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Time Management Behavior, Life Satisfaction between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Management Behaviors and Life Satisfaction

중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시간관리 행동, 생활만족도 비교 및 시간관리 행동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 Received : 2013.04.27
  • Accepted : 2013.06.18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ime management behaviors and life satisfaction of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the time management and the life satisfaction. For this study, 104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203 regular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gi Province were particip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management behavior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Analyzing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showed that gifted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eneral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gifted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general student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group and the gender did not appear.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ife satisfaction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Analyzing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showed that gifted students' life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eneral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both group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group and the gender did not appear. Third,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management behaviors and life satisfaction of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in both group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ime management behaviors on life satisfaction, and it showed that time management behavior affects significantly on life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시간관리 행동과 생활만족도를 조사하고 시간관리 행동과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영재학급 중학생 104명과 중학교 일반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시간관리 행동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영재학생의 시간관리 행동이 일반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p<.05). 영재학생은 성별에 따른 시간관리 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일반학생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시간관리를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원변량분석 결과 집단과 성별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둘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생활만족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p<.05).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모두 성별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집단과 성별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p>.05). 셋째, 일반학생과 영재학생의 시간관리 행동과 생활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시간관리 행동과 생활만족도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시간관리 행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간관리 행동이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수란 (2007). 초․중학생의 생활만족도 분석. 한국교육사회학연구, 12(1), 1-21.
  2. 김경아 (2004). 시간관리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3. 김동일, 박경애, 김택호 (1995). 청소년 시간관리 연구: 프로그램 종합보고서. 청소년 상담연구 21. 서울: 청소년 대화의 광장.
  4. 김명숙, 정대련, 이종희 (2003). 과학영재와 일반아의 창의적 사고, 인성, 환경과 과학영역의 창의적 수행에서의 성차. 아동학회지, 24(3), 1-13.
  5. 김미경 (2001).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그 결정요인.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6. 김미숙, 윤초희, 조석희 (2005). 우리나라 중학생 영재의 지적.정의적 특성: 일반학생과의 비교 및 학년과 성별분석. 아시아교육연구, 6(3), 25-58.
  7. 김외숙, Geistfeld, L. (2005). 한국과 미숙 대학생의 시간관리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논문집, 40, 487-500.
  8. 김은정 (2007). 남 ․ 여 과학 영재들의 인지적 ․ 정의적 특성 비교.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9. 남경애 (2008). 청소년의 시간관리행동과 학업성취도,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학교 특성 별 비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10. 남경애, 고선강 (2008). 청소년의 생활관리행동과 생활만족도: 인문계고, 특성화고, 평생교육시설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3), 103-117.
  11. 박경애, 김택호 (1994). 청소년시간 및 정신에너지관리: 기초연구. 한국청소년상담원 청소년상담연구(총서), 1-208.
  12. 박은정 (2007). 중학생의 시간관리와 학업성취도. 석사학위논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3. 박은정, 김외숙 (2008). 중학생의 시간관리: 관련변수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1), 41-55.
  14. 방수진 (2012). 초등 영재학급 학생이 지각하는 영재학급 활동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15. 박현수 (2008). 초등학생의 시간관리 능력에 따른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16. 서인주, 두경자 (2007). 대학생의 시간관리 행동이 시간관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121-131.
  17. 성유진 (1994). 취업주부의 시간갈등수준 및 시간관리전략과 가정관리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18. 오현진 (2006). 초등학생의 시간관리 능력에 따른 자기효능감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19. 윤용옥 (2007). 대학생의 시간관리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 윤혜리 (1996). 취업주부의 시간관리전략과 심리적 복지감.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1. 이원휘 (2002). 고등학생의 시간 관리와 학업성취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2. 이재호 (2012). 융합형 영재교육기관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 16(1), 123-130.
  23. 이초록 (2011). 학부모 양육태도가 초등영재교육대상자와 일반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24. 정금미 (2003). S.Covey의 시간관리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25. 정호순 (2009). 청소년의 시간관리 능력과 자기생활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들의 인과 관계분석.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26. 조선미 (2011). 영재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들: 자기결정성, 학습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1(3), 611-630.
  27. 조성신, 여상인, 유미현 (2011). 영재학생의 일반학급 및 영재교육기관에서의 학교생활만족도. 영재교육연구, 21(2), 465-484.
  28. 조은부, 백성혜 (2006).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 학생의 인지적 특성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307-316.
  29. 채화영 (2005). 직장인의 시간관리 행동 유형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30. 최수임 (1993). 체계적 접근을 통해 본 기혼 여교사의 시간갈등, 시간관리전략, 생활만족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31. 통계청 (2009). 생활시간조사결과 보고서. 서울: 통계청.
  32. 한기순, 신지은, 정현철, 최승언 (2002).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창의적인가? 한국지구과학회지, 23(4), 324-333.
  33. 한순미 (2005). 지식사회에서 영재들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전략. 영재와 영재교육, 4(1), 85-104.
  34. 홍성임 (2004). 중학생의 시간관리,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35. Britton, B.K., & Tesser, A. (1991). Effects of time management practices on college grad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 405-410. https://doi.org/10.1037/0022-0663.83.3.405
  36. Macan, T., Shahani, C., Dipboye, R., & Philips, A. (1990). College students' time management: Collelations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stress. Journal of Educational Pschology, 82(4), 760-768. https://doi.org/10.1037/0022-0663.82.4.760
  37. Schmelzer, R. V., Schmelzer, C. D., Figler, R. A., & Brozo, W. G. (1987). Using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 to determine reasons for success and failure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personnel, 28(3), 261-266.
  38. Treuman, M., & Hartley, J. (1996). A comparison btween the time management skills and academic performance of mature and traditional entry university students. Higher Education, 32(2), 199-215. https://doi.org/10.1007/BF00138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