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Animation Education Standards'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애니메이션 교육 표준 분석 및 개선점 연구

  • Received : 2013.08.01
  • Accepted : 2013.09.10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tandards for the animation education in '2011 Arts and Culture Education Standards: Cartoon and Animation'. Animation Education Standards has been developed by discussion about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by study of documents about animation, and by investigation about experimental recognition. And the study of domestic and foreign art education standards are reflected in these standards. These standards consist of seven categories reflecting various aspects of animation and each category is classified into five stages by age. This standard has two axes: seven categories by various aspects of animation and five stages by age, and it represents achievement requirement in animation learning. This study suggests that 'Animation Education Standards' has five features as below. First, it reflects the character of Animation as an independent subject. Second, it is studied on the basis of the framework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Third, it provides basic achievement requirement, and it has no limitation in learning activities. Fourth, the achievement requirements of two or more categories can be applied simultaneously in real classroom; each category is set by themes of animation education. This study presents five methods to improve existing standard. First, independent standard for animation education must be developed. Second, categories must be established distinctly. Third, each categories and achievement requirement must reflect unique characteristic of animation. Fourth, the description of achievement requires must be systemized. Fifth, to help to adapt education standard, explanation about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must be added. '2011 Art and Culture Education Standards: Cartoon and Animation' is important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hat systemized animation education and presented pedagogical achievement requirements by suggesting achievement requirements for animation education by two axes -ages and categories. It will be very helpful in studying the animation education as a subject, and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and teaching and learning in an actual class.

본 연구의 목적은 "2011 문화예술교육표준연구-만화 애니메이션"에서 제시한 애니메이션 교육표준의 연구 과정 및 결과를 분석하고, 의미를 탐색하여 개선점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애니메이션 교육표준'의 개발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에 대한 문헌 연구 및 실제적 인식에 대한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국내외의 관련 교육과정을 표준 개발에 반영하였다. 교육 표준의 구성은 애니메이션의 다양한 양상을 반영하여 일곱 가지 영역으로 설정되었으며, 학령별 5단계로 구성되어 각 영역에서 학생들의 학습 목표와 관련된 기대수준이 서술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애니메이션 교육표준'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교과로서 애니메이션의 특성이 반영되었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적 관점을 강조하였다. 셋째, 애니메이션 교육표준은 기본적인 기대수준을 제공하며 다양한 학습 활동에 개방적이다. 넷째, 각 영역의 기대수준은 실제 수업에서 상호 보완적으로 중복되어 적용된다. 각 영역의 범주는 애니메이션 교육과 관련된 주제 중심으로 설정되었다. 개선점으로는 다음과 같은 점을 들 수 있다. 첫 번째, 독립된 애니메이션 교육표준의 개발이 필요하다. 두 번째, 영역 설정의 범주에 있어서 층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애니메이션의 독특한 미학적 성격이 영역 및 기대수준 기술에 반영되어야 한다. 네 번째, 기대수준의 기술이 보다 체계화 될 필요가 있다. 다섯번째, 교육표준의 적용을 도울 수 있는 교수학습활동의 실제에 대한 기술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2011 문화예술교육표준연구-만화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 교육의 기초적인 학령별 영역별 기대수준을 포괄적으로 제시하여 애니메이션 교육의 체계성 및 교육학적인 성취기준을 제안한 첫 번째 연구였다는 데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는 향후 애니메이션 교과교육의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현장에서의 교수학습활동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신승환, 문화예술교육의 철학적 지평, 한길아트, 2008.
  2. Ross D Parke 외, 이민희 외 역, 지난 한 세기 동안의 발달심리학 개관; "발달심리학 거장들의 핵심이론 연구 ,학지사, 2004,
  3. 앤 뱀포드, 백 령 역,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2007, p 93.
  4. 톰 앤더슨, 멜로리 밀브란트, 김정희 외 역, 삶을 위한 예술교육, 예경, 2007. p50
  5. 김재웅 외, 2012 우수교수학습지도안 개발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6. 김재웅 외, 문화예술교육표준연구, 201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7. 김선아 외, 2010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시리즈,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8. 황정현 외,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
  9.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2012.0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2011.0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BFI(2000), English&mediacenter, Film Institute, Moving Image in the Classroom.
  12. Film Education Working Group (Great Britain). Making Movies Matter: Report of the Film Education Working Group. (1999).
  13. Gary Collins ed. Blue Print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Moving image (2007), NewYork City Department of education.
  14. NAGB(2008),arts education assessment framework. U.S. Department of Education Washington, DC.
  15. National Arts Education Associations(1994), National Standards for visual Art.
  16. Retrieved September 30, 2011, from Universitaet Leipzig, Wortachatz Web site: http://corpora.informatik.uni-leipzig.de/
  17. Retrieved September 30, 2011, from Das offizielle Hauptstadtportal, Lehrplaene Kunst/ Bildende Kunst Web site: http://www.berlin.de/sen/bildung/unterricht/lehrplaene/as Project Deutscher
  18. Wortschartz der Uni Leipzig,http://wortschatz.uni-leipzig.de/

Cited by

  1. Development of a Model of Animation Education Contents applied in STEAM vol.13, pp.2,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2.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