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ison Analysi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영재와 일반 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비교

  • Received : 2013.12.30
  • Accepted : 2014.02.25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the gifted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Subjects were 60 gifted students of the Institute for The Gifted Education and 69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 scientific explanation and opinion, and four forms - letter, number, table, and fig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Gifted students'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is better than ordinary students'. Detailed findings are following. Independent sample t-test performed on type and form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used by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is result gav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endency of each group.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특별한 교육적 경험이 없는 초등학교 영재 학생들과 일반 학생들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60명의 영재 학생과 69명의 일반 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을 의사소통의 유형과 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의사소통의 유형은 '과학적 설명'과 '과학적 주장'으로 나누고 의사소통의 형태는 '글', '수', '표', '그림'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 학생의 전반적인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은 일반 학생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둘째,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영역별 결과에서는 '설명' 유형과 '그림' 형태의 차이를 제외한 영역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에서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뛰어난 결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의 유형과 형태의 상관관계에서 영재 학생은 '설명'과 '글', '정당화'와 '표'의 관계에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일반 학생의 경우 모든 유형과 형태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병태, 고민석, 김오범 (2012). 초등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수학영재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학습동기 차이. 영재교육연구, 22(4), 917-928. https://doi.org/10.9722/JGTE.2012.22.4.917
  2. 소금현, 김정민, 심규철 (2009).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학습 양식에 관한 비교 연구. 국제과학영재학회지, 3(2), 119-124.
  3.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 (2002).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4. 이현자, 문경원, 김영수 (2007). 고등학생의 의사결정 유형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2), 328-336.
  5. 장신호 (2004). 과학 대화를 이용하는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및 대화 능력의 변화 . 발전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지, 17(1), 79-99.
  6. 전성수 (2013).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검사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7. 조은부, 백성혜 (2006). 초등학교 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 학생의 인지적 특성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307-316.
  8. 한유화 (2012).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을 기르기 위한 교실탐구모델 개발.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9. 홍정림 (2001). 의사결정 활동을 중심으로 한 STS(과학-기술-사회) 수업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9(4), 375-381.
  10. 허형, 이군현 (1996). 대학의 과학 영재 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한국영재 학회 연구보고서.
  11.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90). Science-A Process Approach(SAPA II). Delta Education.
  12. Borland, J. H. (1997). The Construct of Giftedness.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72(3&4), 6-20. https://doi.org/10.1080/0161956X.1997.9681863
  13. Braaten, M., & Windschitl, M. (2011). Working toward a stronger 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explanation for science education. Science Studies and Science Education, Hoboken, NJ: Wiley Periodical, Inc.
  14. Friedman, S. M., Dunwoody, S., & Rogers, C. L. (1986). Scientists and journalists: Reporting Science as News. New York: The free press.
  15. Garvey, W. D., & Griffith, B. C. (1972).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within scientific disciplines: Empirical findings for psychology.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8, 123-126. https://doi.org/10.1016/0020-0271(72)90041-1
  16. Harpole, S. H. (1987). The relationship of gender and learning style to achievement and laboratory skills in secondary school chemistry students. Mid-South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nnual Meeting.
  17. Holbrook, J., & Tannikmae, M. (2007). The nature of science education for enhancing scientific literac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 1347-1362. https://doi.org/10.1080/09500690601007549
  18. Koelsche, C. (1965). Scientific literacy as related to the media of mass communication.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83, 647-650.
  19. Osborne, J., Erduran, S., &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the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1(10), 994-1020.
  20. Renzulli, J. S. (1998).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In S. M., Baum, S. M., Reis, & L. R., Maxfield (eds), Nurturing the Gifts and Talents of primary Grade Students. Mansfiel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21. Semple, E. E. (1982). Learning style. A review of literature, Eric document: ED 222477.
  22. Yore, L. D., Bisanz, G. L., & Hand, B. M. (2003). Examming the literacy component of science literac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6), 689-725. https://doi.org/10.1080/09500690305018

Cited by

  1. An Analysis on the Relation of Elementary Students' VARK Styles and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vol.33, pp.4, 2014, https://doi.org/10.15267/keses.2014.33.4.724
  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y, Social Network Centralities, Discussion Performance, and Online Boarding Activity in the Team Based Learning vol.27, pp.1, 2015, https://doi.org/10.13000/JFMSE.2015.27.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