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atisfaction Level and Performance Evaluation for CM Service in Korea

국내 건설사업관리 업무만족도 및 성과평가

  • 김원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관리연구실) ;
  • 장철기 (한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13.03.22
  • Accepted : 2013.05.20
  • Published : 2013.07.31

Abstract

The domestic CM business market has continued to grow, but its size is relatively small yet in comparison with the total size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Evaluation of CM projects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Both clients and CM firms showed positive satisfaction levels. Nevertheless, the clients' satisfaction levels were relatively low in safety management, cost management, and docum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Superior areas of CM tasks were time management and recovery scheduling, quality control and technical instruction, and design value engineering. On the other hand, inferior areas of CM tasks were claim analysis and dispute resolution, cost estimation, and life cycle costing. Both entities have agreed with the positive effects of CM involvement in terms of cost saving, time reduction, quality improvement, and safety incidents prevention to at least 0~5% extent.

국내 건설사업관리(CM)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건설시장에 비해 규모가 너무 작아 본격적으로 시장이 형성되었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수준이다. 공공 및 민간 부문의 계약 건수 및 금액 모두 증가하여 시장이 성장한 것으로 조사되지만, 공공의 경우 대형 국책사업에 정책적으로 적용한 사례를 제외하면 CM 계약 실적이 미미해 민간의 활용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국내 CM 사업의 현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련 주체를 대상으로 사업관리 업무의 중요도 및 기 수행된 CM 사업의 성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사업관리 주요 분야별 업무 중요도 조사에서, 발주자는 사업비 관리, 설계 관리, 기획 및 계획 등을 중요하게 판단하였으며, 사업관리자는 사업비 관리를 제외하고 이와 유사하게 응답하였다. 한편, 분야별 업무 만족도에 대하여 발주자가 만족도가 가장 낮은 분야로 안전관리, 사업비 관리를 선택한 반면, 사업관리자는 공정관리, 안전관리, 사업비 관리 등의 만족도를 높게 평가하여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다. 사업관리 세부 업무에 대한 우수 및 취약 업무 평가 결과, 사업관리 효과가 큰 우수 세부 업무에 대해서는 발주자 및 사업관리자 모두 공정관리 및 부진 공정 만회 대책 수립, 품질관리 및 기술 지도, 실시설계 VE 등을 높게 평가하였다. 이에 반해 취약 업무로는 양주체 모두 클레임 분석 및 분쟁 대응 업무, 사업 단계별 총사업비 및 생애주기비용 관리 등을 공통적으로 지적하였다. CM 사업에 대한 공사비, 공기, 품질, 안전 등 4대 항목의 성과 및 향후 목표치 평가에서 CM 0~5% 수준대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윤병식.이정현.유정호.김창덕 (2007). "국내 CM방식의 현황 및 활성화 분석에 관한 연구",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7권, 한국건설관리학회, pp. 483-486
  2. 문혁.김재준 (2006). "공공부문 건설사업관리 적용실태 및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7권 제1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19-127
  3. 최석인.장현승 (2006). "공공발주자가 인식하고 있는 용역형 CM 사업에 대한 성과 및 개선점", 건설관리기술과 동향 II, 한국건설관리학회, pp. 45-49
  4. 김희정.김창교 (2006). "국내 건설사업관리(CM)제도의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전국대학생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06-109
  5. 이복남.최석인.장현승 (2005). "국내 용역형 CM시장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6. 권오경 (2005).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활성화 방안", 건설관리, 제6권 제2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35-37
  7. 국토해양부 (2005-2012), 건설사업관리자 CM능력 평가 공시 보도자료
  8.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http://www.kiscon.net/), 건설사업관리능력공시자료
  9.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Cited by

  1. An Analysis of the Market Structure Change in Construction Management Industry - Based on Public Announcement Data of CM Capabilities, 2004~2012 - vol.30, pp.7, 2014, https://doi.org/10.5659/JAIK_SC.2014.30.7.89
  2. Growth Model for Korean CM Firms based on 2012 Statistics vol.15, pp.6,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6.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