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finition and Method of Information-giving as a Counseling Skill in Counseling Textbooks

상담교재에 나타난 '정보제공'기법의 정의와 방법에 대한 고찰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Information-giving is very important skill in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definition and method of information-giving as a important counseling skills in the counseling textbooks.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efinition of information-giving? Second, what are the ways to give the information in counseling? 17 textbooks of counseling were reviewed. The following are the main findings. First, the definition of information-giving was summarized in two ways: (1) the meaning of information (2) the description of information-giving. The results revealed the reason why the definition of information-giving is vague and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other skills (ex: giving advice, providing interpretation). Second, the main methods of information-giving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motivation and timing of information-giving (2) selection criteria of information-giving (3) procedure of information-giving (4) considerations of information-giving. Out of these methods, the textbooks do not provide much reference on 'selection criteria of information-giving and procedure of information-giving. These findings revealed the necessity of empirical study on the information-giving skills.

본 연구에서는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분야에서 중요한 상담기법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는 정보제공기법의 정의와 방법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정보제공기법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고, 향후 해결해야할 문제점에 대해 제시하여 진로분야 전문가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첫째, 정보제공기법이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가? 둘째, 정보제공기법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어떻게 설명되어 있는가? 하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문헌연구방법을 활용하였는데, 상담개론서와 상담기법 교재, 총 17권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개론서와 상담기법 교재에 나타난 정보제공기법의 정의는 크게 두 가지 기준에서 분석해볼 수 있었는데, '정보'라는 의미를 어떻게 보고 있는가 하는 측면과 정보제공기법을 기술하는 방식의 측면이었다. 그 결과, 상담교재에 나타난 정보제공기법의 정의는 일관되지 않았고, 어떤 교재에서는 광의의 의미로, 어떤 교재에서는 협의의 의미로 정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보제공기법을 기술할 때도 상담자의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경우와 상담자의 의도에 초점을 두는 경우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정보제공기법이 일관되게 정의되지 못하고 다른 상담기법(예: 조언주기, 해석하기, 직접적 지시하기 등)들과 명확히 구분되기 어려운 이유를 알 수 있었다. 둘째, 상담개론서와 상담기법교재에 나타난 정보제공기법의 구체적 방법을 살펴본 결과, (1) 정보제공의 시점 (2) 제공할 정보의 선택 기준 (3) 정보제공의 절차 (4) 기타 유의사항을 기준으로 분석해볼 수 있었다. 이 네 가지 가운데 '정보제공의 시점'과 '기타 유의사항'에 대한 내용은 분석대상 여러 문헌에서 찾을 수 있었으나 '제공할 정보의 선택 기준', '정보제공의 절차'에 대한 내용은 일부 문헌에서 매우 간략한 내용만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정보제공을 하는데 있어서 어떤 정보를 제공해주어야 하는지, 어떤 절차에 따라 정보를 제공해주어야 하는지가 매우 핵심적인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정보제공기법에 대한 경험적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논의부분에서는 간호학 분야에서 수행된 정보제공에 대한 경험적 연구들을 제시함으로써 상담분야 정보제공기법에 대한 경험적 연구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영(2013a). 상담기법 교재에 대한 내용분석.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지, 5(1), 91-99.
  2. 강혜영(2013b). 진로정보제공 기법 연구에 대한 고찰.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연구연간제수행 결과보고서. 미간행.
  3. 강혜영(2014). 진로상담교재에 대한 내용분석: 진로상담전문가 역량 요소를 중심으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9(1), 23-46.
  4. 권희영 외(2011). 상담학개론 대학교재의 분석: 대도시 7개 대학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2(2), 621-634.
  5. 금명자(2002). 청소년 내담자와 상담자의 상담에 대한 기대 차이 및 문화적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3), 529-546.
  6. 김계현(2008). 카운슬링의 실제. 서울: 학지사.
  7. 김계현 외(2011). 상담학개론. 서울: 학지사.
  8. 김봉환, 정철영, 김병석(2006).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9. 김수향, 탁진국(2011). 진로 및 직업 상담자의 역량진단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2), 461-481.
