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Response Scenario for a Simulated HNS Spill Incident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가상시나리오 개발

  • Lee, Moonjin (Korea Research Institute fo Ships & Ocean Engineering/KIOST) ;
  • Oh, Sangwoo (Korea Research Institute fo Ships & Ocean Engineering/KIOST)
  • 이문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 오상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Received : 2014.11.04
  • Accepted : 2014.12.26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In response to possible HNS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 spill accident, HNS spill accident scenario and response scenario were developed. The accident area listed in scenarios is the coastal area of Busan, and scenario for possible accident in the designated area and strategies to respond the accident were developed, respectively. The scenario for accident was developed by designating HNS spill according to risk evaluation of HNS and analysis of HNS spill probability along the coastal area of Busan, and then estimating possible and potential impact from the accident. The scenario for response has been suggested as a systematical responding operations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the estimated impact from the accident. The possible HNS spill accident on the seas around Busan, has been designated by the spillage of 1,000ton of xylene due to collision accident in Gamcheon Port, and the possible impacts occurred by the accident has been simulated with the help of the atmospheric and oceanic dispersion model of xylene. In the responding scenario for the accident, a phased strategies regarding emergency rescue of peoples, protection and recovery of xylene, protective measures for the responders, and post management of the accident have been suggested.

해양사고 발생시 대응능력 향상을 위해 대응훈련 및 이를 위한 시나리오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 대응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가상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가상 시나리오는 부산 해역을 대상으로 개발하였으며, 대상해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가상 사고 시나리오와 이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를 각각 개발하였다. 가상 사고 시나리오는 대상해역인 부산해역의 위험평가 및 취약성분석을 통해 발생될 수 있는 위험유해물질 유출사고를 선정하고, 가상 사고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피해를 예측하여 구축되었다. 가상 사고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는 가상 사고 시나리오의 피해예측에서 제시된 피해를 수습하기 위한 단계별 조치사항으로서 제시하였다. 부산해역의 위험유해물질 가상 유출사고는 부산 감천항 충돌사고로 인한 자일렌(xylene) 1,000톤 유출사고로 선정하였으며, 이로 인한 피해는 자일렌의 대기확산 및 해양확산 계산을 통해 예측하였다. 또한 가상 사고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는 피해지역의 주민 대피, 자일렌 확산 방지 및 회수, 대응요원 보호조치, 사고지역 사후 관리 등에 대한 단계별 조치사항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IMO(1999), Section 1 Manual on Chemical Pollution: Problem assessment and response arrangements, IMO.
  2. KIOST(2007), Development of decision supporting system for oil spill response, KCG.
  3. KIOST(2008), Busan oil and HNS contingency plan, KCG.
  4. Lee, M. J. and H. J. Kim(2012), HNS emergency response guidebook, KIOST, p. 206
  5. Lee, M. J. and J. Y. Jung(2013), Risk assessment and national measure plan for oil and HNS spill accidents near Korea, Mar. Pollut. Bull., Vol. 73, pp. 339-344.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13.05.021
  6. NIER(2003), Handbook of toxic material for the response to chemical accidents, p. 562.
  7. Noll, G. G., M. S. Hildebrand, and J. Yvorra(2005), Hazardous Materials-Managing the incident. International Fire Service Training Association, p. 622.
  8. Singsaas, I.(2011), Behaviour of oil and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HNS) spilled in Arctic waters (BoHaSA). SINTEFF, p. 122.

Cited by

  1. A Study on Prioritization of HNS Management in Korean Waters vol.21, pp.6, 2015, https://doi.org/10.7837/kosomes.2015.21.6.672
  2. Comparison of Response Systems and Education Courses against HNS Spill Incidents between Land and Sea in Korea vol.21, pp.6, 2015, https://doi.org/10.7837/kosomes.2015.21.6.662
  3. Experiment and Simulation of Acoustic Detection for the Substitute for Sunken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Using the High Frequency Active Sonar vol.24, pp.4, 2018, https://doi.org/10.7837/kosomes.2018.24.4.459
  4. A Methodology of Ship Detection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Optical Image vol.39, pp.3, 2018, https://doi.org/10.5467/JKESS.2018.39.3.241
  5. 항만에서의 위험·유해물질(HNS) 누출사고 대응에 관한 연구 vol.31, pp.6, 2014, https://doi.org/10.14346/jkosos.2016.31.6.32
  6. 위험도기반 해양사고 초기대응 지원 시스템 개발 기초연구: 유조선 좌초사고를 중심으로 vol.40, pp.6, 2014, https://doi.org/10.5394/kinpr.2016.40.6.391
  7. 해상 유해액체물질(NLS) 유출사고대비 물질군 선정에 관한 연구 vol.22, pp.7, 2014, https://doi.org/10.7837/kosomes.2016.22.7.846
  8. 모듈형 HNS 사고 시나리오 개발 vol.41, pp.3, 2017, https://doi.org/10.5394/kinpr.2017.41.3.165
  9. 위험물질(유류·HNS) 해양사고 인명 및 환경피해 위험도 분석에 관한 연구 vol.23, pp.6, 2017, https://doi.org/10.7837/kosomes.2017.23.6.603
  10. 혼산에 의한 폭발사고의 화학반응 경로 분석 - 화학물질 운반 선박을 중심으로 - vol.23, pp.6, 2014, https://doi.org/10.7837/kosomes.2017.23.6.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