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Factor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The First Library in My Life'(내 생애 첫 도서관) Policy: Based on Street-Level Bureaucracy Model by Lipsky

'내 생애 첫 도서관' 정책 집행 요인에 대한 연구 - 립스키(M.Lipsky)의 일선관료제 모형을 중심으로 -

  • 유진선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 김기영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3.08.19
  • Accepted : 2013.09.12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As the information needs in civil society is getting diverse, the interest in local policy proces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ies, especially in local policy implementation is growing. However, research i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has focused rather on policy alternatives than policy process in Korea.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policy implementation in "the First Library in my Life" policy in Kyeonggi province with the framework of the Street-Level Bureaucracy Model by Michael Lipsky. In the analysis, we attempt to identify factors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the model into the situation of Korean library policy, and to suggest major considerations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in Korean public libraries for successful policy implementation. From the results, the usefulness of the model is examined and the need of considering indirect socio-economic factors is suggested.

시민사회의 정보요구가 점차로 다양해짐에 따라, 각 지역의 특성에 기반한 정책의 수립과 집행과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나 도서관 정보정책의 경우, 정책과정보다는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립스키(M.Lipsky)의 일선관료제 모형을 이용하여, 경기도에서 진행 중인 '내 생애 첫 도서관' 정책을 대상으로, 정책 집행단계의 집행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선관료제 모형을 기반으로 정책 집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도서관 정보정책 집행 분석에 있어서의 일선관료제 모형의 유용성과, 이에 기반한 성공적인 정책 집행을 위한 집행과정에서의 주요 요인을 파악한다. 일선관료제 모형은 집행 현장에서 정책 집행의 다양한 효과 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였으며, 간접적인 사회, 경제적 요인들이 더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사이버도서관. 2009. 내 생애 첫 도서관 시범사업 결과 보고회 및 서비스 확대 설명회. 수원: 경기도사이버도서관.
  2. 곽동철. 2011.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도서관의 정보취약계층서비스 확대전략개발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수탁연구 최종보고서). 청주: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online]. [cited 2013.6.17]. .
  3. 김남옥. 2006. 일선관료의 재량권 행사의 필요성과 문제점. 고시연구, 33(10): 326-328.
  4. 김성철, 황재국, 전성훈. 2006. 우리나라 비축정책의 집행요인에 관한 연구: 민.관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0(3): 75-94.
  5. 김순양. 2002. 일선 복지행정 전문관료의 재량행위 분석. 한국행정학보, 36(2): 291-313.
  6. 김영민, 임도빈. 2011. 일선관료의 재량권 사용에 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보, 8(3):25-59.
  7. 김왕식. 2005. 일선 관료(street-level bureaucracy)의 대응성(responsiveness)연구: 미국 중앙노사관계위원회 사례분석. 한국행정학보, 39(2): 287-303.
  8. 김윤호. 2013. 효과적인 재량권 관리의 모색: 규제기관과 재분배 기관의 일선 관료들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19(1): 5-32.
  9. 김이배. 2010. 립스키(M. Lipsky)의 일선관료제 모형에 근거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집행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2(3): 150-183.
  10. 박경귀. 2002. 문화정책의 집행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4(4): 229-252.
  11. 송병주, 정원식. 1999. 일선경찰의 업무수행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행정학보, 33(3): 89-110.
  12. 윤순희. 1995. 정책집행에 있어서 하향식 접근방법과 상향식 접근방법. 고시계, 40(3): 361-363.
  13. 윤주명. 1992. 일선관료제와 시민간의 공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시민의 관료제 대응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14. 윤태섭. 2005. 정책집행주체의 정책집행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보, 19(1): 135-157.
  15. 정은영. 2012. 엄마 뱃속에서 처음 만난 도서관: 영유아.임산부를 위한 내 생애 첫 도서관 운영사례. 도서관연구소 웹진, 82. [online]. [cited 2013.6.19]. .
  16. 정정길, 최종원, 이시원, 정준금. 2003. 정책학원론. 서울: 大明出版社.
  17. 최종원. 1998. 정책집행연구의 이론적 틀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정책학회보, 7(1): 173-206.
  18. 하규만. 1999. 정책집행 이론의 재검토. 한국지방정부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대회자료집, 61-73.
  19.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9. 지방자치단체의 국가정책 집행 실효성 확보를 위한 사례연구. 서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 Barrett, Susan and Fudge, Colin. 1981. Policy and Action: Essays on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Policy. London: Methuen.
  21. Berman, Paul. 1978. "The Study of Macro-and Micro-Implementation." Public Policy, 26(2): 157-184.
  22. Burke, John P. 1987. "A Prescriptive View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When Should Bureaucrats Exercise Discretion?" Review of Policy Research, 7(1): 217-231. https://doi.org/10.1111/j.1541-1338.1987.tb00039.x
  23. Elmore, Richard. 1979. "Backward Mapping: Implementation Research and Policy Decision." Political Science Quarterly, 94(4): 601-616. https://doi.org/10.2307/2149628
  24. Goggin, Malcolm L., Ann O'M. Bowman, James P. Lester, and Laurence J. Jr. O'Toole. 1990. Implementation Theory and Practice: Toward a Third Generation. Glenview, IL: Scott, Foresman and Company.
  25. Hjern, Benny and Chris Hull. 1985. "Small Firm Employment Creation: An Assistance Structure Explanation." In Policy Implementation in Federal and Unitary Systems, NATO ASI Series, 23: 131-156.
  26. Hjern, Benny and Chris Hull. 1987. Helping Small Firms Grow: An Implementation Approach. London: Croom Helm.
  27. Lipsky, Michael. 1976. Toward a Theory of Street-Level Bureaucrac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8. Lipsky, Michael. 1980. "Street-level Bureaucracy: Dilemmas of the Individual in Public Services." Journal of Health Politics, Policy and Law, 7(4): 968-970.
  29. Pressman, Jeffrey L. and Aaron Wildavsky. 1973. Implementation.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0. Pressman, Jeffrey L. and Aaron Wildavsky. 1984. Implementation. 3rd. ed.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1. Pulzl, Helga and Oliver Treib. 2007. Implementing Public Policy. New York, NY: CRC Press.
  32. 국가법령정보센터 [online]. [cited 2013.6.30]. .
  33. 경기도대표도서관 [online]. [cited 2013.6.30]. .
  34. 경기 문화재단 [online]. [cited 2013.6.30]. .
  35. 자치법규정보시스템 [online]. [cited 2013.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