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elerometry of Upper Extremity D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Healthy Adults

정상인에서 일상생활활동 수행시 상지의 가속도 분석

  • 김태훈 (동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박경희 (마산대학교 물리치료과)
  • Received : 2014.05.19
  • Accepted : 2014.06.25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Objective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variables from Fitmeter accelerometer with them from CMS-70P(Zebris Medizintechnik Gmbh, Germany) and to suggest the availability the accelerometer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Twenty participants performed calling, drinking water, washing face and spooning and we measured Sum of Single Vector Magnitude(SSVM) and range of motion(ROM) on the wrist and elbow joints. Results :With respect to the wrist and elbow joints, SSVM and ROM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task(calling, drinking water, washing face and spooning)(p<.001; p<.001; p<.001; p<.001). As for the wrist joint, SSVM and ROM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correlation(p>.05) but as for the elbow joint, SSVM and ROM did show the significant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task(p<.01; p<.001; p<.01; p<.05). With regard to the SVM-difference of wrist and elbow joints, calling and washing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p<.001; p<.05) but drinking and spooning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p>.05; p>.05). Conclusion : We suggest that Fitmeter accelerometer would be use to record the kinematic variables during performance of ADL and it can compensate the function of CMS-70P as for the elbow joint than the wrist joint.

목적 : 본 연구는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활동 수행하는 동안 기존의 삼차원동작분석 장비와 가속도계에서 발생하는 변수를 동시에 측정하여, 기존의 삼차원동작분석 장비와 가속도계에서 측정된 값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가속도계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성인 20명(남자 10명, 여자 10명)을 대상으로 전화하기, 물 마시기, 세수하기, 숟가락 사용하기를 수행하는 동안 피트미터(Model Fitmeter, Fit.Life, Korea)와 CMS-70P(Zebris Medizintechnik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손목 관절과 팔꿉 관절에서 단일벡터크기(Signal Vector Magnitude: SVM) 합과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였다. 결과 : 전화하기, 물 마시기, 세수하기, 숟가락 사용하기 수행 시 손목과 팔꿈치에서 발생하는 관절가동범위와 단일벡터크기 합은 과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p<.001; p<.001; p<.001). 관절가동범위와 단일벡터크기 합은 손목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p>.05), 팔꿈치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p<.001; p<.01; p<.05). 손목과 팔꿈치에서 발생하는 단일벡터크기 합의 차이는 전화하기와 세수하기는 손목과 팔꿈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1; p<.05), 물 마시기와 숟가락 사용하기는 손목과 팔꿈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p>.05). 결론 : 가속도계는 일상생활활동의 역학적 변수를 측정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손목보다는 팔꿈치에서 가속도계가 삼차원동작분석 장비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