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Understanding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its Instructional Method in Mathematics Education

수학 교과에서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의미 및 지도 방안 탐색

  • Received : 2014.01.07
  • Accepted : 2014.02.07
  • Published : 2014.02.15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based on results from international achievement tests. In pursuing the goal, different research methods are employed including a) analysis of the theories and literature regarding the affective domains included in PISA and TIMSS studies; b)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needs of Korean students with respect to the affective factors based on PISA and TIMSS results; c) case studies of best practices in relation to students' affective domains in Korea and abroad; and d)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improving and supporting Korean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first of all, relevant theories on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literature are introduced. In other words, the concepts of three affective domains in question - interest, self-efficacy, and value - are reviewed, and their definitions for the present study are made. Also, teaching strategies and support plans for improving students' affective factors are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this paper reviews recent trends in research on how the affective domains are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and how one can teach them effectively. The teaching guidelines for each affective domain a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principles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general for all subje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ndings mentioned above, this paper establishes and suggests the guidelines on how to teach mathematics reflecting the affective characteristic.

TIMSS와 PISA의 두 국제평가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경우, 수학 교과에 대한 인지적 영역의 성취도는 매우 우수한 반면 정의적 영역의 성취도는 참가국 중 최하위권의 순위를 기록하여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즈음에, 우리나라 학생들이 취약한 정의적 특성의 함양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은 의미 있은 일일 것이다. 본고에서는 2013년 PISA와 TIMSS 두 국제평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아효능감, 그리고 수학의 가치인식의 세 가지 정의적 특성 요인을 대상으로 각 요인에 대한 의미 및 교육적 함의를 간략히 살펴보고, 또 지금까지 수학교육 분야에서 수행되어 왔던 몇몇 주요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수학 교과에 적용 가능한 흥미, 자아효능감, 가치인식의 세 가지 정의적 특성 요인을 대상으로 각각에 대한 수업 지도 방안을 탐색하여 마련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하․송재홍․정미경․정종진 (2004). 교육심리학: 수업을 위한 심리학적 원리와 적용.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 권정임․박성옥 (2011). 자기조절학습과 미술치료를 통합한 프로그램이 자기결정동기,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7(1), 45-73.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4. 김경희․김수진․김남희․박선용․김지영․박효희․정송 (2008).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TIMSS/PISA)에 나타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성취 변화의 특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8-3-1.
  5. 김상화․방정숙 (2007). 수학을 왜 배우는가?: 초등학생들의 이해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7(4), 419-436.
  6. 김성일․윤미선 (2004). 학습에 대한 흥미와 내재동기 증진을 위한 학습환경 디자인. 교육방법연구, 16(1), 39-66.
  7. 김성일․윤미선․소연희 (2008). 한국 학생의 학업에 대한 흥미: 실태, 진단 및 처방.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187-221.
  8. 김수진․김남희․박선용․김지영․박효희․정송 (2008).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 TIMSS 2007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8-3-3.
  9. 김수진․김현경․박지현․진의남․이명진․김선희․안윤경․서지희 (2012). TIMSS 결과를 통한 교육 환경 변화추이 국제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2-4-1.
  10. 김아영 (2010). 학업동기: 이론, 연구와 적용. 서울: 학지사.
  11. 김정혜 (2003). 학생에 의한 평가가 자기효능감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노현정 (2008). 평가 유형과 피드백 유형이 초등학교 학업 성취와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문은식 (2012).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실의 사회적 환경, 동기적 신념, 인지적, 행동적 관여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아동교육, 21(2), 59-73.
  14. 박강원 (2009). 수학학습의 누적 피드백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수학 학습태도 및 수학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박선화․김명화․주미경 (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향상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0-9.
