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opsoil Management at River Restoration Projects

하천복원현장에서 표토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3.01.25
  • Accepted : 2013.02.17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and analyze the real condition of topsoil management of river development field as a significant case among domestic development fields for topsoil preservation. Through survey with experts, we understood the real condition and problems of topsoil management during river development. In order to verify this,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oil before and after development focusing on the rivers recently completed as an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project, supervis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among domestic river improvement projects. The study results are like below. First, experts preferred collecting and reusing topsoil as the best method to maintain and improve soil for plant growth. Second, realistically collecting and reusing topsoil is not fully conducted due to economical issues and inconvenience in construction. In the soil condition, third, the contents of elements necessary for plant growth like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declined overall after development.

이 연구의 목적은 표토보존을 위해 국내 개발분야 중 주요한 사례에 해당하는 하천개발분야에서 표토관리의 실태를 조사 및 분석하는 데 있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하천개발과정에서 표토관리의 실태와 문제를 파악하였다. 이를 분명히 하기 위해 국내 하천개선사업 중 환경부의 감독을 받는 생태하천복원사업으로서 최근 완료된 하천을 중심으로 개발 전과 개발 후의 토양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들은 식물생장을 위해 최선의 토양관리 및 개선방법으로서 표토의 수거 및 재활용을 선호하였다. 둘째, 경제적 문제와 시공의 불편 때문에 실제 표토의 수거 및 재활용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셋째, 개발 후 식물생장에 필요한 유기물, 총질소 등 토양조건 요인들이 전반적으로 감소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한강홍수통제소(2010) 한국하천일람.
  2. 김선미, 이인성(2007) 토지개발사업의 표토보존에 있어서의 과제. 한국조경학회지 35(2): 91-96.
  3. 남상준(2006) 훼손 비탈면의 생태복원녹화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농촌진흥청(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p. 202.
  5. 박은진, 강규이, 이세라(2008) 도시 유역의 노출토양 실태와 표토보전 방안. 경기개발 연구원. p. 4.
  6. 손원주(2003) 산림 표층토를 이용한 비탈면 훼손지 식생복원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장병관, 정종배역(2008) 조경가를 위한 토양학 핸드북. 서울:태림문화사.
  8. 조용현(1988) 부지정 지시표토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한국도로공사(2010) 저탄소 녹색고속도로 건설을 위한 표토활용방안.
  10. 한국조경학회(2007) 조경설계기준. 서울: 기문당.
  11. 한국토지개발공사(2005) 부지조성시 표토보존 및 활용방안.
  12. 환경부(2001) 표토보전 및 침식유실방지 대책에 관한 연구.
  13. 환경부(2012) 토양오염 공정시험 기준.
  14. 황철민(2002) 표토보존 및 침식방지 대책에 관한 연구. 안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
  15. Abdul-Kareem, A. W. and S. G. McRae(1984) The Effects on Topsoil of Long-termStorage in Stockpiles. Unpublished Ph. D. Thesis, University of London.
  16. Ding, Guangwei(2002) Soil organic matter and metolachlor sorption characteristics as affected by soil management. p. 5.
  17. Koenig, Rich(1997) Topsoil quality guidelines for landscaping. AG/SO-02. May 1997.
  18. Power, J. F., F. M. Sandoval, R. E. Ries and S. D. Merrill(1980). Effects of topsoil and subsoil thickness on soil water content and crop production on a disturbed soil. Soil Sci. Soc. Am. J. 45: 124-129.

Cited by

  1. The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oil Seed Bank for the Restoration of Original Vegetation vol.18, pp.6, 2015, https://doi.org/10.13087/kosert.2015.18.6.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