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 Diagnostic Table for Oak Mushroom Management and its Applicability

표고버섯 경영 표준진단표의 개발 및 현지 적용

  • Jeon, Jun-Heon (Division of Forest Economics &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Won, Hyun-Kyu (Division of Forest Economics &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Yoo, Byoung-Il (Division of Forest Economics &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Seong-Youn (Division of Forest Economics &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Jung-Min (Division of Forest Economics &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Ji, Dong-Hyun (Chungnam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Kim, Yeon-Tae (Chungnam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Kang, Kil-Nam (Chungnam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Oh, Duk-Sil (Jeollanamdo Forest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 전준헌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제경영과) ;
  • 원현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제경영과) ;
  • 유병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제경영과) ;
  • 이성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제경영과) ;
  • 이정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제경영과) ;
  • 지동현 (충청남도산림환경연구소 임업시험과) ;
  • 김연태 (충청남도산림환경연구소 임업시험과) ;
  • 강길남 (충청남도산림환경연구소 임업시험과) ;
  • 오득실 (전라남도산림자원연구소 임업시험과)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tandard diagnostic table for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that oak mushroom cultivators of forestry households can utilize. By diagnosing their current level of management with the table, the cultivators themselves will be able to grasp and address their operational challenges better. The table is composed of; questions on the status of forestry households; columns for a series of management performance indices, and; questionnaire with 4 categories and 20 subcategories to check the current level of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by the households. In order to prepare the standard diagnostic table for oak mushroom management, 196 forestry households throughout 10 areas - Cheong-yang, Gong-ju, Bu-yeo and Seocheon in Chungcheongnam-do, Mun-kyung and Ye-cheon in Gyeongsangbuk-do, Jin-an in Jeollabuk-do, Jangheung and Jang-seong in Jeollanam-do, and Jeju Islands - were interviewed with and a total of 190 questionnaires were acquired and made use of in the result analysis. Then, the score on management level of each forestry household was determined in the way of aggregating scores from each subcategory. The overall average score of every household was calculated at 62.2 point with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54.7%, belonging to the range of 60 to 80. When considered by regional groups, the average score of Jin-an was the lowest with 57.6 point while that of Jang-seong was the highest with 69.6 point. In case of the 'cultivation management' category, there were a lot of cultivators who expressed a negative awareness of the term 'pest control' because they had a tendency to think the term in connection with 'herbicides or pesticides'. So it is inevitable to adapt and modify existing groups and grades to make sure that the cultivators can make a right choice without confusing the concept 'pest control' with 'herbicides or pesticides'. Meanwhile, the average scores of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categories were mostly low. It was remarkable in these categories that forestry households in Jeolla province, which had remained in lower ranks in the other three categories, recorded higher scores than those in Chungcheong province, boasting a relatively high level of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표고버섯 재배 임가의 재배자가 본인의 경영 수준을 진단하여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경영 표준진단표를 개발하여 활용하고자 하였다. 표준진단표는 농가 일반 현황과 경영성과 지표, 그리고 경영수준 진단을 위한 4개의 대분류 항목 및 20개의 중분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고버섯 경영 표준진단표의 작성을 위해 청양, 공주, 부여, 서천, 문경, 예천, 진안, 장흥, 장성, 제주도 등 10개 지역에서 196개 임가에 대해 경영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190개 임가의 설문지를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경영수준 진단을 위해서 20개의 중분류 항목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을 산출하였다. 전체 임가의 평균 점수는 62.2점으로 나타났으며 조사 임가의 절반 이상인 54.7%가 60점 이상~80점 미만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비교해보면 진안의 평균 점수가 57.6점으로 가장 낮고 장성의 평균점수가 69.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재배관리 항목에서는 재배자가 병해충 관리라는 단어를 농약과 결부시켜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많아 재배자가 혼동하지 않고 제대로 선택할 수 있도록 등급 조정 및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관리 항목들의 평균점수는 대부분 낮은 점수를 보였으나 앞선 3개 항목에서의 결과와 달리 전남지역이 충남지역의 조사지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 경영 관리에 있어서는 타 지역보다 앞선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의경, 정병헌, 김대현. 2000. 단기소득임산물의 유통경로 및 산지유통체계에 관한 연구. 산림경제연구 8(1): 11-27.
  2. 김재성, 주린원, 최수임. 2007. 표고버섯 재배에 대한 경제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96(4): 401-407.
  3. 민경택, 이요한. 2006. 도시 소비자들의 표고버섯 소비 및 구매행태 분석, 산림경제연구 14(2): 35-43.
  4. 박평식, 정호근, 이상덕. 2001. 농가의 경영진단기법 이용현황과 과제. 농업경영.정책연구 28(3): 540-555.
  5. 산림청. 2012. 2011 임산물생산조사. pp. 16.
  6. 석현덕, 민경택, 손철호, 오기표. 2004. 우리나라 표고산업의 정책과제와 발전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pp. 103.
  7. 석현덕, 장철수. 1998. 표고버섯의 수요분석. 산림경제연구 6(1): 40-46.
  8. 손철호, 윤여창. 1994. 표고의 수요전망 및 시장개방에 대한 대응방안. 산림경제연구 2(1): 91-105.
  9. 이경일, 장우환. 2003. 우리나라 단기소득임산물 정책에 관한 고찰. 한국임학회지 92(4): 367-373.
  10. 전준헌, 유병일, 이정민, 지동현, 김연태, 강길남. 2012. 밤나무 경영 표준진단표의 개발 및 적용. 한국임학회지 (101)4: 695-702.
  11. 정병헌, 김의경, 이성연. 2003. 표고버섯의 소비실태 및 구입선호 분석. 산림경제연구 11(2): 15-22.
  12. 지동현, 김연태, 강길남, 오도교, 노희경, 김세빈, 곽경호. 2010. 벤치마킹을 이용한 밤 재배 경영모델 개발-충청남도에 적용 가능한 밤 경영 표준진단표의 개발-.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 37(3): 515-522.
  13. 한국학술진흥재단. 2000. 농업경영의 벤치마킹 추진을 위한 경영진단표의 개발. pp. 5-39.
  14. http://amis.rda.go.kr/(농촌진흥청 농업경영종합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