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perty of Uljin-Geumgangsong Wood (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Appearance Pattern of Resin Canal and Ray

울진 금강송재의 재질: 수지구 및 방사조직의 출현형태

  • Kim, Dong-Woo (Korea Forestry Promotion Institution) ;
  • Hwang, Sung-Wook (Department of Wood Science &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Won-Hee (Department of Wood Science &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동우 (한국임업진흥원) ;
  • 황성욱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임산공학과) ;
  • 이원희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임산공학과)
  • Received : 2013.08.06
  • Accepted : 2014.01.16
  • Published : 2014.01.25

Abstract

It was examined the key criterion of the time of property revelation as Uljin-Geumgangsong wood.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in physical properties in pine wood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and representative Uljin-Geumgangsong wood (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The results are as follows; Air-dry density of Uljin-Geumgangsong wood have higher values over about 20 percent than that of pine wood. And also heartwood rate of Uljin-Geumgansong wood have higher values above 70 percent. The number of vertical resin canals per $1mm^2$ in Uljin-Geumgangsong wood was 40 percent greater than in pine wood. As the average diameters of axial resin canals were 67.8 mm and 67.3~69.9 mm in pine wood and in Uljin-Geumgangsong wood,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wood species. There tends to be an increase in diameters as annual rings increase. The number of horizontal resin canals in Uljin-Geumgangsong-1 was approximately 55 percent greater than in pine wood and Uljin-Geumgangsong-2. The number of resin canals in pine wood and Uljin-Geumgangson-2 decreased while it increased in Uljin-Geumgangsong-1 as annual rings increas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number of rays among wood species and between earlywood and latewood of same wood species. As annual rings increased the number of rays decreased in both pine wood and Uljin-Geumgangsong. The heights of rays were greater in pine wood than Uljin-Geumgangsong and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arlywood and latewood. In conclusion, rings of tree for the time of property revelation as Uljin-Geumgangsong wood is assumed about more than 150 years.

울진산 금강송재의 재질발현 수령의 판단기준에 대해 검토하기 위해,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 et Zucc.)와 울진금강송(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대표목의 물리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울진금강송의 기건밀도는 소나무재보다 약 20% 이상 높았다. 또한 심재율은 70% 이상이었다. 단위면적($1mm^2$)당 수직수지구의 분포수는 0.3개로서 울진금강송이 소나무보다 약 40% 높았다. 수직수지구의 평균 직경은 소나무 $67.8{\mu}m$, 울진금강송 $67.3{\sim}69.9{\mu}m$로서 수종 간 큰 차이는 없었으며, 연륜수가 증가함에 따라 직경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수평수지구의 분포수는 울진금강송-1이 소나무와 울진금강송-2 보다 약 55%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소나무와 울진금강송-2의 수지구 분포수는 연륜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울진금강송-1은 연륜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방사조직 분포수는 수종 간의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동일 수종 내 조재와 만재 사이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연륜이 증가함에 따라 소나무와 울진금강송 모두 방사조직의 분포수가 감소하였다. 방사조직의 세포고는 소나무가 비교적 높았으며, 조재와 만재 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결과, 울진금강송의 재질발현 기준 수령은 약 150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남훈. 2009. 잣나무재와 일본잎갈나무재의 방사방향 방사조직 밀도 및 연륜 내 복열방사조직 출현 빈도수 변이. 목재공학 37(6): 531-536.
  2. 김남훈, 권성민. 2006. 잣나무와 일본잎갈나무 수지구의 출현형태. 목재공학 34(1): 1-6.
  3. 김정환, 이원희, 홍성천. 1999. 강송의 기초적 재질에 관한 연구(제1보). 한국가구학회지 10(2): 55-61.
  4. 김정환, 정인석, 이원희, 홍성천. 2002. 강송의 기초적 재질에 관한 연구(제2보). 지역별 소나무재의 가도관 형태 및 강도비교. 한국임학회지. 91(3): 241-246.
  5. 김진수, 이석우, 황재우, 권기원. 1993. 금강소나무-유전적으로 별개의 품종으로 인정될 수 있는가? -동위효소분석 경과에 의한 고찰-. 한국임학회지 82(2): 166-175.
  6. 박병수, 박정환, 한상억. 2006. 소나무 우량 가계별 기초재질 변이 - 가도관, 마이크로피브릴 경사각, 수지구 분포 및 전건비중을 중심으로. 임산에너지 25(2): 9-15.
  7. 박봉우. 1996. 黃腸襟標에 관한 考察. 한국임학회지 85(3): 426-428.
  8. 손두식, 홍성천, 여진기, 류장발. 1989. 경북지방 소나무 및 곰솔 집단의 동위효소에 의한 유전 변이. 한국임학회지 78(4): 345-359.
  9. 오승원. 1997. 소나무의 해부학적 특성과 종압축 강도와의 관계. 목재공학 25(2): 27-32.
  10. 이원희 2013. 울진금강송의 우수성 연구. 경북 울진군 연구용역 보고서. pp.1-333.
  11. 한국표준협회. 2011. KS F 2198. 목재의 밀도 및 비중 측정 방법.
  12. 宋鎬京, 金聖德, 張圭寬. 1995. TWINSPAN과 DCCA에 의한 金剛소나무 및 春陽木소나무 群集과 環境의 相關關係 分析. 한국임학회지 84(2): 266-267.
  13. 尹忠遠. 1999. 금강소나무의 식생구조와 개체군 동태 및 형태적 특성. 慶北大學校 搏士學位論文. p. 147.
  14. Uyeki, H. 1928. On the physiognomy of pinus densiflora growing in korea and silviculural treatment for its improvement. Bulletin of Agriculture and forestry College of Suwon, Korea. No.3 p.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