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the Existence and Type of Originals on Box-office Performance

원작의 유무와 형태가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

  • 이윤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
  • 신형덕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Received : 2013.03.25
  • Accepted : 2013.05.16
  • Published : 2013.06.28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whether the existence and type of originals have any effects on box-office performance of the movie. Cultural products have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goods of which consumers hardly know the value of the products before they actually experience the products. To reduce the uncertainty, movie producers may want to use existing contents already made for other type of cultural products, which is generally called of One Source Multi Use. Using 381 Korean box-office data during January 2010 and September 2012, this study found that, first, the existence of original affects positively the movie's box office performance, second, the fiction based origina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ovie's box office performance while cartoon and movie/TV based originals do not, and third, the movie type(commercial movie) posi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ction based original and movie performance. This study showed that box-office performance is not only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ie itself, but also affected by other conditions including the use of existing originals created for other purposes.

본 연구는 영화의 원작의 존재 여부와 그 형태가 영화의 흥행 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초점을 맞춘다. 문화 상품은 실제로 소비하기 전에는 그 가치를 알기 힘든 경험재의 성격을 띠기 때문에 문화 상품의 소비자인 영화 관람객이 직면하는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의 한 가지로서 기존에 존재하는 스토리를 이용하는 One Source Multi Use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진흥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www.kobis.or.kr)에서 수집한 2010. 1. 1 - 2012. 9. 30 기간의 국내 개봉된 한국영화 381편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영화의 원작이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원작의 존재는 영화의 흥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원작의 형태 중 소설 원작의 영화가 흥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소설 원작의 영향력은 상업 영화에서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화 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영화의 내부적 요인에 대한 기존 연구를 확장하여 영화 산업 외부에서 창작된 문화 콘텐츠도 영화의 흥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평수, 윤홍근, 문화콘텐츠산업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2. 박장순, 문화콘텐츠 해외마케팅,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3. 권혜원, 최샛별, "예술영화 취향의 구별짓기-예술영화와 대중영화의 구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 제12집, 제1호, pp.27-64, 2011.
  4. 김연형, 홍정한, "영화 흥행 결정 요인과 흥행 성과 예측 연구", 한국통계학회논문집, 제18권, 제6 호, pp.859-869, 2011. https://doi.org/10.5351/CKSS.2011.18.6.859
  5. 류철균, 서성은, "온라인 게임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메이플 스토리를 중심으로>", 어문학, 제102호, pp.439-470, 2009.
  6. 박봉원, 이건창, "잠재고객의 OSMU(One Source Multi Use) 콘텐츠 수용에 대한 탐색적 분석 : 영화, 드라마를 중심으로", 경영연구, 제27권, 제2호, pp.81-94, 2010.
  7. 박승현, 정완규, "한국 영화시장의 흥행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2006-2008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4호, pp.243-276, 2009.
  8. 박승현, 송현주, 정완규, "한국영화의 흥행성과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1권, 제4호, pp.231-258, 2011.
  9. 서성은,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온라인 구전 양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134-144,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34
  10. 서동원, "원천콘텐츠의 OSMU 매체 전환 시 변화요인에 관한 연구-TV드라마와 영화, 입체영상화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춘계종합예술대회, pp.21-22, 2012.
  11. 송효섭, "스토리텔링의서사학", 시학과 언어학, 제18호, pp.163-180, 2010.
  12. 신동희, 김희경,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연구: 스토리텔링과 개념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180-189, 2010. https://doi.org/10.5392/JKCA.10.10.180
  13. 안성아, 김태준, "영화 개봉점유율과 관객감소율의 영향 요인 분석", 마케팅연구, 제18권, 제3호, pp.1-17, 2003.
  14. 윤병주, 이지훈, "OSMU를 통한 원작영화 게임화의 성공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19호, pp.153-159, 2009.
  15. 윤충한, 김홍대, "영화 배급, 상영의 수직계열화가 상영영화 선택 및 상영횟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경제학회 문화경제연구, 제15권, 제2호, pp.127-149, 2012.
  16. 이정원, "스토리텔링과 영화 서평", 경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p.1-7, 2012.
  17. 이자혜, 김미진, "매체 상호간 공유 가능한 Story Value 분석-영화와 게임의 사례를 분석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2호, pp.73-80,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8.8.12.072
  18. 이찬욱, 이채영, "영화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기획", 창작지원시스템 연구, 인문콘텐츠, 제19호, pp.533-557, 2010.
  19. 이창욱," OSMU를 중심으로한 문화콘텐츠의 다목적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제14권, 제3호, pp.372-381, 2009.
  20. 조은희, 임정수, "한국 영화산업의 시대별 특수성에 따른 원작 사용에 관한 연구", 언론과 사회, 제17권, 제3호, pp.51-77, 2009.
  21. 최화열, 안대천, 이혁진, "신한류 열풍시대의 휴먼 브랜드 파워가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한국영화배우와 감독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제26권, 제4호, pp.135-153, 2012.

Cited by

  1. Characteristics of Korean Film Market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vol.14, pp.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