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nfant Class Childcare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4.08.14
  • Accepted : 2014.12.16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fant teachers' efficacy and job stress by demographic variables to provide the data for improving job conditions and teacher education. For this study, teachers who work in the childcare center located in Gyeongsangbukdo participated in a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from March 11. 2013 to March 29. 201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n infant class childcare teachers' efficacy was above average and general efficacy was higher than personal efficac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al variable(age, marital status) and working condition(the type of facility, average working hours, average wage, the number of children). Second, an infant class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above average and that depended on the economy, the infant's parents, work, infant, individual, administration, and co-workers in decreasing order of influence. The job stress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al variable(age, martial status, experience, number of completed training) and working variable(the type of facility, average working hours, the number of children, average w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mprovement in the infant class childcare teachers' efficacy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promoting their job condi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배경 변인 분석을 통해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여건 개선 및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경상북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아반 보육교사 488명을 대상으로 2013년 3월11일부터 2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전반적으로 조금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효능감이 개인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은 개인변인인 연령과 결혼여부에서, 근무여건 변인인 어린이집 유형, 평균근무시간, 월평균보수, 반 원아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역시 전반적으로 조금 높게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는 경제, 학부모, 업무, 원아, 개인, 행정업무 순이며, 가장 낮은 요인은 동료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개인변인 연령, 결혼여부, 경력, 이수한 연수회수에서, 근무여건 변인은 어린이집 유형, 평균근무시간, 반 원아수, 월평균보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향상을 위해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여건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이슬 (2011).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구은미 (2004). 보육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관련 변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김경숙, 노수남 (2004). 유아교사의 자아개념과 직무만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2(11), 123-136.
  4. 김경철, 최인숙, 홍정선 (2007). 어린이집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115-135.
  5. 김보들맘, 신혜영 (2000).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탐색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0(3), 253-276.
  6. 김연하, 김양은 (2008). Bandura의 교사 자기효능감 척도 요인구조 분석. 유아교육연구, 28(2), 169-191.
  7. 김영선 (2000).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영지 (2004).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영희, 강기숙, 한세영 (2008).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 - 유아관계가 유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5), 73-86.
  10. 김유진 (2003). 영유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윤하 (2005). 유아의 또래 인기도에 따른 자아개념 및 사회적 기술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주희 (2010). 유아교육기관 조직풍토와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김현지 (2006).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5(1), 45-53.
  14. 김현지, 나동진 (2006).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2), 111-128.
  15. 김현지, 박찬구, 이정희 (2010).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Montessori 교육연구, 15, 1-22.
  16. 민혜영, 윤미정 (2011). 영아반과 유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47-168.
  17. 박선화 (2012).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박은숙 (2009).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관한 분석. 교육연구논총, 30(1), 43-61
  19. 박은주 (2010). 유아교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배성희 (2009). 보육교사의 행복이 교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학연구. 22, 25-44.
  21. 보건복지부 (2012). 2012년 보육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22. 성영혜 (1994). 영유아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 1-21.
  23. 신경주 (2011). 영유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유형과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분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신은수, 박현경 (2006). 가장놀이에 대한 교사교육이 교사의 놀이교수 효능감 및 놀이개입 실제와 유아의 가장놀이 사회적 수준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6(6), 287-310.
  25. 신혜영 (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6. 양보경 (2007). 보육시설 영아반 담당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양옥승 (1993). 영유아 보육의 질적 수준 진단과 개선 방안 모색, 우리나라 영유아 보육의 현실 진단과 발전방안 모색. 영유아 보육발전을 위한 학술 심포지움, 우리 아이들의 보육을 걱정하는 모임, 삼성복지재단.
  28. 엄경순 (2002). 유아교육기관의 사회적 조직과 유아교사 효능감 및 만족도와의 관계. 아동교육, 11(1), 93-102.
  29. 엄세진 (2010). 보육교사의 SOC 책략과 정서지능,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62, 97-123.
  30. 유수옥, 임명환 (2007). 장애전담 보육시설의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열린유아교육연구, 8(12), 329-345.
  31. 유희정 (2004). 보육사업의 공공화 및 다양화 실행방안 연구. 서울: 여성부.
  32. 유희정, 이미화 (2004).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실태 분석.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33. 윤혜미, 권혜경 (200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만족도. 한국생활과학회지, 12(3), 303-319.
  34. 윤혜미, 정경진 (2008).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총, 12(1), 8-95.
  35. 이금섭 (2007). 특수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의 관계.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6(1), 119-146.
  36. 이명화 (2002). 공사립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이분려 (1988).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수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이성희, 박영신 (2007).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31-50.
  39. 이영석, 이경민, 한석실 (2001). 유아 교사효능감 개념 및 관련변인고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8(2), 181-203.
  40. 이은해, 이기숙 (1996).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청삼아동연구시리즈. 서울: 창지사.
  41. 이점자 (2012). 어린이집 직무환경이 보육교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교사 효능감을 매개변수로 하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2. 이점자, 김형모 (2012).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의 비교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 8(2), 111-120.
  43. 이형민 (2009).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교사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56, 187-208.
  44. 이혜숙 (2007). 장애아 전담보육시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분석.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임명희, 한석실 (2003).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확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1), 207-241.
  46. 임옥희 (2006).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과 보육교사 신념 및 효능감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7. 임진숙 (2004).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8. 장종윤 (2010).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영아의 기질과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9. 정영실 (2011). 영아반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0. 조성연 (2004).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한국영유아보육학, 36, 23-44.
  51. 조성연, 이정희 (2010).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원장, 동료의 사회적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4), 29-42.
  52. 조형숙 (1998). 유아교사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효능감. 유아교육연구, 18(2), 283-301.
  53. 조혜진, 김옥주 (2009). 영아교사의 놀이 교수 효능감과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3), 227-244.
  54. 한국보육진흥원 (2012). 비전보육 2012, Vol. 8,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55. 현정환 (2003). 보육실습이 예비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4(6) 117-130.
  56. Ashton, P. T.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ng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57.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58. Bandura, A. (1993).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8, 117-148.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802_3
  59. Clark, E. H. (1980). An analysis of occupational stress factor as perceived by public school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uburn University.
  60. D'Arenzo, R, V., Moracco, J. C., & Krajewski, R. J. (1982). Stress in teaching. Washington, DC: University Press Of America.
  61. Enochs, L. G., & Riggs, I. M. (1990).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L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8), 694-706.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0.tb12048.x
  62. Gibson, S., & Dembo, M.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569-582. https://doi.org/10.1037/0022-0663.76.4.569
  63. Guskey, T. R., & Perry, D, P. (1994). Teacher efficacy: A study of construct dimension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3), 627-643. https://doi.org/10.3102/00028312031003627
  64. Morocco, J., & Mcfadden, H. (1980). Counselor's role in reducing teacher stress. Unpublished Research Report, Auburn University, Auburn, Al.
  65. Wallace, G. R., & Kass, S. E. (1986). Teacher stress and self concer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67, San Francisco, CA. April. 11-12, 1988.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79 626.
  66. Zembylas, M. (2005). Discursive practices, genealogies, and emotional rules: A post-structuralist view on emotion and identity in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8), 935-948. https://doi.org/10.1016/j.tate.2005.06.005

Cited by

  1. Job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Awareness on Young Children's Health Management of Preschool Teachers via DACUM Method vol.8, pp.1, 2014, https://doi.org/10.30528/jolss.2018.8.1.002
  2. 보육교사의 행정 업무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vol.21, pp.9, 2014, https://doi.org/10.5762/kais.2020.21.9.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