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Later Life and Mid-life Crisis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Middle-aged Women

중년기 기혼여성의 노후준비와 위기감이 결혼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이서영 (한경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Received : 2013.12.31
  • Accepted : 2014.01.22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 age and the sense of crisis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mid-life wome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00 women ranging in age from 40 to 59 years residing in Gyeonggi-do. Two hundred and forty-nin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by SPSS PASW 18.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 on the sense of crisis scale was $2.56{\pm}0.65$, representing a medium level. The mean scores for degree of preparation for later life and marital satisfaction were $3.54{\pm}0.57$ and $3.67{\pm}0.88$, which were somewhat high. Seco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married, middle-aged women. There were primarily differences in the sense of crisis by age cohort(such as women in their 50s) and level of education. Moreo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later life by marriage duration and differences in marital satisfaction by level of education, monthly average income, and employment status. Third,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middle-aged women included health status and monthly average income as control variables. Mid-life crisis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emotional later life had a significant effect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level of sense of crisis and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emotional later life affected the women's marital satisfaction. Other facto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affect. Based on the above results, intervention alternatives are needed to improve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middle-aged women.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2005). 한국 성인세대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6(4), 112-128.
  2. 고효정.오명옥.김혜영(2000).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과 삶의 질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6(4), 619-631.
  3. 김갑숙.최외선(1992).아내가 인지한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0(2), 133-143.
  4. 김경신.김정란(2001). 중년기 기혼여성의 자아 정체감 및 위기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4), 105-120.
  5. 김나비.유영주(1999). 기혼 취업여성의 결혼생활 공평성 인지도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81-106.
  6. 김명자(1988).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명자 (1989). 중년기 연구. 서울: 교문사.
  8. 김미령(2009). 연령대에 따른 여성의 결혼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비교. 한국가족복지학, 26, 36-62.
  9. 김민희.민경환(2007). 중년기부부의 애착과 결혼만족: 애착유형과 결혼만족의 매개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7 (1), 213-233.
  10. 김순미.고선강(2012). 중년기 가정의 세대 간 경제적 자원이전과 노후생활 준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59-76.
  11. 김애순(1993). 중년기 위기감(3): 개방성향과 직업, 결혼, 자녀관계가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지, 13(2), 1-14.
  12. 김애순.윤진(1993). 중년기 위기감(1); 그 시기 확인 및 사회경제적 변인들이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3(1), 1-16.
  13. 김윤정.최윤희(2004).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 족도가 노후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 연구, 24, 197-213.
  14. 국민연금관리공단(2009). 국민연금 중장기재정전망. 국민연금관리공단.
  15. 곽인숙.홍성희(2013). 베이비부머의 노후생활설계 인식과 준비도: 전.후기집단 비교. 한국 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47-172.
  16. 나지나.백승애.신은경.김미혜(2010). 결혼해체를 경험한 베이비부머 여성의 경제적 노후 준비 여부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0(2), 29-54.
  17. 대릴 샤프(2006). 류가미 역(2008). 융, 중년을 말하다. 서울: 북북서.
  18. 박성호(2001). 부부의 자아존중감, 내적통제성 및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서 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준희(2004). 기혼남녀의 성격특성, 가족스트레스, 여가활동이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창제(2008).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 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0(3), 275-297.
  21. 배계희(1988). 중년기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배문조(2011). 중년기의 성공적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 및 노후생활준비의식이 노후생활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1), 45-61.
  23. 신기영(1991). 중년기 주부의 위기감과 사회 관계망 지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안현선.김효민.안진경.김양희(2009). 중년기 여성의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137-155.
  25. 양순미.홍숙자(2002). 중년기 농촌여성의 노후준비와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6), 141-149.
  26. 오명옥.고효정.박청자(2000).중년기 여성의 위기감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한국모자보건학회지, 4(1), 17-31.
  27. 이우경.방희정(2008). 사회, 정서발달: 성인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애, 심리적 안녕감 및 심리증상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21(4), 127-146.
  28. 이여봉(2010). 부부역할과 여성의 결혼만족도: 연령범주별 분석. 한국인구학, 33(1), 103-131.
  29. 이여봉 (2012). 중년여성의 노후 준비에 관한 연구: 베이비붐 세대와 이전세대. 가족과 문화, 24(1), 31-70.
  30. 이용재(2013).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특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5), 253-261.
  31. 이인수.유영주(1986). 결혼만족도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4(1), 1-14.
  32. 이정은.이영호(2000).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3), 531-548.
