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llaborative Digital Information Service for Gyeonggi-Do Public Libraries

경기도 공공도서관 협력형 전자정보 서비스에 관한 연구

  • 송재술 (경기도사이버도서관) ;
  • 신정아 (경기도사이버도서관,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3.07.16
  • Accepted : 2013.08.12
  • Published : 2013.08.30

Abstract

Although it is about a decade since public libraries started to provide digital information services, lack of expertise for efficient service operation and restrictions related to copyrights have led to failure to obtain remarkable performances in uses.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operation cases of domestic and overseas collaborative digital information services, as well as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information services of libraries in Gyeonggido, thereby developing a collaborative digital information service model among public libraries on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s. This research then analyzed collaborative digital information service Web sites and survey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is study presented support of integrated search of possessed electronic information, Web database (DB), DB on original texts of regional records, online reference services, and mobile platforms as functional factors to embody a successful service model. As a system management road map, an eclectic model combining the merits of centralized and decentralized models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a centralized or decentralized model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organizations.

공공도서관에서 전자정보 서비스를 시작된 지 10여년이 지났지만 효율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한 전문성 부족과 저작권 문제의 제약으로 활용 면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협력형 전자정보 서비스 운영 사례와 경기도 및 경기도 내 31개 시군의 도서관 전자정보 서비스 현황 분석을 통해 광역자치단체 차원의 지역 내 공공도서관 간 상호 협력형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협력형 전자정보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국내외 기관의 웹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 설문 조사를 통해 경기도 내 시군 기관별 전자정보 서비스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공적인 협력형 정보서비스 모델 구현을 위한 기능요건으로 소장 전자정보 통합검색, 웹DB, 지역 기록물 원문DB, 온라인 참고봉사, 모바일 플랫폼 지원을 제시하고 시스템 관리 체계는 참여기관의 독립적 특성을 고려하여 집중형과 분산형 모델의 장점을 결합한 절충형 모델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도 교육청 통합전자도서관. [online]. [cited 2013.7.1]. .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Integrated Electronic Library. [online]. [cited 2013.7.1]. .)
  2. 경기문화재단. 2010. 경기도 디지털 지식정보 네트워크 구축 및 서비스방안에 관한 연구. 수원: 경기대학교.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2010. A Study on the Construction Service of Network for Gyeonggido digital knowledge information. Suwon: Gyeonggi University.)
  3. 교육부. 2008. 교육정보 통합서비스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보고서. [서울]: 한국방송통신대. (Ministry of Education. 2008. A Basic Research report for the education information integration service system construction. Seoul: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4. 김석영. 2002.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의 최근 개발동향. 정보관리학회지, 19(4): 214-231. (Kim, Suk-Young. 2002. "Recent Developments and Trends of Digital Reference Servic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Management, 19(4): 214-231.) https://doi.org/10.3743/KOSIM.2002.19.4.214
  5. 김휘출. 2003. 통합형디지털참고봉사를 위한 기반 연구: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169-186.(Kim, Hwi-Chool. 2003. "A Study on the Preparation for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in Korea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7(2): 169-186.) https://doi.org/10.4275/KSLIS.2003.37.2.169
  6. 도서관연구소. 2011. 자치단체 단위 공공도서관 전자자료 공동서비스 기본모형연구. [서울]: 도서관연구소.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ibrary and Information. 2011. A Study on basic model of Collaborative electronic resources of the municipal public library unit. Seoul: The Institute.)
  7. 배순자. 2011. 국내 협력형디지털정보봉사의 효율적 실행을 위한 CDRS의 사례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11-27. (Bae, Soon-Ja. 2011. "A Case Study of the CDRS for Effective Operation of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1): 11-27.) https://doi.org/10.4275/KSLIS.2011.45.1.011
  8. 서울시 교육청 전자도서관. [online]. [cited 2013.7.1]. .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Digital Library. [online]. [cited 2013.7.1]. .)
  9. 송재술. 2011. 경기도 디지털도서관 네트워크 구축방안. 경기도사이버도서관 개관 10주년 기념세미나. 2011년 6월 21일. [수원]: 경기도사이버도서관. (Song, Jae-Sul. 2011.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digital library network on Gyeonggo-Do. Gyeonggi-Do cyber library Open 10 anniversary Seminar. Suwon: Gyeonggi-Do Cyber library.)
  10. 울산사이버도서관. [online]. [cited 2013.7.1]. . (Ulsan Cyber library. [online]. [cited 2013.7.1]. .)
  11. 이선희. 2007. 지식: 협력형 디지털정보서비스의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디지틀 도서관, 48: 30-44. (Lee, Seon-Hee. 2007. "Knowledge: A study on the status and development of cooperative digital information services." Digital Library, 48: 30-44.)
  12. 이정혜. 2011. 서울특별시 교육청 통합 전자도서관 운영사례. 도서관문화, 52(6): 23-27. (Lee, Jeong-Hae. 2011. "A Case Study on Integrated Electronic Library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Library Culture, 52(6): 23-27.)
  13. 최은주, 이선희. 2004. 협력형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 활용에 관한 연구 -KISTI의 Question포인트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1(2): 69-87. (Choi, Eun-Ju, & Lee, Seon-Hee. 2004. "A Study on the Collabro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 Focused on the implement of Question포인트 at KIST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1(2): 69-87.) https://doi.org/10.3743/KOSIM.2004.21.2.069
  14. libraries connect ohio. [online]. [cited 2013.7.1]. . (libraries connect ohio. [online]. [cited 2013.7.1]. .)
  15. Minitex. [online]. [cited 2013.7.1]. . (Minitex. [online]. [cited 2013.7.1]. .)
  16. NEOS. [online]. [cited 2013.8.9]. . (NEOS. [online]. [cited 2013.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