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truction of Veget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GIS

GIS를 이용한 식생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방안

  • Song, Ji Hye (Department of Civil & Enviroment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ang, In Joon (Department of Civil & Enviroment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Hong, Soon Heon (Department of Civil & Enviroment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Park, Dong Hyun (Department of Civil & Enviroment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송지혜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강인준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홍순헌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박동현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4.10.19
  • Accepted : 2014.12.17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After 1960 forest and ecosystem are rapidly destroyed b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ccordingly, studies that produce vegetation map continue for forest and ecosystem management. Since 1986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is being conducted in Korea. Also, vegetation information is managed properly through forest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FGIS) of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 when NGIS project was promoted since 1995. But it provide dominant species information based on text. In particular, some vegetation information dose not provide to end-user. Therefore, we suggest construction method of veget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GIS to solve the problem. Also, we suggest connection method of related system for an accurate analysis, planning and decision-making support.

1960년대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무분별한 산림파괴로 인하여 산림 및 생태계가 급속도로 파괴되어왔다. 이에 따라 산림 및 생태계관리를 위하여 식생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우리나라 역시 1986년 제1차 자연생태계 전국조사를 시작으로 하여 현재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가 진행 중에 있으며, 1995년 이후 NGIS사업을 추진함으로써 환경부의 환경공간정보서비스를 통해 식생 관리를 위한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환경부의 환경공간정보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식생 및 식물상 정보는 텍스트 기반의 우점 식생정보만 제공되고 있으며, 전국자연환경조사 중 일부 자료만 구축되고 나머지 정보는 구축되어 있지 않아 통합적인 식생자료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축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식생정보의 구축 및 제공에 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식생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보다 다양하고 정확한 분석과 계획수립, 의사결정지원을 위하여 관련 시스템과의 연계 구축을 통한 식생정보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Kim, C. H., Kang, J. H. and Kim, M. J., 2013, Status and development of national ecosystem survey in korea,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22, No. 26, pp. 726-733. https://doi.org/10.14249/eia.2013.22.6.725
  2. Rho, P. H. and Choung, H. L., 2006, Alternatives of the korean nationwide survey on natural environments to promote biodiversity conservation, Korea Environment Institute, Vol. 5, No. 3, pp. 27-31.
  3. Lee, S. W., 2009, Forest spatial data system future model and execution plan analysi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p. 94-107.
  4. Jo, Y. W., 2009, Constructing spatial data warehouse for forest information standardization Service of municipal governments,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2, No. 2, p. 13.
  5. Korea Forest Service, Forest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http://fgis.forest.go.kr/.
  6. Korea Forest Service, Forest land information system, http://www.forestland.go.kr/.
  7.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Environment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http://egis.me.go.kr/main.do.

Cited by

  1.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Ecological Data Portal Service (EcoBank) for Sharing Ecological Information of Korea. vol.51, pp.3, 2018, https://doi.org/10.11614/KSL.2018.51.3.212
  2. 전국자연환경조사 데이터 정제와 표준화 방안 연구 vol.53, pp.4, 2014, https://doi.org/10.11614/ksl.2020.53.4.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