  33. 임경자(2002). 중년층의 노후준비가 중년기 위기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임희정(2002). 중년층의 건강상태와 노후준비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조선일보(2011). 미리 설계하면 장수는 리스크 아닌 축복. 2011. 12. 31. 11면.
  36. 조성희.박소영(2010).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9, 149-174.
  37. 조정문(1995). 결혼생활의 공평성 인지와 결혼만족. 한국사회학, 29, 559-584.
  38. 최경란(2006).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과 관련 변인.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최명민(2010). 결혼행복감의 결정요인 분석: 소득수준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9, 85-114.
  40. 통계청(2012). 2012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41. 황경애.김갑숙(2007). 인지-행동 집단 미술치 료가 중년기 위기 여성들의 우울 및 정서적 위기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4(2), 295-318.
  42. 황승일(2000). 초기노인의 노후관련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홍달아기.이남주(2006). 중년기여성의 위기감과 대처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5(2), 227-237.
  44. 현경자(2004). 기혼남녀의 자기관과 결혼만족의 관계. 한국사회복지학, 56(4), 239-268.
  45. Anderson, S. A. & Sabatelli, R. M.(2003). Family interaction: A multigenerational development perspective. New York: Pearson Education, Inc.
  46. Bradbury, T. N., Fincham, F. D. & Beach, S. R.(2000). Research on the nature and determinants of marital satisfaction: a decade in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4), 964-980.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0.00964.x
  47. Costa, P. T. & McCrae, R, R.(1980). Still stable after all these years: Personality as a key to same issues in adult and old age.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New York: Academic Press, 3, 65-102.
  48. Dakin J. & Wampler, R.(2008). Money doesn't buy happiness, but helps: marit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distress, and demographic differences between low and middle income clinic couples.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36, 300-311. https://doi.org/10.1080/01926180701647512
  49. Farrell, M. P. & Rosenberg, S. D.(1981). Mean of midlife. Boston : Simon and Schuster.
  50. Grames, H. A., Miller, R. B., Robinson, W. D., Higgins, D. J. & Hinton, W. J.(2008). A test of contextual theory : the relationship among relational ethics, marital satisfaction, health problems, and depression. Contemporary Family Therapy, 30, 183-198. https://doi.org/10.1007/s10591-008-9073-3
  51. Hunter, S. & Sundel, M.(1994). Midlife for women: A new perspective. Journal of Women & Social Work, 9(2), 113-128. https://doi.org/10.1177/088610999400900202
  52. Jaques, E.(1965). Death and the midlife Crisi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46, 502-514.
  53. John, P. D. & Montgomery, P. R.(2009).Marital status, partner satisfa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men and women. La Revue Canadienne de Psychiatrie, 54(7), 487-492.
  54. Johnson, D. R., White, L. K., Edwards, J. N. & Booth, A.(1986). Dimensions of Marital Quality : toward Methodological and Conceptual Refinement. Journal of Family Issue, 7, 31-49. https://doi.org/10.1177/019251386007001003
  55. Kalmijn, M.(1999). Father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the perceived stability of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1, 409-421. https://doi.org/10.2307/353758
  56. Lamanna, M. A. & Riedmann, A.(2009). Marriages and Families: Making Choices in a Diverse Society(10th ed.). Thomson Learning Inc.
  57. Lennon, M. C.(1980). Psychological Reaction to Menopause: A Sociological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olumbia University.
  58. Macky, R. A. & O'Brien, B. A.(1999). Marital conflict management : gender and ethnic differences. In P. L. Ewalt et al.(Eds.). Washington DC. : NASW, Multicultural Issues, 2, 33-49.
  59. Norton, R.(1983). Measuring Marital Quality : A critical look at the dependent variabl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February, 141-151.
  60. Orathinkal, J. & Vansteenwegen, A.(2007). Do demographics affect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Sex and Marital Therapy, 33, 73-85. https://doi.org/10.1080/00926230600998573
  61. Schumm, W. R., Webb, F. J. & Bollman, S. R.(1998). Gender and marital satisfaction :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f families and households. Psychological Reports, 83(1), 319-327. https://doi.org/10.2466/pr0.1998.83.1.319
  62. Skolnick, A. S.(1983). Family in transition: thinking marriage, sexuality, child rearing, and family organization. 4th ed. Boston: Little Brown.
  63. Spanier, G. B. & Lewis, R. A.(1980). Marital Quality: a review of the sevent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2, 825-839. https://doi.org/10.2307/351827
  64. Thompson, M. J.(1980). Identity attainment in midlife females: An assessment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65. White, L. K. & Booth, A.(1991). Divorce over the life course. Journal of Family Issues, 12, 5-21. https://doi.org/10.1177/019251391012001002