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 Roles and Performances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focused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Startup-supporting Officers

대학 산학협력단의 기술사업화 인적구성과 산학협력 성과

  • 임의주 (성균관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 김창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 조근태 (성균관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Received : 2013.03.01
  • Accepted : 2013.05.16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Although the proposition of universities in national R&D has been soaring up recently in Korea, there is gap between the performances and the social expectations. To meet the gap, there are increasing trial to strengthen the role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IAC) Foundations supporting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activities. This study focuses on IAC Foundations and attempts to validate the relation between their roles and IAC performances with a regression analysis and futhermore to analyse the effect of the size of full-time-entities(FTEs). This study proposes positive relations between the IAC related performance and the FTEs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IAC Foundations. Moreover, we identified that two groups-the below- and above-average groups-show different effects of the roles in IAC on the performance and that in the above-average group, the FTEs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re affecting the performance more than below in above-average group.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allocate role more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an in other ones for enhancing the productivity of IAC performances and staffing by job-sector sh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지식경제사회에서 국가 R&D수행 주체로서 대학이 차지하는 역할이 큰 폭으로 확대됨에도 불구하고 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성과 간에 격차가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대학 산학협력단을 대상으로 기술사업화관련 직무의 인력구성이 산학협력 성과와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시도한다. 이를 위하여 산학협력 성과와 산학협력단에서 기술사업화와 창업보육 직무 담당 인력을 구분하여 상관관계를 회귀분석하고 산학협력단 총 인력규모를 평균미만 및 평균이상으로 구분하여 집단 간 비교를 추진하였다. 그 결과, 기술사업화 전담 인력수가 대학의 산학협력 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집단 간 산학협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력규모가 평균이상인 집단에서 기술 사업화 전담인력수가 대학의 산학협력 성과에 상대적으로 더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 산학협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산학협력단의 기술사업화 분야의 인력관리시 단순한 규모 증가가 아닌 직무 역할을 명확히 정의하고 기술사업화 부문의 전담 인력의 확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제기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