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Organizational Strategy and Operational Elements of Community-based Agricultural Management Bodies

마을단위 농업경영체 조직전략 및 운영요소 도출 연구

  • Received : 2013.08.15
  • Accepted : 2013.09.11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licit the organizational strategy and operational elements of community-based agricultural management bodies as new main farm management. We analyzed the newest discussion trend, cooperated community management,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Japan based on theory of organizing regional agriculture, and also researched on the organization management and business management about cooperated management of community. In this study, the main conclusion of the organizational strategy and operational elements of community-based agricultural management bodies are as following. i) The community-based agricultural management bodies is the cooperation managed individual agriculture resources as joint stock for purposing compound goal, an expansion agricultural income, maintenance farm productivity and rural societies. ii) The domain of cooperative management focus on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y like food process, farm produce distribution, rural experience more than farm produce production. The study suggest business promotion system of village unit farmers groups, element of organization management as executive decision organization, business management, operating factor for each steps and management element of cooperation farm working. iii) The policy direction for invigoration community-based agricultural management bodies is to make facilitation for each steps instead of standardized support.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농업 농촌의 쇠퇴와 공동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농업경영 주체로서 마을단위 농업경영체의 조직전략 및 운영요소를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농업조직화 이론의 틀 속에서 마을 단위 공동경영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최신 논의 동향을 검토하였으며, 마을단위 공동경영 사례에 대한 조직관리 및 경영관리 실태를 조사였다. 이를 통해 한국 농업 농촌의 현실 여건에 적합한 조직전략 및 운영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단위 농업경영체는 농업생산의 효율화만을 추구하는 단순한 협업조직이 아니며 '농업생산력 유지, 농업소득 증진, 농촌사회 유지'라는 복합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 경영체이다. 이러한 관점을 반영하여 본 논문에서는 마을단위 농업경영체를 '농업생산력 유지, 농업소득 증진, 농촌사회 유지 등을 달성하기 위해 다수의 농업인과 주민이 협조적, 집단적, 조직적 의사결정을 통해 개별적으로 보유한 농업자원을 마을 단위로 공동으로 이용하거나 공동 자본을 조성하여 운영하는 법인'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마을단위 공동경영을 실천하는 국내 사례에 대한 조사 결과 공동경영의 영역은 '생산'보다는 '가공, 유통. 체험' 등 2~3차 영역에 집중되어 있었다. 소규모 전업농이 다수를 차지하는 국내 농업구조에서는 일본 수도작 지역의 집락영농 유형과 같이 '1마을 1농장' 방식의 경영통합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마을단위 농업경영체는 '생활공동체' 성격과 '농업경영체'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기 때문에 조직운영 방식과 의사결정 체계도 두 가지 틀 속에서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을 반영하여 본 논문에서는 마을단위 농업경영체의 추진체계, 최고의사결정기구의 조직관리 요소, 사업조직 관리 요소, 단계별 운영요소, 공동 농작업 관리 요소, 조직전략 수립요소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마을단위 농업경영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지원 방향에 대해서는 한국 농업 농촌의 사회문화적 특성, 각각의 마을 여건 등을 고려하여 획일화된 지원보다는 마을단위 농업경영체를 설립하고 운영해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지원하고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방식의 지원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심영근, 이상무, 이성호, 김태곤, & 허덕. (1993). 일본의 대규모 수도작경영의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 박광서. (1997). 농업생산조직과 지역농업 조직화. 전남대학교출판부.
  3. 이상용, 유정규, 김태연, 채영길, 김동완, & 김덕현. (2007). 지역농업경영체의 유형별 경영모형 개발. 농촌진흥청.
  4. 대통령자문 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2007). (지역의 다양한 조건을 활용)집락영농: 만드는 방법.운영.경영관리의 일체.
  5. 박종포. (2007). 집락영농이 담당하는 지역의 신사업. 농업기술회보. (사)전국농업기술자협회.
  6. 황의식. (2008). 농업경영체의 조직화 효과와 활성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 오내원, 마상진, 김광선, 김창호, & 권인혜. (2010). 농촌지역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기업 육성방안 연구(1/2차연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이규천, 오내원, 마상진, 김광선, & 김창호. (2011). 농촌지역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기업 육성방안 연구(2/2차연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 전찬익. (2011). 농지 유동화.집적이 진행되는 일본농업. NHERI리포트(제144호). 농협경제연구소
  10. 황영모. (2011). 지역농업이 가는길 : 농업생산자의 조직화사례. GS&J.
  11. 박문호, & 김정승. (2011). 지연성 농업경영체의 경영실태와 성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EU, 농촌개혁 정책과 6차산업화. 세계농업(154권)
  13. 高橋正郞, (1991). 地域農業の組織革新. 農山漁村文化協會.
  14. 田代洋一. (2006). 集落營農と農業生産法人 : 農の協同を紡ぐ. 筑波書房.
  15. 農林水産省, 集落營農の組織化.經營發展の取組事例, 2011
  16. 農林水産省, 平成21年集落営農実態調査報告書, 2009
  17. 農林水産省, 集落営農組織の皆さんへ支援策活用ガイド, 2010

Cited by

  1. 특화지역 분석을 통한 권역별 특화사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축산분야를 중심으로 - vol.22, pp.3, 2015, https://doi.org/10.12653/jecd.2015.22.3.0333
  2. The Rural Producers’ Organizations Experiences of Farmers vol.16, pp.2, 2015, https://doi.org/10.22284/qr.2015.16.2.135
  3. 벼 무논직파재배기술 사용확산의 시스템 다이내믹스 동태분석 -시범단지 사례를 중심으로- vol.24, pp.2, 2013, https://doi.org/10.12653/jecd.2017.24.2.0099
  4. 논벼 농가의 재배기술 선택요인 분석 vol.25, pp.1, 2013, https://doi.org/10.12653/jecd.2018.25.1.0045
  5. 친환경농업 생산조직 참여결정 요인분석 -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 vol.27, pp.3, 2013, https://doi.org/10.11625/kjoa.2019.27.3.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