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FD Analysis on the Flow Uniformity of a $CO_2$ Enrichment System

CFD를 이용한 온실 $CO_2$ 시비 시스템의 유량 균일성 해석

  • Yim, Kyungjin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Hongjip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mi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Energy Systems,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
  • Park, Kyoung-Sub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 임경진 (충남대학교 기계공학과) ;
  • 김홍집 (충남대학교 기계공학과) ;
  • 이상민 (한국기계연구원 환경기계시스템연구실) ;
  • 박경섭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 Received : 2012.12.13
  • Accepted : 2013.05.23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CO_2$ enrichment systems have been recently used to shorten the growth period of plants and the improvement of harvest and its quality. To accomplish these goals, manifold should be designed to supply the same amount of $CO_2$. In this study, CFD approach has been us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geometric parameters, such as tube and hole diameters. An optimized geometry has been derived through pipe and tube part,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deviation of flow rate less than 0.1 g/s was expected at all holes of the $CO_2$ enrichment system.

보일러 배기가스를 이용해 온실 내부의 $CO_2$ 농도를 높여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CO_2$ 시비 시스템의 공급 최적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기관의 유로를 사용하는 시비 시스템의 기하학적 변수에 따른 유량균일성 파악을 위해 전산유체역학 기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PVC 형상을 수정하여, 처음 설비에서 출구유량이 적어 튜브 뒤쪽까지 $CO_2$가 나오지 못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된 형상을 결정했다. 그 다음 실험값과 동일하게 맞추기 위하여 실험값과 해석값의 출구 속도를 비교하여 입구 압력을 결정하였다. 이때 여섯 개의 출구에서 나타나는 유량 비균일성은 출구에 Gasket을 부착하여 출구 면적 변화를 통해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여섯 개의 출구 직경을 각각 변화시킨 3개의 Case 결과가 출구 면적을 모두 동일하게 두었을 때보다 편차가 최대 ${\pm}18%$까지 감소되었다. 비닐 튜브 역시 뒤쪽까지 $CO_2$가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구의 직경을 변화시켜가며 비교하였다. 각각의 출구 직경은 동일하게 하고 입구 면적 대비 출구 면적이 153.4%(D = 10mm), 97.8% (D = 8mm), 54.9%(D = 6mm)이 되도록 3개의 Case로 나누어 유량 균일성 향상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출구직경이 10mm일 때보다 6mm일 때, 유량 편차가 ${\pm}13%$ 정도 감소되었다. 따라서 출구 면적이 작아질수록 유량 균일성이 향상됨을 파악하였다. 앞서 결정된 최적 PVC 형상과, 비닐 튜브 조건을 조합하여 전체 형상을 해석한 경우 역시 모든 hole에서의 유량이 0.1g/s 이내의 차이를 보이며 높은 균일성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기관의 유로를 이용하여 $CO_2$를 분배시키는 다른 형태의 시비 시스템에서 역시 PVC 배관에서의 압력강하를 최소화시킨 뒤, PVC와 비닐 튜브의 출구 직경을 변화시키는 순서로 각 출구로의 유량을 균일하게 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nsys 13 Fluent User's Guide.
  2. Idelchik, I.E. 1994. Handbook of Hydraulic Resistance 3rd ed, CRC Press. p. 149-412.
  3. Kang, Y.I., S.Y. Lee, H.J. Kim, H. Chun, and B.R. Jeong. 2007. Effect of $CO_{2}$ enrichment concentration and duration on growth of bell pepper (Capsicum annuum L.). Protected Hort. Plant Fac. 16(4):352-357 (in Korean).
  4. Kim, T.Y., K.D. Kim, I.H. Cho, E.Y. Nam, Y.I. Nam, Y.H.Woo, and B.H. Mum. 2004. Improving the distribution of temperature by a double air duct in the air-heated plastic greenhouse. Protected Hort. Plant Fac. 13(3):162-166 (in Korean).
  5. Kwon, J.K., S.H. Lee, J.P. Moon, S.J. Lee, and K.W. Kim. 2010. Application of CFD simulation to cooling system design of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 workplace. Protected Hort. Plant Fac. 19(4):195-202 (in Korean).
  6. Lee, I.B., N.K. Yun, T. Boulard, J.C. Roy, S.H. Lee, G.W. Kim, S.W. Hong, and S.H. Sung. 2006. Development of an aerodynamic simulation for studying microclimate of plant canopy in greenhouse. Protected Hort. Plant Fac. 15(4):296- 305 (in Korean).
  7. Lee, S.M., K.W. Choi, Y.D. Lee, K.S. Park, Y.P. Paek, and J.K. Kwon. 2012. $CO_{2}$ enrichment system for greenhouse using boiler exhaust gas. Protected Hort. Plant Fac. 21(2): 150-151 (in Korean).
  8. Nam, S.W. and Y.S. Kim. 2011. Greenhouse cooling using air duct and integrated fan and pad system. Protected Hort. Plant Fac. 20(3):176-181 (in Korean).
  9. Nederhoff, E.M. 1990. Technical aspects, management and control of $CO_{2}$ enrichment in greenhouse. Acta Horticulturae 268:127-138.
  10. Park, J.S., J.W. Shin, T.I, Ahn, and J.E. Son. 2010. Analysis of $CO_{2}$ and harmful gases caused by using burn-type $CO_{2}$ generators in greenhouses. Protected Hort. Plant Fac. 19(4):177- 183 (in Korean).
  11. Seo, T.C., Y.A. Jang, C.W. Nam, S.S. Oh, Y.C. Um, and J.H. Han. 2012. Changes of plant biomass and proximate composition of radish exposed to elevated temperature and $CO_{2}$ concentration. Protected Hort. Plant Fac. 21(1):20-27 (in Korean).
  12. Uprety, D.C., S.C. Garg, B.S. Bisht, H.K. Maini, N. Dwivedi, G. Paswan, A. Raj, and D.C. Saxena. 2006. Carbon dioxide enrichment technologies for crop response studies. Journa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65:859-866.
  13. van Berkel, N. and J.B. Verveer. 1984. Methods of $CO_{2}$enrichment in the Netherlands, Acta Horticulture :162.
  14. Won, S.Y., M.J. Jang, Y.C. Ju, and Y.B. Lee. 2010. Optimum $CO_{2}$ concentration for fruit-body formation and yield of pleurotus ferulae mushroom in the growing facilitiy for bottle cultvation. Protected Hort. Plant Fac. 19(2):77-81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