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election of Evaluation Index of Biotopes in Korea

한국 비오톱 평가지표의 선정 실태

  • Kim, Young-S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Honam) ;
  • Oh, Koo-Ky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Honam)
  • 김영선 (호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오구균 (호남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3.02.15
  • Accepted : 2013.04.01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selection status of the evaluation index in Korea and suggest improvements. In order to do so, comparison and analysis are conducted of terms, items and measures for biotope evaluation indexes attested in related documents published in domestic and foreign area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listed in the following. First, terms about biotope evaluation indexes are used and integrated with each other. Second, items used to denote biotope evaluation indexes are largely different in each region since comprehensive concepts have not been established for selecting the items. Third, there are poor grounds for items denoting biotope evaluation indexes to the species of creatures. Fourth, the items cannot provide satisfying explanations for the relative values of the current condition in the urban ecosystem of a specific reg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ay be appli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about what is to be improved for selecting biotope evaluation indexes in Korea. In order to systematically preserve an urban ecosystem environment in Korea for the future, it is necessary for the state to develop and set up such evaluation indexes and guidelines that reflect the relative values of biotopes in each level of urban areas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비오톱 평가지표의 선정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외에서 비오톱에 관한 문헌을 통해 평가지표에 대한 관련용어, 관련항목 및 척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오톱 평가지표의 관련용어가 서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오톱 평가지표 관련항목은 항목선정에 대한 통합적 개념설정이 부족하여 사례지별 다양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생물종에 대한 평가지표의 관련항목이 생략된 사례가 많이 있었다. 넷째, 평가지표의 척도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였다. 다섯째, 평가지표의 척도가 사례지의 도시생태현황에 대한 상대적 가치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비오톱 평가지표 선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점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우리나라 도시생태환경을 체계적으로 보전하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대 중 소도시별 비오톱의 상대적 가치를 반영하는 평가지표 개발 및 지침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부(2002) 자연친화적하천정비기법 개발(II). 국토부 보고서.
  2. 김영란(2000) 환경친화적 건축 및 단지개발요소 적용방안 연구. p. 155.
  3. 김정호(2007) 비오톱유형을 고려한 산림지역 생태계 평가기법 개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0(3): 38-51.
  4. 김정호, 한봉호(2006) 도시생태계 구조를 고려한 비오톱유형구분. 한국 조경학회지 34(2): 1-17.
  5. 나정화(1997) 도시 소생물권 도면화 작업(UBM)과 그 정보시스템(BIS) 구축방법에 관한 연구: 도시 소생물권(Biotop)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정원학회지 15(2): 133-145.
  6. 나정화, 도후조(2003) 도시 중심부 지역의 비오톱 구조분석 및 평가: 대구광역시 중구 사례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5):9-20.
  7. 나정화, 류연수(2002) 도시비오톱의 자연체험가치 평가모형의 개발과 적용. 한국조경학회지 30(3): 1-11.
  8. 나정화, 이석철(2000) 대도시의 비오톱 구조분석: 자연체험 및 휴영의 관점에서. 한국조경학회지 28(3):72-87.
  9. 대전환경기술개발센타(2007) 대전광역시 비오토지도 작성을 위한 기본연구. 대전광역시 보고서.
  10. 부산발전연구원(2007) 비오톱지도 제작을 통한 낙동강하구 일원 자연환경보전종합계획. 부산광역시 보고서.
  11. 부산발전연구원(2010) 중부산권역 도시생태현황도 제작. 부산광역시 보고서.
  12. 서울대환경계획연구소(2004) 비오톱 등급평가 및 도시생태현황도(Biotop Map) GIS 구축. 성남시 보고서.
  13. 서울대환경계획연구소(2006) 생태지도(Biotop Map) 및 현황도 제작 연구보고서. 광양시 보고서.
  14. 서울시립대학교(2010) 도시생태현황(비오톱)조사 및 지도작성(2단계) 용역. 원주시 보고서.
  15. 서울시립대학교(2010) 파주시 도시생태현황도(Biotop Map) 작성 연구. 파주시 보고서.
  16. 서울시립대학교(2011) 양평군 자연환경조사연구. 양평군 보고서.
  17.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0)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립. 서울특별시 보고서.
  18.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5) 도시생태현황도 정비. 서울특별시 보고서.
  19. 오충현, 이경재(2000) 도시생태계 보전을 위한 비오톱 평가기법: 새서울 타운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7(5): 134.
  20. 이동근 등(2005). 보전가치를 위한 경관생태학적 지표의 활용 및 적용. 한국조경학회지 32(6): 15-21.
