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ater Quality Variation and Biotic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Juam Lake (2011)

주암호의 수질 변동 및 생물군집 특성(2011)

  • Song, Hyo-Jeong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Hwang, Kyung-Sub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Park, Jong-Hwan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Lee, Hak-Young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Chonmam National University) ;
  • Kim, Jong-Su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Chonmam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Wo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Sunchon National Unversity) ;
  • Lim, Dong-Ok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Honam University) ;
  • Lee, Sung-Hwi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Honam University) ;
  • Lim, Byung-Jin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송효정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황경섭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박종환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이학영 (전남대학교 생물학과) ;
  • 김종선 (전남대학교 생물학과) ;
  • 김현우 (순천대학교 환경교육과) ;
  • 임동옥 (호남대학교 생물학과) ;
  • 이승휘 (호남대학교 생물학과) ;
  • 임병진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Received : 2012.10.29
  • Accepted : 2013.03.08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ater quality and biotic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Juam Lake. In water quality, water temperatures was $3.8{\sim}21.2^{\circ}C$, 6.7~8.6 in pH, $64{\sim}76{\mu}s\;cm^{-1}$ in Conductivity, $5.3{\sim}13.2mg\;L^{-1}$ in DO, $2.5{\sim}3.3mg\;L^{-1}$ in COD, $1.0{\sim}5.1mg\;L^{-1}$ in SS, $0.622{\sim}0.841mg\;L^{-1}$ in T-N, $0.007{\sim}0.019mg\;L^{-1}$ in T-P and $2.8{\sim}8.8mg\;m^{-3}$ in Chl-a. Revised Carlson's Index (TSIm) assessment using total phosphorus (TP) and chlorophyll-a domonstrated that the trophic states of Juam Lake were rated as mesotrophic. A total of 53 species of phytoplankton were identified. They were 28 Bacillariophyceae, 13 Chlorophyceae, 3 Cyanophyceae, and 9 Other algal taxa. The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was ranged from $113cells\;mL^{-1}$ to $2,909cells\;mL^{-1}$. A total of 16 species of zooplankton were identified (10 rotifers, 4 cladocerans and 2 copepods). Total zooplankton abundance was $309ind.\;L^{-1}$ to $435ind.\;L^{-1}$. The collected benthic macroinvertebrates from the surveyed sites in Juam Lake were 1,038 individuals, 33 species, 21 families and 12 orders. A dominant species was Uracanthella rufa and a subdominant species was Ecdyonurus kibunensis. Hydrophytes recorded from Juam Lake were identified 9 taxa. Emerged plants, floating plants among the hydrophytes was classified 8, 1 taxa, respectively. Ecosystem disturbance wildplant by Environment Ministry found were Paspalum distichum var. distichum and Ambrosia artemisiaefolia. A total of 30 species (6 families) were collected fishs from Juam Lake. There were 10 Korean endemic species (33.3% of collected species number) and 3 exotic species (10.0%).

