae which designated UNESCO World cultural heritage and folk village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the following. All flora of this site, Buyongdae in Andong, were 301 taxa; 89 families, 217 genera, 251 species, 1 subspecies, 38 varieties and 11 forms. Vegetation of each of areas in site was classified Pinus densiflora as representative forest around Buyongdae, Quercus variabilis forest around Gyeomamjjeongsa and Koelreuteria paniculata forest in river cliff of Buyongdae. The 14 taxa(Polygala tenuifolia, Koelreuteria paniculata, and others) as the rare plants and the 7 taxa(Weigela subsessilis, and others) as endemic species were recorded in the surveyed site among the whole flora. The specific plants which is categorized to degree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ppeared as 32 taxa; degree IV was 4 species; Polygala tenuifolia, etc. and degree III was 10 species; 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Pyrrosia petiolosa, etc. and degree I was 13 species; Hemiptelea davidii, Zizyphus jujuba var. jujuba, etc. Also, the 11 taxa were recorded in limestone area as the chamaephyte; 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Celtis koraiensis, Siphonostegia chinensis, Artemisia gmelini, and others. The naturalized plants recorded as 25 taxa; Viola arvensis, Erechtites hieracifolia, etc. and invasion of Sicyos angulatus which is ecosystem disturbing plants. The naturalization rate(NR) was 8.3% and the urbanization index(UI) was 7.8% by field survey. For recovery of indigenous to traditional vegetation landscape in Buyongdae, Pinus rigida of upper-growth and Alnus sibirica of middle-growth need thinning. In addition, the site demands both sustainable management through long-term monitering and gradual elimination method for the naturalized plants including Sicyos angulatus where found in Kyumamjeongsa. Particularly, intentional planting for decoration and cultivation around Hwachunseowon, Helianthus tuberosus must be substitute with the native plants. Meanwhile, Polygala tenuifolia is potently demanded preventing habitate, confirming additional habitate, seed securing and preservation of gene resource internally or externally. Koelreuteria paniculata; denoting feature of river cliff, including 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Siphonostegia chinensis, Zizyphus jujuba var. jujuba, Pyrrosia petiolosa, and Celtis koraiensis, also need an assertive preservation. Futhermore, Wisteria floribunda for. floribunda, located around Galmo rock to Chunggil course, remained by colonizing form, need preservation and observation for a while. Beside that, the information boards are required to educate visiting user about safe regulations on the narrow way in rock hill.

본 연구는 안동 하회마을의 최적의 조망점이자 요처인 옥연정사와 겸암정사를 포함한 부용대 일원의 식물상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민속마을이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포함된 부용대 일원의 식생 관리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동 부용대 일원의 전체식물상은 89과 217속 251종 1아종 38변종 11품종으로 총 30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부용대 일원의 대표적 식생은 소나무림이며, 겸암정사 주변은 굴참나무림, 부용대 하식애는 모감주나무림으로 각각 구분되었다. 전체식물상 중 희귀식물은 원지, 모감주나무 등 14분류군이, 특산식물은 병꽃나무 등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IV등급에 원지 등 4분류군, III등급에 금털고사리, 애기석위 등 10분류군, I등급에 시무나무, 묏대추 등 13분류군으로 총 3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또한 석회암지대 지표식물은 금털고사리, 왕팽나무, 절국대, 더위지기 등 총 1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야생팬지, 붉은서나물 등 25분류군으로 구분되었으며, 이중 생태계교란식물인 가시박의 침입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귀화율(NR)은 8.3%이며, 도시화지수(UI)는 7.8%에 해당된다. 부용대의 고유한 전통 식생으로서의 회복을 위해서는 소나무림 상층의 리기다소나무와 중층의 물오리나무 점진적인 간벌이 필요하며, 겸암정사 주변에서 발견된 가시박을 비롯한 귀화식물에 대한 점진적인 제거방법의 마련과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지속적인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특히 화천서원 주변에 의도적으로 도입된 관상 및 경작외래식물인 뚱딴지는 자생식물로 대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이 지역 희귀 및 특산식물인 원지는 현자생지 보전, 추가 자생지 확인 및 종자확보 등 유전자원의 현지 내외 보전이 반드시 필요한 식물이며, 부용대 하식애지형 특성을 잘 보여주는 모감주나무를 비롯하여 금털고사리, 절국대, 묏대추, 애기석위, 왕팽나무의 적극적 보존이 요망된다. 또한 갈모바위 부근에서 층길에 이르는 구간에 군락형태로 유지되는 등나무도 당분간 보호 및 관찰이 필요하며, 더불어 하식애 옥연정사에서 겸암정사에 이르는 층길의 안전성 확보를 전제로 교육적 활용을 위한 안내 해설판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거배(2000). 절제(節制)의 공간: 하회(河回)마을의 정원.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 133-148.