  21. 이무춘(1996) 도시에서의 Biotop 조사에 관한 기초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1(6): 197-211.
  22. 이희승(1988) 국어대사전. 서울: 민중서림.
  23. (주)이장(2010) 자연환경조사 및 도시생태현황 GIS 구축을 위한 연구. 수원시 보고서.
  24. 정문선, 이명우(2000) 우리나라 중소도시 비오톱 공간의 조성방안. 한국 조경학회지 28(4): 75-90.
  25. 진화기술공사(2011) 순천시 도시생태현황도 작성. 순천시 보고서.
  26. 최인태(2008) 도시개발사업의 생태계 영향 저감 및 보상을 위한 자연침 해조정 기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최일기, 이은희(2009) 비오톱평가를 위한 평가항목 및 평가체계 제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6): 594-602.
  28. 최진우(2009) 한국 수도권 도시의 지역적 특성에 적합한 비오톱유형 분류 및 평가모형 개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충남발전연구원(2009) 당진군생태현황조사(비오톱지도작성) 연구용역 보고서. 당진군 보고서.
  30. 충남발전연구원(2010) 계룡시(비오톱)지도 작성 연구. 계룡시 보고서.
  31. 충남발전연구원(2010) 공주시 생태지도작성 연구용역. 공주시 보고서.
  32. 충남발전연구원(2010) 논산시 생태지도. 논산시 보고서.
  33. 충남발전연구원(2010) 예산군 비오톱지도 구축. 예산군 보고서.
  34. 충남발전연구원(2011) 보령시 생태(비오톱)지도. 보령시 보고서.
  35. 충남발전연구원(2011) 부여군 생태지도 제작. 부여군 보고서.
  36. 충남발전연구원(2011) 서산시 생태지도. 서산시 보고서.
  37. 충남발전연구원(2011) 서천군 생태지도. 서천군 보고서.
  38. 충남발전연구원(2011) 연기군 비오톱지도. 연기군 보고서.
  39. 충남발전연구원(2011) 청양군 생태(비오톱)지도. 청양군 보고서.
  40. 충남발전연구원(2011) 태안군 비오톱(생태)지도. 태안군 보고서.
  41. 충남발전연구원(2011) 홍성군 생태지도 연구용역 보고서. 홍성군보고서.
  42.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6) 친환경 도시건설(경관생태관리․생태지도 작성)에 관한 연구. 고양시 보고서.
  43. 한국생물과학협회(2005) 생물학용어집. 서울: 아카데미서적.
  44. 환경부(1995) 전국 그린네트워크화 구상: 사람과 생물이 어우러지는 자연만들기. p. 209.
  45. 환경부(2007) 도시생태현황지도(비오톱지도) 작성지침. 환경부 보고서.
  46. 환경부(2010) 도시생태현황지도(비오톱지도) 작성 완료현황자료. 환경부 보고서.
  47. 환경부(2011) 도시생태현황지도(비오톱지도) 작성지침. 환경부 보고서.
  48. Anderson, D.(1997) Stand of System, The Philosophy of C, Peirce, West Lafayette: Purdue University Press.
  49. DierBen, K. and H. Roweck(1998) Bewertung im Naturxchutz und in der Landschaftsplanung. in: W. Theobald(ed), Integrative Umweltbewertung. theorie und Beispiele aus der Praxis Springer Verlag, Berlin, Heidelberg, Germany, pp. 175-192.
  50. Jensen(1996)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 A remote sesing perspective. pp. 122-124.
  51. Jhonston, J.(1990) Nature areas for city people A guide to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community wildlife sites Ecology Handbook 14. London Ecology Unit, London, UK, 116pp.
  52. Plachter, H.(1994) Methodische Rahmenbedingungen fur synoptische Bewertungsverfahren im Naturschutz. Zeitschrift fur Okologie und Naturschtt, Gustav Fischer verlag Jena, Germany. 3: 87-106.
  53. Sukopp, H.(1993) Stadtoekologie. Gustav und Fischer. pp. 1-75.
  54. Witting, R. and K. F. Schreiber(1983) A quick method for assessing two importance of open space in town for urban nature conservation. Biological Conservation 26: 57-64. https://doi.org/10.1016/0006-3207(83)90048-4
  55. Zonneveld, I. S.(1995) Land Ecology. An Introuction to Landscape Ecology as a Base for Land Evaluation, Sand Management and Conservation. SPB Academic Publishing, Amsterdam, 199pp.
  56. http://kosis.kr/
  57. http://www.forest.or.kr/about01.ph
  58. http://www.m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