  16. 박영신․김이철 (2003). 한국 학생의 자기효능감, 성취동기와 학업성취: 토착심리학적 접근. 교육심리연구, 17(1), 37-54.
  17. 박정․정은영․김경희․한경혜․이서영 (2004).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TIMSS 2003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3-2.
  18. 봉미미․김혜연․신지연․이수현․이화숙 (2008). 한국 청소년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319-348.
  19. 소연희 (2007). 학습동기 특성 변인들이 고등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성취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21(4), 1007-1028.
  20. 신인선․박경민 (2012). 그래프와 부등식 영역의 소집단 그림그리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수학에 대한 흥미변화 및 전략적 사고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6(2), 177-203.
  21. 안미정 (2005). 수학과 협동학습이 자아효능감 및 학습 태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우연경 (2012). 흥미 연구의 현재와 향후 연구 방향. 교육심리연구, 26(4), 1179-1199.
  23. 윤미선 (2007a). 2요인 중다목표관점에 의한 성취목표지향성과 성별에 따른 중고생의 과학교과흥미. 교육방법연구, 19(1), 1-19.
  24. 윤미선 (2007b). 사고양식, 성취목표지향성, 성취도, 연령, 성별 특성이 교과흥미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1(3), 557-572.
  25. 윤미선․김성일 (2003). 중․고생의 교과흥미 구성요인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3), 271-290.
  26. 이대식․여태철․공윤정․김혜숙․송재홍․임진영․황매향 (2010). 아동발달과 교육심리의 이해. 서울: 학지사.
  27. 이미경․곽영순․민경석․채선희․최성연․최미숙․나귀수 (2004).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 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2-1.
  28. 이미경․손원숙․노언경 (2007). PISA 2006 결과 분석 연구 -과학적 소양, 읽기 소양, 수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7-1.
  29. 이민찬․길양숙 (1998). 수학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특성의 학년별 변화 및 성별 성취 집단별 차이.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37(2), 147-158.
  30. 이영희 (2002). 귀인피드백이 초등학생의 수학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이웅 (2009). Jigsaw식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강원도.
  32. 임효진 (2012). 중고생의 영어 및 과학교과 흥미의 변화 영향요인분석. 교육학연구, 50(3), 151-175.
  33. 장봉석․신인수 (2011).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발달과 학업성취에 주는 효과의 메타분석. 교육과정연구, 29(4), 187-211.
  34. 조현철 (2011). 내외적 학습동기, 자기결정성, 목표지향, 자기지각,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요인들의 학습태도, 학습행동 및 학업성취에 대한 효과. 교육심리연구, 25(1), 33-60.
  35. 주영주․이종희․김선희 (2011). 수학교과에서 남․녀 집단 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흥미, 외적 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영향력 차이검증. 교과교육학연구, 15(4), 1019-1041.
  36. 주희진 (2011).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의 인과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2), 237-259.
  37. 최승현․구자옥․김주혼․박상욱․오은순․김재우․백현아 (2013). PISA와 TIMSS 결과에 기반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 함양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18.
  38. 황혜정․나귀수․최승현․박경미․임재훈․서동엽 (2012). 수학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39. Ai, X. (2002). Gender differences in growth in mathematics achievement: Three-level longitudinal and multilevel analyses of individual, home, and school influence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4(1), 293-311.
  40. Aiken, L. (1976). Update on attitudes and other affective variables in learning mathematic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6(1), 293-311. https://doi.org/10.3102/00346543046002293
  41. Bandura, A. (2003). 자아효능감과 인간행동 (김의철, 박영신, 양계민, 공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서출판 1997).
  42. Bong, M. & Skaalvik, E. M. (2003). Academic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How different are they really?.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5(1), 1-40. https://doi.org/10.1023/A:1021302408382
  43. Bong, M., Cho, C., Ahn, H. S., & Kim, H. J. (2012). Comparison of self-beliefs for predicting student motivation and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105(5), 336-352. https://doi.org/10.1080/00220671.2011.627401
  44. Dewey. J. (2010). 흥미와 노력: 그 교육적 의의 (조용기, 역). 대구: 교우사. (원서출판 1913).
  45. Diseth. A., Danielsen, A. G., & Samdal, O. (2012). A path analysis of basic need support, self-efficacy, achievement goals, lif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Educational Psychology: An International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al Psychology, 32(3), 335-354.
  46. Eggen, P. D., & Kauchak, D. P. (2010). Educational Psychology: Windows on Classroom. (8th ed.). NJ:Pearson Education, Inc.