  10. 김춘경 외(2010). 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11. 김형란(2013). 상담학개론 교재에 나타난 상담이론 내용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2. 노안영(2011). 삶의 지혜를 위한 상담심리. 서울: 학지사.
  13. 노안영, 송현종(2012). 상담실습자를 위한 상담의 원리와 기술. 서울: 학지사.
  14. 성승연 외(2001). e-mail 상담에 대한 대학생 내담자의 기대 : 질적분석. 카톨릭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학생생활상담, 19, 37-59.
  15. 신은순(1993). 정보제공이 부분 마취 수술환자의 불편감 정도에 미치는 영향이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6. 유현실(2009). 진로상담전문가의 역량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7. 윤경진(2009). 정보제공방법에 따른 중환자 가족의 환경적 스트레스와 간호요구 만족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8. 윤형한(2009). 직업상담자의 전문성 발달과정과 영향요인.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9. 이병욱, 정현옥, 이찬주(2012). 전문계 고교 진로지도 실태에 대한 학생과 교원의 인식 비교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7(1). 87-106.
  20. 이장호, 금명자(2006). 상담연습교본. 서울: 법문사.
  21. 이장호, 정남운, 조성호(2006). 상담심리학의 기초. 서울: 학지사.
  22. 천성문 외(2006).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3.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학교진로교육프로그램(SCEP): 특성화고 교사용, 창의적 진로개발. 커리어넷 웹사이트(http://www.career.go.kr)에서 2014년 9월 18일 인출.
  24. 허명연(2011). 일반계 고등학생의 상담활동 실태 및 요구조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5. Amundson, N. E., Harris-Bowlsbey, J., & Niles, S. G. (2013). 진로상담 과정과 기법 {Essential Elements of Career Counseling: Process and Techniques. Pearson}. (이동 혁, 황매향, 임은미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09에 출판)
  26. Brown, D., & Brooks, L. (2003). 진로상담의 기술{Techniques of career counseling}. (김 충기, 김희수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전은 1991에 출판).
  27. Cormier, S., & Hackney, H. (2007). 심리상담의 전략과 기법: 상담연습을 중심으로 {Counseling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6th.}. (김윤주 외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05에 출판).
  28. Figler, H. & Bolles, R. N. (2007). The career counselor's handbook(2nd). CA: Ten Speed Press.
  29. Gysbers, N.C., Heppner, M. J., & Johnston, J. A. (2003). 진로상담의 실제{Career counseling: process, issues, and techniques} (김봉환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1998에 출판).
  30. Gysbers, N.C., & Moore, E. J. (1995). 진로상담: 기술과 기법{Career counseling skills and techniques for practitioners}. (김충기, 김병숙 역). 서울: 현민시스템(원전은 1987출판).
  31. Heaton, J. A. (2006). 상담 및 심리치료의 기본기법{Building basic therapeutic skills: A practical guide for current mental health practice}. (김창대 역). 서울: 학지사(원전 은 1998에 출판).
  32. Hill, C. E. (2013). 상담의 기술: 탐색, 통찰, 실행의 과정{Helping skills: Facilitating exploration, insight, and action. 3rd ed.} (주은선 역). 서울:학지사(원전은 2009에 출판).
  33. Hill, C. E. & O'Grady, K. E. (1985). List of therapist intentions illustrated in a case study and with therapists of varying theoretical orienta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2, 3-22. https://doi.org/10.1037/0022-0167.32.1.3
  34. MacCluskie, K. (2012). 현대 상담기술{Acquiring counseling skills}. (홍창희, 이숙자, 정 정화, 정민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10에 출판).
  35. Sharf, R. S. (2008). 진로발달이론을 적용한 진로상담{Applying career development theory to counseling, 4/E}. (이재창 외 공역). 서울: 아카데미프레스(원전은 2006 에 출판).
  36. Street Jr, R. L. (1991). Information-giving in medical consultations: The influence of patients's communicative styl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 Science & Medicine, 32(5), 541-548. https://doi.org/10.1016/0277-9536(91)90288-N
  37. Thompson, R. A. (2007). 상담기법{Counseling techniques}. (김춘경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3에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