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ypes of Strategies of Brand Communication and Analysis of a Case of Fashion Flagship Store applied with VMD Expressional Elements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유형과 VMD표현요소를 적용한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 사례 분석 연구

  • 이정윤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
  • 정아영 (백석대학교 기독교문화예술학부) ;
  • 공순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 Received : 2013.01.31
  • Accepted : 2013.04.12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direction for interior space design for fashion flagship stores in the future where the brand identity can become correctly recognized by the consumers, and consumers can have various and differentiated experiences. As research method, theoretical concept review and case study on brand communication and VMD were used. Specifically, for review on brand communication, concept, strategies, and space types were explored, and, for review on VMD, concept, purpose, and expressive elements were researched. Also, the study looked at the relevance between and importance of strategy types of brand communication and VMD. Through these reviews, strategy types of brand communication and analysis criteria for VMD application were written based on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8 cases in Korean and elsewh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Based on marketing-oriented thinking with understanding of VMD, the plan must accurately understand the image and identity pursued by the brand, take into account the store layout, atmosphere, product concept, trend, and display, so that the store can communicate with the customers with cognitive consistency, diversity of senses, and differentiation from other companies. Currently, fashion flagship stores in Korea are concentrated on sales in expressing VMD, and, therefore, are difficult to deliver brand identity to consumers and they require diversity in expressive elements in doing so. Therefore, in the interior space design of fashion flagship stores in Korea, brand communication must enhance cognitive, behavioral, relationship, and culture marketing, and, requires confirming VMD expression in details by linking with brand communication and specific expressions based on it.

Keywords

References

  1. 김정은,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10
  2. 이은경, 체험마케팅에 의한 스포츠 리테일 샵의 VMD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2010
  3. 유희선,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BI 색채적용 특성에 대한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논문, 2011
  4. 박혜경.유희선,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BI 색채적용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논문집 제 25권 제 3호, 2011
  5. 김정란, 소비자 지향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10
  6. 손일권, 브랜드 아이덴티티, 경영정신, 2003
  7. 전수영, Space Communication 유형별 브랜드 개성 강화 전략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03
  8. 윤갑근.이화숙.한세민, VMD에 따른 백화점 여성캐주얼 매장구성계획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43호, 2004.4
  9. 정회연, 백화점 공용공간 VMD에 관한 연구: 'L'백화점 센텀시티점 중심으로, 동서대학교 석사논문, 2008
  10. 류신영, 백화점 VMD가 의복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논문, 2003
  11. 한영호.안진근, Visual Display, 기문당, 서울, 2007
  12. 건축세계 2003년 8월호, 디자인네트 2009년 4월호, 조명과 인테리어, 2009년 3월호
  13. www.Inter Brand.co.kr
  14. 신광순,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국내 패션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환경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2권, 2010.6
  15. 장규순, 패션전문점의 비쥬얼 머천다이징전략에 관한 연구 : 멀티브랜드 매장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호, 1999.12
  16. 김연아, 백화점의 통합적 마케팅커뮤니케이션을 위한 VMD전략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7호, 1998.12
  17. 한세민, 효과적인 VMD(Visul merchandising)를 위한 실내공간 및 상품연출계획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논문, 2002
  18. 이현진, VMD 프로세스를 적용한 쇼핑 몰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1998
  19. 신영하,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활용한 백화점 VMD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04
  20. 장미화, 백화점 여성의류 VMD가 매출에 끼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논문, 2009
  21. 정은주, SPA 브랜드 매장의 VMD 요소 현황과 사용자 평가, 상명대학교 석사논문, 2011
  22. 안건숙, 지역별소비자특성에 따른 패션전문점의 VMD에 관한 비교연구,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2000
  23. 장영숙, VMD를 적용한 백화점 여성의류매장 디스플레이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1987
  24. 한송희, 비쥬얼 머쳔다이징에 의한 백화점 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