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Indicators Selection of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for World Cultural Heritage used by Delphi Technique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세계문화유산의 관리효과성 평가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 Xu, Hu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 Seok, Mi-Je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 Yu, Wen-D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 Kang, Tai-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Gyeongju)
  • 서환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석미정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우문동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강태호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is research is a progress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of 'how the listed World Cultural Heritage is being managed now?' the alternate indicators of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were set up based on international principles which were published by UNESCO, ICOMOS etc. Meanwhile the international contents of management and requirements were reflected in the alternate indicators of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The results were five evaluation categories included context, planning, setting, tourism and community were divided and total 46 alternate indicators in all were selected. In addition, to develop evaluation criteria for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of world cultural heritage by using Delphi Technique, three rounds of surveys were conducted on a selected expert group to derive and structuralize the evaluation factors. 46 factors got channeled into 32 factors after Delphi survey on appropriateness and credibility. The selected indicators were 7, 6, 7, 6 and 6 respectively in the five evaluation categori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follow-up study, it selected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index of world heritage.

본 연구는 '등재된 세계문화유산은 지금 얼마나 잘 관리되고 있는가?' 라는 질문의 답을 모색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UNESCO 세계유산협약, 운영지침 및 ICOMOS 등에서 발표한 국제원칙을 기준으로 삼아 국제적으로 요구하는 세계문화유산 관리의 내용을 살펴보고, 국제적 요구사항에 부응하면서 세계문화유산의 관리특성이 반영된 관리효과성 평가후보지표들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상황, 계획, 환경, 유산관광, 지역사회의 5개 평가분야에서 각 13개, 7개, 9개, 10개, 7개 등 총 46개의 후보지표가 설정되었다. 또한 총 3라운드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도 및 신뢰도를 분석하여 후보평가지표 총 46개 중에서 14개의 평가지표들을 제거하고, 32개의 평가지표들을 최종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상황, 계획, 환경, 유산관광, 지역사회 등 5개 평가분야에서 각 7개, 6개, 7개, 6개, 6개의 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세계문화유산의 관리효과성 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환(2010). 한국의 세계유산 보존관리 방안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동진(2006). 세계유산 완충구역 관리개념 정립. 국토계획. 41(1): 7-20.
  3. 장은선(2012). 서울 도심부 세계문화유산 주변지역 보존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정정길, 성규탁, 이장, 이윤식(2004). 정책평가, 이론과 적용. 서울: 법영사.
  5. 허학영(2006). 자연환경 보호지역의 적응형 관리를 위한 관리효과성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Cyphert(1990). A History of D.Phill Thesis. European Journal Operational Research. 48(1): 2-8. https://doi.org/10.1016/0377-2217(90)90056-H
  7. ICOMOS(1999). 유적지관광관리헌장.
  8. UNESCO(2011). 세계유산보호협약 운영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