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alidation Study of Shaping Comfortable Environments Based on the PMV Index Using Facial Skin Temperature

안면 피부온도를 활용한 PMV 지표 기반 쾌적환경 조성의 타당성 연구

  • Kim, Boseong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Mind, Dept. of Psych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Min, Yoon-Ki (Dept. of Psych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Shin, Esther (Institute of Biomedical Engineering, Yeungnam University) ;
  • Kim, Jin-Ho (Dept.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김보성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인간심리연구소) ;
  • 민윤기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
  • 신에스더 (영남대학교 의료공학연구소) ;
  • 김진호 (공주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3.07.27
  • Accepted : 2013.08.08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d the validity of whether the PMV index-based comfort- or uncomfort-indoor environments could be classified by the facial skin temperature, one of the physiological indicator for human. To do this, we distinguished between a comfort thermal environment and an uncomfort thermal environment using the PMV value, and then facial skin temperatures were measured in both environments. As a result, the facial skin temperature of occupants were different between the comfort- and uncomfort-indoor environments. It suggested that the facial skin temperature could be used in shaping th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ased on the PMV index. While this result suggested the PMV index-based on comfort and uncomfort indoor environments could not be valid, because the facial skin temperature was lower in the uncomfort thermal environment than in the comfort thermal environment.

본 연구는 인간의 생리적 지표 중 하나인 안면 피부온도를 활용하여 PMV 지표 값에 기반하여 조성된 쾌적/불쾌 실내 환경을 적절하게 구분할 수 있는지 그 타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쾌적 실내 환경에 해당되는 PMV 지표 값을 기준으로 물리적 환경을 쾌적 실내 환경과 불쾌한 실내 환경으로 각각 구분하고, 구분된 환경내에서 재실자의 안면 피부온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PMV 지표 값으로 구분된 쾌적 실내 환경과 불쾌한 실내 환경에서의 재실자의 안면 피부온도가 서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안면 피부온도가 PMV 지표에 기반한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에 있어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쾌적한 실내 환경에 비해 불쾌한 실내 환경에서 안면 피부온도가 낮게 나타나는 결과를 통해 오히려 PMV 지표 값에 기반을 두고 조성되는 쾌적/불쾌환경이 타당하지 않을 수 있음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