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of the Public Cloud Computing Services

공공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기술수용 결정요인 연구

  • 김대호 (목원대학교 서비스경영학부) ;
  • 김태형 (목원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 Received : 2013.05.20
  • Accepted : 2013.06.12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Cloud computing services have became an hot issues in business fields while the IT-related global company such as Amazon, MS, and Google took part in. The cloud computing makes it possible to share in the form of outsourcing of hardware and software through the Internet, to build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via multiple terminals, and to reduce the cost using open source. Such a cloud computing services have not shown any significant growth in Korea yet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erefore, in this study focusing on public cloud computing services, it is intende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public cloud computing services using the technology model. Thus, for users using public cloud service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rom the beginning of January 2013 to the end of February 2013. And we derived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shows that personal aspects significantly impacts on the perceived usability, service aspects, systems aspects, and the intent of the technology acceptances. System aspects significantly effect on the intent of technology acceptances. Perceived usability significantly effects on the service aspects and the systems aspects. The main factors effecting on the intent of the technology acceptances are system aspects and perceived usability in order. And it shows that the personal aspects decreases the intent of the technology acceptances.

클라우드 컴퓨팅은 아마존, MS, 구글, IBM 등 IT 관련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하면서 이슈화되기 시작하였다. 클라우드 컴튜팅은 인터넷을 통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웃소싱 형태로 공유, 여러대의 단말기를 통해 분산형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는 개념으로, 오픈소스를 통해 비용 절감효과도 발생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외국에 비해 아직 한국에서 크게 성장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수용의도를 공공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중심으로 기술 수용의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2013년 1월 초부터 2월 말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본 기술수용모델(TAM)을 기반으로 연구 모형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적 측면은 지각된 유용성, 서비스 측면, 시스템 측면 그리고 기술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 측면은 기술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용이성은 서비스 측면과 시스템 측면 그리고 기술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은 서비스 측면과 시스템 측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수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요인은 시스템 측면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용이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측면은 기술 수용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