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achers' Responses to Curriculum Evaluation of Gifted Education in Visual Art : Case Study of Three Types of Institution for Gifted Education

미술영재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교사 인식과 요구 : 영재교육기관 유형별 사례연구

  • Received : 2013.07.15
  • Accepted : 2013.08.27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responses to curriculum evaluation of gifted curriculum in visual arts. Especi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of the responses among three types of institutions for gifted education (institution for gifted education, community based gifted classroom, and school based gifted classroom). Teachers from these three types of institutions for gifted education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viewed that consideration is needed for 3 criteria. Teachers from different institutions showed different responses to 'professionalism of working personnel' and 'utilization of advisory committee'. Second, teachers viewed that 13 criteria need consideration. Teachers from different institutions showed different responses to 'support personnel for gifted education' and 'educational equipment and resource supply'. Third, teachers viewed that consideration is needed for 2 criteria. Teachers from different institutions showed different responses to 'effort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structors'. Fourth, teachers viewed 4 criteria need consideration. Teachers from different institutions showed different responses to 'budget planning for next year'.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gifted curriculum in visual art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미술영재교육과정 평가준거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영재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미술영재교육과정 평가준거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영재교육기관을 시도교육청 운영 영재교육원, 지역공동 영재학급, 단위학교 영재학급의 세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기관의 교사들을 면담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평가준거들 중 3개의 평가준거에 대해서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특히 '운영인력의 전문성'과 '자문위원회 활용'의 경우 영재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교사들의 의견이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투입평가준거들 중 13개의 평가준거에 대해서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특히 '교육 지원 인력 확보', '교구 및 자료 제공'의 경우 영재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교사들의 의견이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과정평가준거들 중 2개의 평가준거에 대해서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특히 '교강사 전문성 신장 노력'의 경우는 영재교육기관에 따라 교사들의 의견이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성과평가준거들 중 4개의 평가준거에 대해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특히 '차년도 예산 확보 계획'의 경우는 영재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교사들의 의견이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국가적 수준에서 영재교육과정 평가준거를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건희 (2012). 문화예술교육정책 안에서 미술영재의 선발현황과 개선방향. 문화정책논총, 26(2), 152-173.
  2. 김정희 (2003) 미술영재들의 특성에 대한 연구-미술가와 미술영재아의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미술교육논총, 17, 48-78.
  3. 김정희 (2007). 미술영재교육과정 모형에 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21(2), 61-82.
  4. 김정희, 강병직 (2011). 미술영재교육학. 서울: 학지사.
  5. 김혜선 (2004). 미술영재교육 실태조사 연구. 미술교육논총, 18(3), 81-102.
  6. 백경미 (2012). 한국 미술영재교육 현장의 요구. 기초조형학연구, 13(3), 153-161.
  7. 백중렬 (2008). 초등미술교육의 현황과 미술영재의 육성방안. 미술교육논총, 22(2), 211-228.
  8. 서예원, 이재분, 박지은 (2011).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평가 및 중장기 전망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9. 서예원, 이재분, 유경재, 정영옥, 박지은, 이경숙 (2012).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수립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0. 서혜애, 조석희, 이은아, 한석실, 윤초희 (2003). 영재교육기관 평가체제 개발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1. 이경진 (2012).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모형 개발. 교육과정평가, 15(2), 217-240.
  12. 이경진, 김선아 (2012). 미술영재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이론적 기초. 영재교육연구, 22(3), 639-662.
  13. 이경진, 김선아, 강병직, 최진영 (2012). 미술영재교육과정 평가준거 개발. 영재교육연구, 23(2), 193-213.
  14. 이정규, 김미숙, 박춘성, 이승희, 이행은 (2007). 영재학급.영재교육원 운영실태 및 확대 방안에 대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5. 이현주, 이미나, 이화선 (2010). 예술영재의 개인 및 환경적 특성 탐색 - 음악, 미술, 무용영재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0(2), 547-570.
  16.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13).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지표 개발.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17. Clark, G., & Zimmerman, E. (2008). 미술영재교육: 이론과 실제. [홍소영 역]. 서울: 미진사. (원본출간년도: 2004).
  18. Csikszentmihalyi, M. (2003). 창의성의 즐거움 [노혜숙 역], 서울: 북로드. (원본출간년도: 1996).
  19. Davis, G. A., & Rimm, S. B. (200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5th ed.). Boston, MA: Allyn & Bacon.
  20. Fitzpatrick, J. L., Sanders, J. R., & Worthen, B. R. (2011). Program evaluation: Alternative approaches and practical guidelines (4th ed.). Boston, MA: Allyn & Bacon.
  21. Gagne, F. (2003). Transforming gifts into talents: the DMGT as a development theory.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rd ed.) (pp. 60-74). Boston, MA: Allyn & Bacon.
  22. Provus, M. M. (1971). Discrepancy evaluation. Berkeley, CA: McCutchan.
  23. Renzulli, J. (1999). What is this thing called giftedness, and how do we develop it?: A twenty-five year perspective.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3(1), 3-54. https://doi.org/10.1177/016235329902300102
  24. Renzuilli, J, S., & Ward, V. S. (1969). Diagnostic and evaluative scales for differential education for gifted. Storrs, CT: University of Connecticut, Department of Educational Psychology.
  25. Scriven, M. (1967). The methodology of evaluation. In R. E. Stake (Ed.), Curriculum evalu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Monograph Series on Evaluation, No. 1, pp. 39-83). Chicago: Rand McNally.
  26. Stufflebeam, D. L. (2005). CIPP model (context, input, process, product). In S. Mathison (Ed.), Encyclopedia of evaluation (pp. 60-65). Thousand Oak,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