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mera Acting Method

카메라 연기 훈련 방법 연구

  • 박호영 (서원대학교 연극영화전공)
  • Received : 2013.06.05
  • Accepted : 2013.06.25
  • Published : 2013.07.28

Abstract

The film language is distinguished roughly according to shot angles and size and camera movement. The film language is what the performer should be well-acquainted with in camera acting. Since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acting in front of the camera lies in being with the camer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mera and the performers is basically mutual communication and is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in which they should be well acquainted with each other. Understanding of diverse film languages for acting in front of the camera enables the performer to adapt to the media quickly and to concentrate on acting. Performance changes according to the media or environment in which acting is performed. For a good performance, the performers should be able to appropriately express their own act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or the media in which they do performance. Acting in front of the camera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acting on the stage in the aspects of either media characteristics or acting. With the manifestation of extemporaneousness and the discovery of the performers' personality to the extent possible, performers themselves proceed with creative works in collaboration with the director in acting in front of the camera and can attain the development of acting in front of the camera.

영상 언어는 크게 쇼트의 앵글과 사이즈 그리고 카메라의 움직임 등에 따라 구분된다. 이러한 영상 언어는 카메라 연기를 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숙지해야할 사항이다. 카메라 연기에서의 가장 큰 특징은 카메라와 함께 한다는 것에 있음으로 카메라와 배우의 관계는 상호 소통을 기본으로 하며, 서로를 잘 알아야 하는 숙명적인 관계이다. 카메라 연기를 위해서 다양한 영상언어를 이해한다면 배우가 빠르게 매체에 적응되어 연기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연기는 연기가 행해지는 미디어나 환경에 따라 변화한다. 배우는 좋은 연기를 위해서 연기하는 공간이나 미디어의 특성에 따라 자신의 연기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카메라 연기는 매체적 특성이나 연기적 측면에서도 무대연기와는 분명한 차별성을 갖고 있다. 즉흥성의 발현과 배우의 개성을 최대한 발견해 내며, 배우 자신은 카메라 연기에 있어서 감독과 더불어 공동으로 창조 작업을 진행하며 카메라 연기의 발전을 이룰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토니 바, 유현목 옮김, 영화연기워크숍, 1992.
  2. 토니 바, 이승구, 김학용 옮김, 영화연기, 집문당, 2001.
  3. 메리 엘렌 오브라이언, 최상식 옮김, 영화연기, 연극과인간, 2003.
  4. 박호영, 민경원 "매체연기 특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161, 2011.
  5. 패트릭터커, 방은진 옮김, 스크린연기의 비밀, 서울시공사, 1999.
  6. 마이클 케인, 송해숙 옮김, 명배우의 연기수업, 지안, 2009.
  7. 위대한 캐츠비(The Great Gatsby), 2013.
  8. 실버라이닝 플레이북(Silver Linings Playbook), 2012.
  9. http://videography101.com/?p=227
  10. 박호영, 민경원, "매체연기 특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164, 2011.
  11. 박호영, 민경원, "매체연기 특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p.164-165, 2011.
  12. 에드워드.D. 이스키 저, 이강렬 역, 메소드 연기, 경서원, 1986.
  13. 미하일 체홉, 윤광진 옮김, 미하일 체홉의 테크닉 연기, 예니, 2000.
  14. 김태훈, "국내 연기교육 잔혹사-연기, 무엇을 어떻게 교육시킬 것인가?", 연극교육연구, 한국연극교육학회, 제11권, p.313, 2005.
  15. 박호영, 민경원, "매체연기 특성 연구",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168,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