주암호의 수질변동과 주요 생물 군집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질의 경우, 수온은 $3.8{\sim}21.2^{\circ}C$, 수소이온농도(pH)는 6.7~8.6, 전기전도도는 $64{\sim}76{\mu}s\;cm^{-1}$, 용존산소량(DO)은 $5.3{\sim}13.2mg\;L^{-1}$,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2.5{\sim}3.3mg\;L^{-1}$, 부유물질(SS)은 $1.0{\sim}5.1mg\;L^{-1}$, 총질소(T-N)는 $0.622{\sim}0.841mg\;L^{-1}$, 총인(T-P)은 $0.007{\sim}0.019mg\;L^{-1}$, Chl-a 농도는 $2.8{\sim}8.8mg\;m^{-3}$로 나타났다. 수정 Carlson 지수(TSIm)에 따른 영양단계 평가 결과는 연평균 중영양 상태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총 출현종수는 53종으로 규조류 28종, 녹조류 13종, 남조류 3종, 기타 9종이 확인되었다. 현존량은 $113{\sim}2,909cells\;mL^{-1}$의 범위를 보였다. 동물플랑크톤 총 출현 종수는 16종으로 출현 분류군별로는 윤충류 10종, 지각류와 요각류가 각각 4종과 2종이 확인되었고 현존량은 $309{\sim}435ind.\;L^{-1}$의 범위로 나타났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총 12목 21과 33종으로 1038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우점종은 등 줄하루살이였고 아우점종은 두점하루살이로 나타났다. 수생식물은 총 9종으로 정수식물 8종, 부유식물 1종이 확인되었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로는 돼지풀과 물참새피가 출현하였다. 어류는 총 30종 613개체가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종은 10종으로 33.3%의 고유도를 나타냈고, 외래도입어종은 3종으로 침투도 10.0%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 http://www.kma.go.kr.
  2. 김범철, 박주현, 허우명, 임병진, 황길순, 최광순, 최종수. 2001. 국내 주요 호수의 육수학적 조사(4): 주암호. 한국육수학회지. 34:30-44.
  3. 김익수. 1995. 한국의 위기 담수어류의 서식현황과 보존. 한국생태학회∙어류학회 공동 심포지움 발표 논문집. 31- 55pp.
  4. 김현우, 라긍환, 정광석, 박종환, 허유정, 김상돈, 나정은, 정명화, 이학영. 2010. 국내 남서부지역 호수 및 저수지 생태 계의 플랑크톤 동태 변화. 환경생물. 28:86-94.
  5. 나정은, 정명화, 박종환, 김상돈, 임병진, 김현우, 이학영. 2011. 영산강∙섬진강 수계 호소의 규모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분포. 환경생물. 29:107-112.
  6. 나정은, 정명화, 조인숙, 박종환, 황경섭, 송효정, 임병진, 라긍환, 김현우, 이학영. 2012. 영산강∙섬진강 수계 주요 호소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환경생물. 30:39-46.
  7. 물환경정보시스템. http://water.nier.go.kr.
  8. 박혜경, 이장호, 최명재, 윤석환, 송호복, 이 규, 윤석제, 신경애, 변명섭, 공동수. 2009. 팔당호 어류군집의 생태특성 및 장기 변동. 수질보전한국물환경학회지. 25:951-963.
  9. 배상옥, 이용운, 이성우, 정선용. 2000. 주암호 영양상태 및 인부하 분석. 환경영향평가. 9:291-300.
  10. 성치남, 백근식, 최지혁, 조현욱, 김종홍. 1997. 주암호 지천의 수질과 어류군집. 한국육수학회지. 30:107-118.
  11. 영산강물환경연구소. 2009. 영산강.섬진강 수계 호소환경 조사. 영산강.섬진강수계관리위원회.
  12. 이기호, 백순기, 김백호. 2005. 주암호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와편모조 Peridinium bipes를 중심으로. 한국하천호수학회지. 38:249-260.
  13. 이상현, 신용식, 장남익, 김종민, 김현구, 조영관, 정 진. 2006. 섬진강,영산강 수계 주요 호소의 수질 동향과 영양상태 조사. 한국하천호수학회지. 39:296-309.
  14. 이옥민, 송호영. 1996. 주암호의 연간 ('93)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및 현존량의 동태. 한국육수학회지. 28:427-436.
  15. 최민규, 김백호, 정연태, 위인선. 1994. 주암호의 식물플랑크톤의 출현과 동태. 한국육수학회지. 27:79-91.
  16. 최재석, 이광열, 장영수, 고명훈, 권오길, 김범철. 2003. 소양호의 어류군집 동태. 한국어류학회지. 15:95-104.
  17. 최준길, 변화근, 권용수, 박영석. 2008. 복원된 청계천에 서식 하는 어류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하천호수학회지. 41:374-381.
  18. 최지영. 2005. 주암호와 상사호 식물플랑크톤의 군집특성: 와편모조 Peridinium sp. 개체군의 동태 및 성장특성. 한양대 석사논문.
  19. 한국 외래생물종합검색 시스템. 국립환경과학원. 인천. http:// ecosyste.nier.gp.kr/alienspecies/
  20. 한상근, 성치남, 김종홍. 1993. 보성강 상류수역과 주암호역 수질의 계절적 변화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기초과학 연구지. 4:67-88.
  21. 환경부. 2009. 호소환경조사지침.
  22. 황영진, 김종선, 나명석, 최한호, 최충길. 1995. 이사천 수계 및 주암호와 상사호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8:403-412.
  23. Aizaki M, A Otsuki, T Fukushima, T Kawai, M Hosomi and K Muraoka. 1981. Application of modified Carlson's trophic state index to Japanese and its relationships to other parameter related to trophic stage. Res. Rep. Natl. Inst. Environ. Stud. 23:13-31.
  24. Lampert W and U Sommer. 1997. Limnoecology: The ecology of lakes and streams. Oxford. Lloyd M and RJ Ghelord. 1964. Atable for calculation the "Equitability" component of species diversity. J. Anim. Ecol. 33:217-225.
  25. Power ME, RJ Stout, CE Cushing, PP Harper, FR Hauer, WJ Matthews, PB Moyle, B Statzner and IR Wais De Badgen. 1988. Biotic and abiotic controls in river and stream communities. J. N. Am. Benthol. Soc. 7:456-479. https://doi.org/10.2307/1467301
  26. Reynolds CS. 1984. Phytoplankton periodicity: the interactions of from, function and environmental variability. Freshwat. Biol. 14:111-114. https://doi.org/10.1111/j.1365-2427.1984.tb00027.x
  27. Sommer U, ZM Gliwicz, W Lampert and A Duncan. 1986. The PEG-model of seasonal succession of planktonic events in fresh waters. Arch. Hydrobiol. 106:433-471.
  28. Titus JE, D Grise, G Sullivan and MD Stephens. 2004. Monitoring submerged vegetation in a mesotrophic lake : correlation of two spatio-temporal scales of change. Aquat. Bot. 79:33- 50. https://doi.org/10.1016/j.aquabot.2003.11.006
  29. Ward JV. 1992. Aquatic insect ecology. John Wiley & Sons, Inc.
  30. Yoon HN. 2000. Studies on the inhabitation limiting factors of the genus Zacco in Korea. Master's thesis, Univ. of Sangmyung, Seoul, Korea. 80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