  47. Elliot, S. N., Kratochwill, T. R., Cook, J. L., & Travers, J. F. (2000). Educational Psychology: EffectiveTeaching, Effective Learning. (3rd Ed.). US: McGraw-Hill.
  48. Fennema, E., & Sherman, J. A. (1977). Sex-related differences in mathematics achievement, spatial visualization, and affective factor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4, 51-71. https://doi.org/10.3102/00028312014001051
  49. Frost, L., Hyde, J., & Fennema, E. (1994). Gender, mathematics performance and mathematics-related attitudes and affect: A meta-analytic synthesi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1(4), 373-385. https://doi.org/10.1016/S0883-0355(06)80026-1
  50. Hart, L. (1989). Classroom processes, sex of student, and confidence in learning mathematics.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0(3), 242-260. https://doi.org/10.2307/749514
  51. Heinze, A., Reiss, K., & Franziska, F. (2005). Mathematics achievement and interest in mathematics from a differential perspective. ZDM, 37(3), 212-220. https://doi.org/10.1007/s11858-005-0011-7
  52. Hidi, S. & Renninger, K. A. (2006). The four-phase model of interest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ist, 41(2), 111-127. https://doi.org/10.1207/s15326985ep4102_4
  53. Hidi, S. & Harackiewicz, J. M. (2000). Motivating the academically unmotivated: A critical issue for the 21st century.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0, 151-179. https://doi.org/10.3102/00346543070002151
  54. Jang, H. (2008). Supporting student's motivation, engagement, and learning during an uninteresting less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0(4), 798-811. https://doi.org/10.1037/a0012841
  55. Krapp, A. (2002). Structural and dynamic aspect of interest development: theoretical considerations from an ontogenetic perspective. Learning and Instruction, 12(4), 383-409. https://doi.org/10.1016/S0959-4752(01)00011-1
  5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57. Patrick, H., Ryan, A. M., & Kaplan, A. (2007). Early adolescents' perceptions of the classroom social environment, motivation beliefs and engag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9(1), 83-98. https://doi.org/10.1037/0022-0663.99.1.83
  58. Penner, A. M., & Paret, M. (2008).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achievement: Exploring the early grades and the extremes. Social Science Research, 37, 239-253. https://doi.org/10.1016/j.ssresearch.2007.06.012
  59. Phan, H. P. (2011). Inter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and learning approaches: a developmental approach. Educational Psychology: An International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al Psychology, 31(2), 225-246.
  60. Reys, R. E., Suydam, M. N., Lindquist, M. M., & Smith, N. L. (1999). 초등 수학 학습 지도의 이해 (강완 외 19인, 공역). 서울: 양서원. (원서출판 1998).
  61. Singh, K., Granville, M. & Dika, S. (2005). Mathematics and science achievement: effects of motivation, interest, and academic engagement.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5(6), 323-332.
  62. Slavin, R. E. (1989). Cooperative learning and achievement: Six theoretical perspectives. In C. Ames and M. L. Maehr (Eds.),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 Greenwich, CT: JAI Press.
  63. Usher, E. L. & Pajares, F. (2008). Sources of self-efficacy in school: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future direction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8(4), 751-796. https://doi.org/10.3102/0034654308321456
  64. Woolfolk, A. E. (2004). 교육심리학 (김아영, 백화정, 설인자, 정명숙, 공역). 서울: 박학사. (원서출판 1995).

Cited by

  1. 수학 교과에서의 학생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성취 실태 -국내 중등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vol.28, pp.2, 2014, https://doi.org/10.7468/jksmee.2014.28.2.235
  2.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습 주도권과의 관계 연구 vol.28, pp.4, 2014, https://doi.org/10.7468/jksmee.2014.28.4.475
  3. 중위권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적 성향의 변화 분석 vol.29, pp.4, 2015, https://doi.org/10.7468/jksmee.2015.29.4.745
  4. 중등 영재 지도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vol.26, pp.1, 2014, https://doi.org/10.9722/jgte.2016.26.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