  2. 국립문화재연구소(2010). 2010년 천연기념물 수림지 실태조사 연구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보고서.
  3. 국립문화재연구소(2012). 국가지정문화재 민속마을의 외래식물현황과 관리방안. 국립문화재연구소 보고서.
  4. 국립수목원(2005). 한반도 특산 관속식물. 국립수목원 보고서.
  5. 국립수목원(2012). 석회암지대의 식물. 서울: 지오북.
  6.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수목원 보고서.
  7. 김철환(2000). 자연환경 평가 I: 식물군의 선정.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8(1): 163-198.
  8. 노재현, 허준(2004). 버나큘러 경관상 개선을 위한 전주천변 귀화식물의 분포 특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3): 26-32.
  9. 박수현(1995).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감. 서울: 일조각.
  10. 박수현(2001).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감: 보유편. 서울: 일조각.
  11. 박수현(2009). 한국의 귀화식물. 서울: 일조각.
  12. 산림청, 국립수목원(2008). 한국 희귀식물 목록집. 국립수목원 보고서.
  13. 양효식, 김하송(2006). 변산반도국립공원 외래식물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14. 오현경, 한윤희(2011). 단양 측백나무군락의 식물상. 생태.경관우수지역 발굴조사.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15. 이경락, 허상현, 최상범(2010). 경북 북부지역 마을숲의 실태 연구: 안동시, 예천군, 봉화군지역 대상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8: 128-136.
  16. 이영노(2006). 새로운 한국식물도감(I.II). 서울: 교학사.
  17. 이우석, 김창석, 김원우, 한상도, 임경빈(1997). 희귀수종 모감주나무 자생군단의 잎의 형태적 특성, 식생특성 및 유전변이. 한국임학회지. 86(2): 167-176.
  18. 이우철(1996). 원색 한국기준식물도감. 서울: 아카데미 서적.
  19. 이우철, 임양재(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8(부록): 1-33.
  20. 이유미, 박수현, 정수영, 오승환, 양종철(2011).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1(1): 87-101.
  21. 이율경(1999). 하천식생의 군락분류.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율경, 김종원(2005). 한국의 하천식생.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23. 이창복(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상.하). 서울: 향문사.
  24. 이창석, 김홍은, 박현숙, 강상준, 조현제(1993). 모감주나무군락의 구조 및 유지기작. 한국생태학회지. 16(4): 377-395.
  25. 이현우, 권영한, 노백호, 박찬호, 이정연, 김동욱(2011). 국가적색목록 생물종의 보호를 위한 관리정책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2011-04.
  26. 임양재, 전의식(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3-4): 69-83.
  27. 임업연구원.국립수목원(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 보고서.
  28. 환경부(2009). 내장산 멸종위기식물 보전전략 수립 연구. 환경부 보고서.
  29.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Berlin: Gebruder Bornteaeger.
  30. Numata(1975). Naturalized Plants. Tokyo: Japanese books.
  31. http://andong.grandculture.net
  32. http://local.daum.net
  33. http://terms.naver.com
  34. http://www.kma.go.kr
  35. http://www.ocp.go.kr
  36. http://www.tourando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