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 for Eco-experience in Rural Village

농촌마을 생태체험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못형습지 평가지표 개발

  • Received : 2014.09.30
  • Accepted : 2014.11.11
  • Published : 2014.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health evaluation indicator of pond wetland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eco-experience in rural area. The methods for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 were consisted of 3 stages; 1st, the precedent assessment protocol was applied to 10 pond wetlands in farm villages, and eco-experience expert survey was conducted to selection the evaluation item and criteria at 2nd and 3rd stages. In the results of applying the precedent assessment protocol, we found out two problems; 1) the evaluation result of value determination and conservation value were too simple, and 2) the score by evaluation items were nearly the same, because evaluation criteria in not precisely for application in rural area. These results were reflected to expert survey. According to the 1st survey results, they suggested that 4 items should be maintained, and 3 items should be deleted, and 2 items should be modified among a total of 9 times. Therefore, it was modified into the evaluation protocol having a total of 8 items. According to the 2nd survey results, the selected evaluation items were generally proper. With regard to items for assessing the health condition of pond wetland, we selected a total of 8 items; (1) Connectivity to forest, (2) Connectivity between water body and wetland connection, (3) Number of Vegetation, (4) Surround land use, (5) Interspersion of Vegetation, (6) Crossing Structure, (7) Wetland size, and (8) Outlet structure.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accessibility, visibility, and trash were need for utilization of pond wetland as a place for eco-experience. It is expected that the selected evaluation indicator can help to utilize the pond wetland as an eco-experience space in rural area, and maintain the pond wetland as a space for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본 연구는 생태체험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 농업인 등 일반인이 사용가능한 연못형습지의 건강성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평가지표 개발은 선행 방법을 농촌마을 10개 연못형습지에 적용한 평가체계 문제점 도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습지 및 생태체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조사 2회, 평가항목 수정 및 중요도 산출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선행 평가체계 적용 결과 문제점은 (1) 가치판단과 보전계획 결과와 평가항목 간 평가 점수가 동일하게 나타나 전체적으로 세분화되어 있지 못한 점과 (2) 평가자의 주관적 기준에 따라 평가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전문가에게 제시하여 평가항목 및 기준의 적절성을 수정 보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수정된 평가항목과 평가기준의 중요도를 산출하여 생태체험 공간으로서 연못형습지의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였다. 평가항목은 (1)산림과의 연결성, (2)습지 및 수체와 연결성, (3)현존식생종류, (4)주변 토지이용, (5)식생의 혼재도, (6)식생 및 횡단구조, (7)습지 규모, (8)유출 구조의 중요도 순서로 총 8개 항목이다. 이와 함께 연못형습지를 체험 장소로 활용 시 접근성, 시각적 개방성, 폐기물의 흔적에 대한 별도 고려사항 및 개선사항을 추가로 제시하였다. 본 결과는 방치되어 있는 농촌지역의 습지를 체험공간으로 활용하고 더불어 전통지식이 내재한 생물다양성을 위한 공간으로 보전하고 관리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본학. (2009). 습지생태학. 도서출판 조경.
  2. 김대식, & 최현성. (2007). 어메티니자원과 인적자원을 고려한 농촌마을의 관광잠재력 평가기법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2), 7-16.
  3. 김미숙. (2012). 학교 내 자연생태학습장을 활용한 생태체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은자, 이유경, 김상범, 임창수, 박미정, 최진아, & 이정원. (2013). 농촌마을길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방향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9(1), 189-207. https://doi.org/10.7851/ksrp.2013.19.1.189
  5. 김혜민. (2006). 농촌관광마을의 마을자원 활용 현황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2, 207-210.
  6. 박은별, 김현, & 최희선. (2014). 순천만 생태관광객의 태도와 행태, 만족도가 관광 소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42(1), 50-63.
  7. 여창원. (2010). 생태관광과 지역경제 상호매카니즘에 관한 연구:사천 주자이거우를 사례로. 난카이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오순자, 진국림, & 고석찬. (2009). 자연학습장으로의 활용을 위한 제주시 지역 습지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8(4), 411-422. https://doi.org/10.5322/JES.2009.18.4.411
  9. 이재혁, & 이희연. (2012). 지속가능한 생태관광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7(6), 853-869.
  10. 제주시. (2011). 제주올레 친환경관리 및 행정지침.
  11. 환경부. (2013).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고시. 환경부고시 제2013-12호.
  12. 환경부. (2014).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1, 멸종위기 야생생물.
  13. Millennium Ecosystems Assessment (2005). Ecosystems and human well-bing: Multiscale assessment,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seres, 4. Washington, DC: Island Press.
  14. Onil, B., Neville, D. C., & Rudolf, S. G. (2013). Ecological processes, functions and ecosystem services: Inextricable linkages between wetlands and agricultural systems. Chicester, UK: Wiley-Blackwell Press.
  15. Power, A. G. (2010). Ecosystem services and agriculture: tradeoffs and synergies. Phil. Trans. R. Soc. B., 2959-2971.
  16. Ramsar. (2013) The Ramsar convention manual (6th edition). Gland, Switzerland.
  17. Tilton, D. L., Karen S., Brian B., & William T. (2001). A wetland protection plan for the lower one subwatershed of the Rouge River. Aquatic Botany, 28, 227-242.
  18. Vihervaara, P., Raunkiaer, M. & Walls, M. (2010). Trends in ecosystem service research: early steps and current drivers, Ambio, 39(4), 314-324. https://doi.org/10.1007/s13280-010-0048-x

Cited by

  1.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the Sustainable Conservation of Old Tree in Agricultural Landscape vol.19, pp.3, 2016, https://doi.org/10.13087/kosert.2016.19.3.59
  2. 농촌관광마을 생태체험을 위한 연못형습지 식물의 한방 이용형태 분석 vol.19, pp.2, 2014, https://doi.org/10.17663/jwr.2017.19.2.230
  3. Traditional Medicine Analysis and Sustainable Use of Korean Pond Wetland Plants in the Agricultural Landscape vol.12, pp.15, 2014, https://doi.org/10.3390/su12155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