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Depressive Symptoms and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in a University Hospital

일 대학병원 유방암 환자의 우울증상과 삶의 질

  • Jang, Seung-Ho (Department of Psychiatry, School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Lee, Dae-Bo (Department of Psychiatry, School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Choi, Un Jong (Department of Surgery, School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Lee, Kwang-Man (Department of Surgery, School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Lee, Sang-Yeol (Department of Psychiatry, School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장승호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 이대보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 최운정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이광만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이상열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Received : 2013.01.26
  • Accepted : 2013.04.02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nd to identify demographic variable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mpact on depressive symptom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in a university hospital. Methods : Fourty-one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ere selected, who had visited the department of General surgery of the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with a diagnosis of breast cancer regularly during the period November, 2010-May, 2011. All of subjects were evaluated for the depression, anxiety and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with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xiety subscale of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PAI) and Short-Form 36 Health Survey-Korean version(SF-36-K). Patients were divided into depressive symptoms and non-depressive symptoms group according to the BDI score. We compared SF-36-K between two groups, and analized multiple regression with depress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s criterion variables and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Results :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in a University hospital was 36.4%. Compared to the non-depression, depressed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ppeared significantly lower mean scores on six subscales in SF-36-K : Physical function(p<.01), Role-physical(p<.001), General health(p<.05), Social function(p<.001), Role-emotional(p<.001) and Mental health(p<.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Vitality and Bodily pain. Anxiety, level of education and presence of enforcement of chemotherapy(63.6%) were significant explanation variables for depressive symptoms. And type of surgery and age(55.8%) were significant explanation variables fo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s :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in a University hospital was 36%. The depressive symptoms had not only negative impact on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ut also important explanation variable fo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should be evaluated and treated for improving patient's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연구목적 유방암 환자에서 우울증상의 동반 빈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울증상은 건강과 연관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 유방암 환자의 우울증상의 유병율을 알아보고 우울증상이 건강과 연관된 삶의 질과, 우울증상과 삶의 질에 미치는 인구 사회학적 및 임상적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원광대학교병원 외과에서 2010년 11월 1일부터 2011년 5월 31일까지 유방암으로 진단 및 수술을 받고 통원치료 중인 19세 이상 75세 미만인 여성 환자 52명에서 이전에 기분장애로 진단을 받았거나 평가 설문지 및 의학적 정보가 부족한 11명을 제외한 4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유방암에 대한 임상적 특성은 의무기록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우울증상은 Beck 우울척도, 불안은 성격평가질문지의 불안 하위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은 한국판 단축형 36항목 건강 설문지(Short Form 36 health Survey-Korean Version)를 사용하였다. Beck 우울 척도에 따른 우울증상 군과 비우울증상 군의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비교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변인 및 임상적 변인을 예언 변인으로 하고 우울증상과 삶의 질을 준거 변인으로 한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유방암 환자 중 우울증상의 유병율은 36.4%였다. 우울 증상을 나타내는 유방암 환자의 건강과 연관된 삶의 질에서 신체 기능(p<.01), 신체 역할(p<.001), 전반적 건강(p<.05), 사회 기능(p<.001), 정서 역할(p<.001), 정신 건강(p<.001)의 하위 척도가 우울증상을 동반하지 않은 환자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신체 통증 및 활력의 하위척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방암 환자의 우울증상은 불안과 교육 정도, 항암치료 시행 여부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전체 우울증상의 63.6%의 설명 변량을 나타냈다. 유방암 환자의 건강과 관련한 삶의 질은 우울증상, 수술형태, 연령이 유의하였으며 55.8%의 설명 변량을 나타냈다. 결 론 유방암 환자의 우울증상은 36%에서 나타났으며 우울증상은 건강과 연관된 삶의 질을 낮추었다. 우울증상은 삶의 질에 높은 설명 변량을 가지고 있으며, 불안은 우울증상을 동반한 유방암 환자에서 높은 설명 변량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우울증상에 대한 평가 및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