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er Cognition, Key Competency, Vocational Values of University Students and Junior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진로 관련 인식, 직업기초능력, 직업가치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areer cognition, key competency, vocational values of university students and junior college student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e population sample for the study constituted 368 completed questionnaires from sample of 373 freshmen-women of university and students. A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career cognition items, key competency scale, vocational values scal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items. The construct validity of key competency scale and vocational values scale were confirmed by factor analysis with varimax rotation.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and junior college students most wanted to get a job after graduate. Many students decided their career at high school days. Many students were not prepared for their career after graduate. They recognized that major curriculum of university and junior college was very helpful to prepare their career. And many students discussed with their parents about their career. Second, key competency of them was moderately high. In the items of key competencies, 'communication and following' was the highest. And key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was better than that of junior college students. Key competency of male students was bett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Third, vocational values of them were high. In the items of vocational values, 'occupational stability' was the highest, and 'work in freedom and challenge' was the lowest. 'Occupational stability' and 'work in freedom and challenge' of junior colleg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university students. And 'occupational stability'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 관련 인식, 직업기초능력, 직업가치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1학년 학생들이며, 일반대학 1개교(4개 학과)와 전문대학 1개교(2개 학과) 1학년에 재학 중인 373명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3년 10월 10일부터 11월 21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최종분석에는 회수된 자료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368부가 활용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학생들은 졸업 후 진로로서 취직을 가장 희망하고 있었으며, 진로를 결정한 시기는 고등학교 때가 가장 많았다. 많은 대학생들이 졸업 후 진로를 위한 준비를 하고 있지 않았으며, 대학 전공과정이 졸업 후 진로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많은 대학생들이 진로에 관하여 부모와 대화를 하고 있었다. 둘째, 대학생들은 스스로의 직업기초능력을 약간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의사소통 및 규칙 준수'에 대한 능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일반대학 학생들이 전문대학 학생들보다 직업기초능력이 우수하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우수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대학생들의 직업가치는 높았으며, '직업적 안정'에 대한 직업가치가 가장 높았고, '업무상 자유 및 도전'에 대한 직업가치가 가장 낮았다. 그리고 전문대학 학생이 일반대학 학생보다 '직업적 안정'과 '업무상 자유 및 도전'에 대한 직업가치가 높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직업적 안정'에 대한 직업가치가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경필, 심미영(2014).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관계 분석. 진로교육연구, 27(1), 19-38.
  2. 교육법전편찬회(2014). 교육법전. 교학사.
  3. 교육부(2013). 교육통계. 교육부.
  4. 김병숙, 박현주(2007). 전문대학생의 직업가치에 따른 직업정보요구도 분석. 진로교육연구, 20(3), 149-171.
  5. 김병숙, 장부경(2007). 희망직업이미지와 자기이미지 일치성이 대학생의 진로경로에 미 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0(1), 27-44.
  6. 김수정(2013). 대학생의 직업가치 유형화 연구, 진로교육연구, 26(1), 93-117.
  7. 김현주(2007). 기혼여성의 직업가치가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8. 나승일 외(2003). 기초직업능력 영역 설정 및 표준개발. 한국산업인력공단.
  9. 노정진(2011). 한국폴리텍대학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교수 및 학생의 인식과 학생특성별 차이 연구. HRD연구, 13(2), 105-125.
  10. 박기문, 이규녀(2009). 대학생의 진로개발과 취업준비에 대한 인식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4(2), 103-127.
  11. 박현주(2007). 전문대학생의 직업가치에 따른 직업정보요구도 분석.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2. 서희정, 윤명희(2011). 대학생용 진로준비행동검사의 개발 및 진로행동 분석. 진로교육연구, 24(3), 117-134.
  13. 안강현, 이용환(1998). 전문대학 학생들의 직업가치관 유형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17(1), 1-18.
  14. 안광식, 김미영, 최완식(2005). 대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에 관한 연구. 대한공업 교육학회지, 30(1), 96-105.
  15. 이경미(2010). 전문대학생의 일반적인 개인 특성 및 성격 5요인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6. 이상록(2007). 지방대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실태와 영향-지방대학생의 대학생활태도 및 진로준비 행동에의 영향을 중심으로. 지역발전연구, 7(1), 253-270.
  17. 이용길, 강경희(2013). 공학교육방법 및 프로그램 : 전공과 성별에 따른 대학생들의 직업가치관 분석. 공학교육연구, 16(1), 27-34.
  18. 이은화, 박정희(2009). 남녀 대학생의 취업준비 학습실태 및 직업기초역량 교육의 족도 차이. 진로교육연구, 22(2), 141-166.
  19. 이은화, 윤소정, 허승희(2011). 대학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차이. 직업교육연구, 30(4), 51-67.
  20. 이현주(2010). 대학생이 인식한 부모의 진로행동유형 및 애착과 진로정체감의 관계에 서 진로결정효능감의 효과. 진로교육연구, 23(4), 151-171.
  21. 장경혜(2008). 대학생들의 직업가치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1), 110-122.
  22. 장세풍(2013). 대학생 고민, 진로.대인관계 순. 내일신문, 2013년 4월 8일 기사.
  23. 정철영 외(2001). 농업계열 전문대학 재학생 직업기초능력 향상방안.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3(2), 1-21.
  24. 정희영(2013). 미용전공 대학생의 직업가치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19(3), 466-474.
  25. 조붕환 외(2012). 기초직업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결정에 미치는 효과. 진로교육연구, 25(3), 229-261.
  26. 진미석 외(2007).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7. 최보영(2013).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내.외적 직업가치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21(1), 1-18.
  28. Terada, M. (2009). Comparative education-cultural research on the formation of vocational views and values as a challenge of vocational education. Journal of Asia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2(1), 4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